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나룻배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강을 끼고 있는 고장의 주민들에게는 필수적인 교통수단이었던 나룻배는 곳곳에 다리가 놓이면서 사라져 가고 있다. 이제 나룻배는 강원도나 경상남도 산골 오지 마을에나 가야 볼 수 있다.

나룻배는 나루를 오가며 사람이나 물건을 건네 주는 이다. 우리말로는 나룻개라고 하며, 가까운 거리를 오가기 때문에 돛을 달지 않고 노를 저어서 갔다. 교량 가설의 기술이 미약했던 1900년 초까지 나룻배는 한국 교통 소통에 있어 중요한 구실을 해왔다. 나룻배는 15인 정도 탈수 있으며 크기는 폭 2.5m 길이 6~7m 정도이다.

개요[편집]

큰 강이나 사람이 직접 건너지 못하는 깊은 냇물에는 대개 나룻배가 있었다. 나루터는 규모에 따라 진(津) 또는 도(渡)라고 하였으며, 이에 배치된 나룻배를 진선(津船) 또는 도선(渡船)이라 하였다. 나루터 중에서도 중요한 곳에는 관원이 배치되었다. 서울의 북쪽 관문인 예성강(禮成江)과 남쪽 관문인 한강에 많은 나루터가 있었고, 나룻배도 관선(官船)을 비롯하여 진선·사선(私船) 등의 각종 나룻배가 있었다.

나룻배의 선재(船材)는 대부분 송목(松木)을 썼으나, 그 밖에 노목(櫨木)·회목(檜木)·유목(楡木)·추목(楸木) 등을 바닷물에 담가 두었다가 사용하였다. 처음에는 나무못을 사용했는데 수명이 짧아 세종 때부터는 철못을 사용하였다. 배의 크기도 몇 명밖에 태우지 못하는 소형선에서 100여 명을 태울 수 있는 대형선에 이르기까지 대·중·소로 나누었다.

강을 끼고 있는 모든 부락민들에게 강건너 농사짓기·장보기 및 학생들의 통학 등에 나룻배는 중요한 교통수단이었으며, 선임(船賃)은 추수 때가 되면 곡식으로 치렀다.

나룻배의 위상[편집]

나룻배는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사용한 전통배 중 하나며, 1970년대까지 쓰였다. 가히 선박계의 픽업트럭. 심지어 버스를 옮기는 영상이나 사람과 차량을 가득 채우고 운행하는 사진도 찾아보면 나온다.

외국(미국)에서는 그냥 취미용이나 낚시, 이동 수단으로 쏠쏠하게 써먹고 있으며 심지어 노 대신에 모터엔진을 달아 개조한 것도 있다. 주로 미국인들의 거대한 위상을 상징하는 아이템이며, 미국인들은 '미국인이라면 픽업트럭과 나룻배, 그리고 호수 앞에 있는 집 정도는 있어야지!'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유럽에서는 저승의 뱃사공 카론이 몰아주는 배가 나룻배고, 한국에서도 삼도천 뱃삯이라는 말이 있듯 만국공통의 코드다.

태국에서는 비행기까지 나를 수 있는 나룻배를 운용하고 있다

명칭[편집]

조그만 보트는 훼리(Wherry)라고 부르며, 이게 보통 나룻배로 불리는 물건이다. 좀 더 거대하고 엔진을 탑재하여 많은 사람을 옮길 수 있는 선박은 페리(Ferry)라고 부르는데, 이쪽은 한국어로 연락선이라는 단어가 따로 있다. 발음이 비슷한 탓에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나루를 오가는 연락선에 한정하면 나룻배라는 표현이 틀린 건 아니다.

또한 어감이 비슷한 거룻배는 돛이 없는 작은 배를 가리키는 말이다. 나룻배는 돛이 있기도 하므로 거룻배가 아닐 수 있으나, 거룻배는 나룻배로 쓸 수 있다.

한자어로는 도선(渡船)이라 한다. 유선 및 도선 사업법에 의해서 유선과 쌍둥이처럼 다뤄지는 개념으로 유선은 탄 곳에서 내려야 하는 유람선같은 개념이라면 도선은 작은 수역(해역)을 편도로 이동하는 배의 개념이다. 그러나 여객선과 도선의 영역이 칼같이 그어지지 않아 운항목적과 방식이 같은 두 배가 자의적인 기준으로 서로 다른 법적 근거 위에 서게 되는 문제가 있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나룻배 문서는 교통수단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