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교통카드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교통카드는 대중 교통 수단의 운임이나 유료 도로의 통행료를 지불할 때 주로 사용되는 일종의 전자화폐이다. 자기띠를 탑재한 카드 형식 또는 적외선으로 통신하는 것도 있으나, 내장된 IC 칩에 의한 비 접촉식 스마트카드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역사[편집]

대한미국은 1996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서 버스카드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 시초이다. 다만 수도권 지하철의 경우 교통카드 시스템이 바로 구축되지 않았고 1997년 5월 KB국민카드의 후불 패스카드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이처럼 서울특별시의 경우 시내버스에만 충전식 교통카드 시스템이 도입되고 지하철은 후불식 교통카드 시스템이 도입되었기 때문에 하나의 교통카드로 모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는 없었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볼 경우 1998년 2월 3일에 공식 상용화된 부산광역시의 하나로카드가 최초의 버스-지하철 통합 교통카드라고 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의 버스카드는 2000년 1월 20일부터 수도권 지하철에서 호환이 개시되었으며 2000년 6월 5일부터는 국민 패스카드로도 서울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본격적인 통합교통카드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서울과 부산에서 교통카드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경기도,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등의 지방에서 교통카드가 상용화되기 시작하여 현재 상당수 지역에서 교통카드가 사용되고 있다.

1998년 동남은행의 주도로 부산광역시에서 전자화폐식 교통카드인 하나로카드가 출시하였다.

이후 2000년대가 되면서 MIFARE Classic의 보안 문제가 대두되자 KS X 6923/ISO 14443을 따르는 번호 16자리의 표준형 스마트카드를 사용한 티머니, 캐시비 등의 신형 교통카드가 등장했고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티머니나 캐시비 등의 경우에는 스마트폰 앱이나 손목시계 등을 사용하는 대중교통과 관련된 결제체계가 등장했다.

장단점[편집]

장점[편집]

  • 휴대와 사용이 편하다.
  • 승객들이 승차 및 요금 지불에 드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수 있고 기사들은 운전에만 더 집중할 수 있다.
  • 교통카드 대중화로 부정 승차가 과거에 비해 많이 줄었다. 지폐나 회수권을 받을 때 현금 가치가 없거나 훼손된 지폐로 부정 승차를 하는 승객들이 있는데 이런 부정 승차로 인한 운임 손실을 막을 수 있다.

단점[편집]

  • 선불교통카드는 분실하면 잔액을 보호받을 수 없다.
  • 다양한 이유로 중복결제가 일어날 수 있다.
혼잡 시나 기타 이유로 운전기사가 요금지불을 확인하지 못하고 간혹 이중결제를 요구하거나 후불이건 선불이건, 지갑에 교통카드를 여러 장 넣고 찍는 등, 승차 시와 하차 시 다른 카드에서 각각 요금이 빠지는 경우가 있다.
  • 전산망에 문제가 생기면 과금체계 전체가 마비될 수 있다.
  • 그외에 카드가 손상될 시 정보 전송에 실패하거나 망가질 수 있으며 사용 기록이 노출되거나 정보 보안에 취약하여 쉽게 카드를 해킹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교통카드[편집]

  • 일회용 교통카드
원래의 1회용 종이 승차권을 대체하기 위하여 발행한 것이며 재사용이 가능하다.
  • 무임용 교통카드
65세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 전철이나 지하철 같은 도시철도를 무임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람에게 발급되는 교통카드이다. 매표 자동화 추세에 따라, 일일이 증명서를 제시하고 무임용승차권(우대권)을 발급하는 불편을 줄이기 위하여 도입된 카드이다.
  • 광역알뜰교통카드
정기권과 유사하게 대중교통을 일정 횟수 이상 이용시 마일리지 지급 혜택으로 요금 할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카드이다. 2020년 2월 현재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에서 후불교통카드로만 발급되고 있다.
  • 모바일 교통카드
휴대전화로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 과거 피쳐폰시절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이며 현 세대 스마트폰들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세계 교통카드[편집]

일본[편집]

