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배전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배전(配電, electric power distribution)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용가에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송전된 전기는 1차 변전소에서 송전 전압으로 승압되고, 2차 변전소에서 강압되어 배전용 변전소에 공급된다. 이때, 배전은 전기가 배전용 변전소에서 배전 전압으로 강압되어 수용가에 공급되는 과정을 말한다. 고압 수용가의 경우에는 배전 전압 혹은 송전 전압의 전기를 수변전설비를 통해 수전하여 강압 후 구내에 배전하게 되며, 저압 수용가의 경우에는 배전용 변압기를 이용하여 저압으로 강압 후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세[편집]

전력(電力)을 수용가(需用家)에 공급하는 일이다.

배전을 위해 전선·개폐기·보안장치 등을 설치할 때 사용되는 기구를 배선기구라 한다. 전력계통은 보통 발전 ·송전 ·배전의 셋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에서 배전선로는 발전소·변전소 또는 송전선에서 다른 발전소 또는 변전소를 지나지 않고 전력 수요 장소까지 이르는 선로이다. 즉, 일반적으로는 2차 변전소에서 수용가까지의 전력 공급이 배전이다. 그러나 기술적으로는 1차 변전소의 인출구부터를 배전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많다. 배전계통을 구성하는 것은 배전용 변전소·고압배전선로·배전용 변압기·저압 배전선로 및 인입선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1차 변전소에서 배전용 변전소까지의 선로도 포함될 수 있다.

배전선부하(負荷)에 따라서 구분하면, 전등 및 이와 같은 회로에 연결된 소형 전동기(냉장고 ·세탁기 등 포함) 등에 공급되는 전등선과 일반적인 전동기에 공급되는 동력선으로 구분된다. 또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 특별고압선로 ·고압선로 ·저압선로의 구별이 있다. 수급계약방법으로는 정액공급(定額供給)과 정량공급(定量供給)이 있는데, 정액공급은 부하의 용량, 즉 전등이 몇 개 있느냐에 따라서 요금이 정해지는 방법이며,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정량공급은 적산전력계(積算電力計)로 계량된 사용전력량과 최대 사용전력(계약전력)에 따라서 요금을 결정하는 방법인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 방식에서는 부하의 접속방법에 따라서 직렬식과 병렬식이 있는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병렬식이 사용된다. 또 직류식과 교류식이 있는데, 교류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교류식에는 단상교류식 ·2상교류식 ·3상교류식이 있는데, 보통 사용되는 것은 단상2선식 ·단상3선식 ·3상3선식 ·3상4선식이다. 배전전압은 고압배전선로에서 종전에는 선간전압 3,300 V의 3상3선식을 사용하였으나 재료의 효과적 이용과 전력손실의 경감 등을 위하여 승압(昇壓)하는 경향이 현저하게 되어서 1만 1400 V/6600 V 및 2만 2900 V/1만 3200 V의 3상4선식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저압선에서 전등과 소동력의 전등선에 대하여는 100 V 단상2선식, 동력선에 대하여는 200 V 3상3선식이 표준이였으나, 최근에는 전등선을 220 V, 동력선을 380 V로 승압해서 공급하는 3상4선식이 많아지고 있다.

한편, 100 V/200 V의 단상3선식도 보급되고 있다. 배전선로를 계획하고 설계하기 위하여는 그 지역 수용가의 종류 및 수와 부하밀도를 알아야 할 뿐 아니라, 장래의 발전에 대한 전망과 부하의 시간적 변화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수요율(최대 수요전력의 설비전력에 대한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 부등률(不等率:각각의 부하의 최대 수용전력의 합과 합성 최대 수용전력과의 비) 및 부하율(負荷率:평균전력과 최대수용전력과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 배전계획의 기초가 된다.

배전선에는 가공선과 지중선이 있다. 일반가정이나 상점 ·소공장 등에는 가공선으로 공급된다. 전주에는 목주 및 철근 콘크리트주가 있는데, 철근 콘크리트주가 많이 사용된다. 지중 배전선로는 지하에 전력케이블을 매설하고 이것을 절연도체로 하여 배전하는 방식인데, 가공배전선로에 비해 유리한 점은 도시의 미관에 좋다, 고장이 적다, 보안상의 위험이 적다는 것 등이며, 불리한 점은 건설비가 비싸다, 공사 및 보수가 곤란하다는 것 등이다. 한국의 배전선은 경제적인 견지에서 거의 가공선식이고, 지중선식은 대도시에서 특별한 경우에 국한되어 있으나, 도시 미관의 향상, 높은 공급신뢰도 및 설비의 안정성 등에 있어서 가공선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이 있으므로 지중선식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의 전력 수송 과정

참고자료[편집]

  • 배전〉, 《위키백과》
  • 배전〉, 《두산백과》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배전 문서는 에너지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