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맞춤버스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맞춤버스란 이용 수요의 특성에 맞춰 특정 시간으로 일정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이다.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개요[편집]

시간적으로 버스가 지나지 않는 심야에 운행하는 올빼미 버스, 서울에선 출퇴근 시간에 빠르게 짧은 운행을 반복 운행하는 다람쥐 버스, 봄꽃축제를 위한 시내버스인 봄꽃맞춤버스, 주요 관광지를 경유하는 관광맞춤버스 등이 있으며 주로 불편한 교통시간대나 지역의 편의를 고려하여 맞춤버스를 운행함으로 교통복지를 실현한다. 자가용으로 인한 교통혼잡을 개선하고 대중교통의 이용이 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버스운행에서 일반버스업체들이 노선을 두지 않는 곳을 한시적으로 운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익성이 낮다.[1] 맞춤버스의 다각화를 통하여 시내버스의 한계를 극복하고 특정 시간대 특정 지역의 주차난을 해소할 수 있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

현황[편집]

올빼미버스[편집]

올빼미버스대중교통이 끊긴 밤 12시 이후부터 새벽 5시까지 서울에서 운행하는 버스로 심야시간 편리하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간선버스, 지선버스와는 달리 주로 거점,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특징도 있다.[2] 2013년 서울 시장은 시민의 편의를 위하여 5월부터 2개의 노선을 만들어 운영해 보고, 시민들의 움직임을 객관적으로 파악한 빅데이터에 주목하여 노선을 추가하겠다고 하였다. 4월 10일 구체적인 운영계획이 발표되고 약 3개월간 시범운영이 되며, 시범운영되는 2개의 노선은 N26 번, N37 번으로 각각 6대의 배차에 35~40분 배차간격을 가지며 첫차를 자정으로 막차는 3시 10분 출발로 운영되었다. 요금은 시범 기간 한에서 간선노선과 동일한 교통카드 기준 1,050원이었다. 밤늦은 시간에 통화하거나 문자를 보내는 콜 데이터와 예상 이동방향 알고리즘을 통하여 2013년 8월에 서울시 심야버스는 9개의 노선이 최종 선정되었다. 정식으로 운행하게 되어 광역버스 요금인 1,850원으로 운행되었고, 2015년 6월 심야버스 요금이 인상됨에 따라 2,250원으로 운행하고 있다. 2016년 개화역과 서울 시흥동을 잇는 노선인 N65번이 추가로 개통하고, 기존 심야버스 노선들도 2대씩 증편되었다.[3]

올빼미 버스 노선[4]
노선번호 운행구간 운행대수 배차간격 운행업체 운행시간
기점 종점 첫차 막차
N13 상계동 장지동 8대 25~30분 흥안운수, 한국BRT 00:00 03:30
N15 우이동 사당역 8대 25~35분 동아운수, 우신운수 00:00 03:20
N16 도봉산 온수동 8대 25~30분 서울교통네트웍
오케이버스
00:20(온수동), 00:10(도봉산) 03:45(온수동), 03:35(도봉산)
N26 방회봉 신내동 8대 30~35분 메트로, 다모아 00:00 03:10
N30 강일동 서울역 4대 30~35분 서울승합 23:50 03:40
N37 진관동 장지동 8대 25~30분 한국BRT, 제일여객 00:00 03:10
N61 신정동 노원역 10대 20~25분 관악교통, 삼화상운 23:50 03:45
N62 신정동 면목동 8대 30분 도원교통, 경성여객 23:40 03:00
N65 개화동 시흥동 8대 25~30분 공항버스, 범일운수 00:00 03:10

다람쥐버스[편집]

다람쥐버스는 다람쥐가 쳇바퀴 돌듯 일정 구간을 똑같이 반복하여 사람의 출퇴근을 돕는 맞춤버스로 2017년부터 4개의 노선으로 서울에 도입되었다. 주로 출근시간대 오전 7시에서 9시에 혼잡이 극심한 구간에 투입되어 만원버스의 숨통을 틔워주고 있다.[5] 버스 이용객 승하차 자료를 기반으로 차내 혼잡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단거리 구간만 운행하는 버스를 신설, 대중교통 서비스 수준을 향상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실제로 다람쥐 버스 투입 구간 내 버스 정보 안내단말기의 혼잡 표출빈도가 평균 39.5% 감소해 기존 버스노선의 차내 혼잡현상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다람쥐버스 운행 이후 기존 버스노선 이용객은 하루 평균 110~180 명으로 감소하고, 해당 구간 전체 버스 승객은 오히려 평균 16.5%로 늘어났다.[6] 좋은 성적을 거두자 서울시는 7개의 노선 구간으로 운행하고 있고, 그중 8761번은 2018년 4월부터 퇴근시간에도 운행하게 되었다. 서울뿐만 아니라 김해 장유에서 창원 남산 터미널을 오가는 다람쥐버스가 2019년 9월 23일부로 운행을 시작하였고, 3월에는 대구시 신개발지 시내버스 노선을 조정하여 다람쥐버스를 시범운행하였다.