  • 토이카 (JR 도카이)
  • 키타카 (Kitaca) - 홋카이도 여객철도(이하 JR홋카이도) 등
  • 사피카 (SAPICA) - 삿포로 시 교통국 등
  • 이쿠스카 (icsca) - 센다이 시 교통국 등
  • 스이카 (Suica) - 동일본 여객철도(이하 JR동일본), 도쿄 모노레일 등
  • 파스모 (PASMO) - 도쿄 메트로, 도쿄 도 교통국(우에노 현수선 제외), 게이오 전철, 게이힌 급행 전철, 유리카모메, 도부 철도, * 도쿄 급행 전철, 오다큐 전철, 세이부 철도, 요코하마 시 교통국 등 (일부 사업자는 전국 상호 이용에서 제외됨.)
  • 토이카 (TOICA) - 도카이 여객철도(이하 JR도카이) 등
  • 마나카 (manaca) - 나고야 철도, 나고야 시 교통국, 도요하시 철도 등
  • 파스카 (passca) - 도야마 라이트레일
  • 에코마이카 (ecomyca) - 도야마 지방 철도
  • 이코카 (ICOCA) - 서일본 여객철도(이하 JR서일본), 시코쿠 여객철도(이하 JR시코쿠),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 등
  • 피타파 (PiTaPa) - 스룻토 KANSAI 가맹 사업자
  • 파스피 (PASPY) - 히로시마 지역의 철도·버스·선박 사업자
  • 하레카 (Hareca) - 오카야마 전기 궤도·도비 버스·료비 홀딩스(료비 버스)·시모쓰이 전철·우노 자동차
  • 이루카 (IruCa) - 다카마쓰코토히라 전기 철도 등
  • 스고카 (SUGOCA) - 큐슈 여객철도(이하 JR큐슈) 등
  • 하야카켄 (はやかけん) - 후쿠오카 시 교통국 등
  • 니모카 (nimoca) - 서일본 철도 등
  • 오키카 (OKICA) -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 및 4개의 오키나와 현 버스 사업자

일본의 교통카드는 2015년 3월 기준으로 사피카, 이쿠스카, 파스카, 에코마이카, 파스피, 이루카, 하레카, 오키카 등을 제외한 모든 교통카드 간의 상호이용이 이루어졌다. (단, 피타파 구간은 타교통카드와 교통기능은 호환되지만 물건 구입등의 전자화폐 기능은 호환되지 않는다.)

대만[편집]

  • 이지카드 (EasyCard)
  • 아이패스 (iPASS一卡通/iPASS)

중국[편집]

  • 옥토퍼스 카드 (八達通/Octopus) - 홍콩
  • 상하이 교통카드 (上海公共交通卡/Shanghai Public Transportation Card) - 상하이
  • 양성통 (羊城通/Yang Cheng Tong) - 광저우
  • 심천통 (深圳通/Shenzhentong) - 선전

T-Union 교통연합 카드 (交通联合卡/T-Union Card) - 중국 200여개 도시에 交通联合 및 T-Union표시가 있는 대중교통 수단에서 사용가능

싱가포르[편집]

  • EZ카드

영국[편집]

  • 오이스터 카드 (Oyster Card) - 런던
  • 이지라이더 (EasyRider) - 노팅엄

이탈리아[편집]

  • 이티네로 (Itinero) - 밀라노

핀란드[편집]

  • 버스카드 (Bus Card)

프랑스[편집]

  • 나비고 (NaviGo) - 파리

미국[편집]

  • 스마트링크 (SmartLink) - 뉴욕, 뉴저지
  • 찰리카드 (CharlieCard) - 보스턴
  • 메트로카드 (MetroCard) - 뉴욕
  • 벤트라카드(Ventra) - 시카고
  • 브리즈(Breeze) - 애틀랜타

캐나다[편집]

  • 프레스토 (Presto) - 광역 토론토, 오타와, 해밀턴 지역
  • 밴쿠버 : compass card(컴패스카드)

브라질[편집]

  • 리우카드 (RioCard) - 리우데자네이루

뉴질랜드[편집]

  • 홉 카드 (AT HOP) - 오클랜드
  • 스내퍼 (Snapper) - 웰링턴
  • 메트로카드 (metrocard) - 크라이스트처치

스내퍼 카드는 안드로이드 휴대폰의 NFC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카드로 이용할 수 있다. 단 Semble 심카드와 호환되는 통신사 이용자만 가능하다.

호주[편집]

  • 마이키 (myki) - 멜버른
  • 스마트라이더 (SmartRider) - 퍼스
  • 고카드 (go card) - 브리즈번
  • 오팔카드 (Opal card) - 시드니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교통카드 문서는 결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