서울시 다람쥐 버스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운행대수 배차간격 운행시간
기점 종점 첫차 막차
8221 장안2동 주민센터 답십리 5대 8~13분 07:00 09:00
8441 은곡마을 수서역 4대 10~13분
8552 신림복지관 신림역 4대 9~11분
8761 신촌로터리 국회의사당역 4대 11분
8771 구산중학교 녹번역 4대 10~11분
8551 봉천역 노량진역 5대 10~12분
8331 마천사거리 잠실역 5대 10~11분

봄꽃맞춤버스[편집]

보통 매년 4월 즈음에 열리는 봄꽃축제로 방문객이 크게 증가할 것을 대비하여 맞춤버스를 운행하거나 버스를 증회한다. 자가용의 이용에 있어 도로혼잡 및 주, 정차문제로 많은 불편이 예상되기 때문에 가급적 시내버스를 많이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여의도 봄꽃축제 중에 중부운수가 운영하는 무번호의 맞춤버스를 운행하여 교통혼잡을 최소화하려 하였다. 영등포구 당산역에서 여의동을 종점으로 하며 배차간격은 10분 정도가 걸렸다. 아침 10시부터 00시까지 운행하였다. 2009년에는 운행구간을 변경하게 되면서 배차간격이 20분으로 늘기도 하였다.

따복버스[편집]

따복버스는 따뜻하고 복된 버스의 줄임말로 경기도 주도로 만들어진 맞춤버스이다. 따복버스의 운행으로 인하여 다른 버스의 수익성이 떨어질 것을 우려해 지역 내 버스 이용 수요를 맞추기 위하여 요일과 시간대별 수요가 발생할 때마다 그 지역을 운행한다.[7] 그러기에 한 차량이 요일 및 시간대별 이용 수요에 따라 여러 노선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고, 주로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통학, 통근을 평일 낮에는 지역 거점 간 연계노선, 주말에는 관광지 연계 노선을 운행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교통복지를 돕고 있다. 따복버스로 인하여 교통 오지지역의 감소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것이라 예상함에 2015년 5월부터 시, 군을 대상으로 시범운행을 계시하고, 10월에 5개의 지자체에서 24개의 노선을 운행하였다. 따복버스는 그해 11월에 이용자 230명을 설문조사 한결과 88.3%가 만족하였고, 교통 취약지역을 선정하여 노선을 추가하고 있다. 2016년에는 이용객 83만여 명, 2017년 135만여 명으로 2년 사이 9배 가까이 급증하게 되고 만족도도 유지하였다.

주말맞춤버스[편집]

시민들과 관광객을 위하여 주말 소풍버스로 운행이 되었다. 관광지 연계의 목적으로 주말에만 운행되었으며, 서울에서는 2005년 주말과 공휴일 나들이에 인파가 몰려드는 월드컵공원과 선유도공원, 한강시민공원 여의도지구를 연결하는 친환경 맞춤버스를 신설 운영하기로 하였고, 맞춤버스 도입과 함께 주말에는 장애인 이용차량을 제외한 일반차량의 선유도공원 주차장 이용을 제한하여 자가용의 이용을 막으려 하였다. 2011년 4월 23일에는 여의도와 반포 한강공원을 경유하는 관광 맞춤버스 8620번과 8340번을 신설하였다. 외국인 관광의 목적도 있어 승객 대응을 위하여 전면 LED 및 안내방송, 내부 노선도에 4개국어가 반영되어 있었다. 하지만 소풍과 관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그다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여 유령버스가 됨을 우려하여 2011년 11월 1월부터 2012년 2월 28일 운휴에 들어갔다가 운행을 재개하지 못하고 2012년 3월 1일부로 두 노선 모두 폐선되었다. 2016년 6월 27일 난지한강공원 내부와 서울월드컵경기장 일대를 경유하는 주말 맞춤버스인 8777번을 부활시켰다. 마찬가지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접근이 불편한 것들 돕고, 승용차 이용객이 많아 주말에 공원 진입 승용차가 집중됨으로 정체를 유발하고, 공원 내 불법 주차가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버스 대수도 증차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하였다.[8]

주말 맞춤버스 노선
노선번호 운행구간 운행대수 배차간격 운행시간 비고
기점 종점 첫차 막차
무번호 월드컵경기장 여의나루역 15대 - 10:00 19:00 2005년 3월 26부로 신설, 2021년 기준 폐선상태
8620 여의도 한강공원 동대문역사문화공원 11대 10~20분 06:00 21:00 2011년 4월 23일 신설, 2012년 3월 1일부로 폐선
8340 반포한강공원 잠실한강공원 - 8~15분 06:00 22:00 2011년 4월 23일 신설, 2012년 3월 1일부로 폐선
8777 난지한강공원 월드컵경기장남측 7711번
주말 휴차 차량 2대로 운행
25~30분 10:00 20:00 2016년 7월 2일 개통

각주[편집]

  1. 정명숙 기자, 〈(사설)교통복지와 주차난 해소 위해 ‘맞춤버스’ 다양화해야〉, 《경상일보》, 2016-02-25
  2. 스마트리뷰, 〈올빼미버스 노선 / 가격 서울 곳곳을 심야버스로 다녀요〉, 《티스토리》, 2021-01-21
  3. 심야버스(서울)〉, 《나무위키》
  4. 심야 전용 시내버스(올빼미버스) 운행〉, 《서울특별시》
  5. 서울씨, 〈나도 다람쥐버스타고 출근해볼까?〉, 《브런치》, 2018-04-03
  6. 윤고은 기자, 〈서울시 '다람쥐버스', 지속가능 교통도시평가 최우수정책상 수상〉, 《연합뉴스》, 2018-12-20
  7. 따복버스〉, 《위키백과》
  8. 곽정일 기자, 〈서울시, 맞춤 버스 8777번 운행 시작〉, 《아시아뉴스통신》, 2016-06-29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맞춤버스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