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산촌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산촌

산촌(山村, mountain village)이란 건설 인가가 흩어져서 이루어진 마을을 말하며 태백산맥 동북부, 충청남도 서해안 간척지와 과수원 지대, 대도시 주변의 근교 농업 지대가 대표적이다.[1]

요약[편집]

전통적으로 산촌의 가장 특징적인 산업은 임업(林業)이다. 임업은 단순 목재의 벌목 및 이용뿐 아니라 산지에서 나오는 각종 열매, 나물, 버섯, 구근식물(球根植物), 꿀 등 다양한 임산물의 생산을 포함한다. 산촌에서도 일부 농업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하나, 산간지대의 특성상 경사지가 많아 일반적인 농촌에서와는 차이가 있다. 수리시설의 부족과 지형적 원인 등으로 논농사가 어려워 밭농사가 중심이 되며, 넓은 경지 확보 또한 힘들기 때문에 소규모의 자급자족식 재배가 주를 이뤄왔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태백산맥 고산지대에 대규모로 배추, 무, 감자 등을 재배하는 고랭지농업이 발달하기도 하였고, 대규모 목장 등을 활용한 목축업도 성행하고 있다. 이렇게 새로운 산업이 들어선 곳들에서는 전통적인 산촌과는 다른 형태의 산촌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산촌이 가지는 촌락 유형의 또 다른 의의는 일반적으로 농촌과 어촌이 마을을 중심으로 형성된 집촌(集村)의 형태를 띠는 반면, 산촌은 취락의 분산된 경관, 즉, 산촌(散村)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촌락의 규모 또한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산촌 취락의 경우에는 너와집, 굴피집 등 산지에서 구하기 쉬운 나무들을 이용한 독특한 가옥 형태가 나타나, 전통 주거 문화의 한 종류로 가치를 가지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산촌에서는 농사를 위해 임야를 태워 농지를 확보하는 화전(火田) 농업이 성행해 왔으나, 근대에 들어와 삼림보호를 위해 금지되었고, 현재는 거의 자취를 감 취었다. 산촌은 농촌이나 어촌에 비해 산업기반이 취약한 경우가 많아,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른 유형의 촌락에 비해 더 빠른 인구 유출이 일어나 사라지게 된 경우가 많다. 반면, 강원도의 탄광 등 지하자원이 개발되거나 현대에 들어 관광지로 발전한 산촌의 경우는 산촌의 또 다른 형태로서, 계속 유지되거나 새롭게 발전되기도 한다.[2]

개설[편집]

전국토의 70%가 산악지형인 우리나라에서 산촌은 오랜 역사를 지닌 촌락 유형 중 하나이다. 산촌은 지형적으로 경사지가 많기 때문에 산촌 주민은 밭농사와 각종 임산물 생산에 주로 의존하여 생활한다. 산촌에는 평지가 적고, 물이 부족하므로 쌀농사가 적고 잡곡을 중심으로 한 밭작물을 재배하였다. 특히, 보리, 콩, 팥, 조, 옥수수, 감자, 메밀 등을 많이 재배했다. 근처에서 채취할 수 있는 산나물, 도토리, 버섯 등도 중요한 식자재이다. 산촌에서는 산간 생태계의 특성상 가구들이 분산되어 거주한다. 전통적인 산촌 주택들은 주로 흙과 나무를 재료로 지어졌고, 귀틀집, 너와집, 굴피집 등 산림의 목재를 활용한 독특한 주택 유형이 발달했다.

산촌 가옥의 구조는 봉당을 중앙에 두고 온돌방, 마루, 부엌, 외양간 등이 한 지붕 아래 통합된 형태로서, 이를 겹집이라고 한다. 산촌은 평지 농촌에 비해 생활환경이나 경제적 여건이 열악하고, 촌락의 규모도 작다. 따라서 산업화 시기에 이촌 현상이 농촌에 비해 더 심했고, 촌락 붕괴도 많이 일어났다. 교육, 의료, 문화시설, 교통 등의 발달도 지체되었고, 인구 감소 및 고령화도 심하다. 과거에는 화전에 의존했으나, 정부 정책에 의해 1970년대 이후 사라졌다. 최근에는 임업 생산의 비중은 줄어들고, 자연과 생태 가치를 활용한 도시민 대상의 여가 및 레저 공간이 증가하고 있다. 산지를 이용한 대규모 위락시설이 들어서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적인 산촌 모습이 해체되고, 환경이 파괴되기도 했다.[3]

연원 및 변천[편집]

산촌은 화전을 통해 유지되었다. 화전은 산림을 소각하여, 개간한 장소에 몇 해 농사를 지은 다음 지력이 쇠하면 다른 곳으로 옮겨가는 경작 형태이다. 삼국시대 이래 고려, 조선, 그리고 해방 이후까지 화전은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었다. 문헌상으로 신라시대의 백전(白田)과 고려 시대의 재역전(再易田)이 화전을 지칭하는 것이다. 조선 시대에는 화전에 의존한 산촌이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정약용(丁若鏞)은 《경세유표 經世遺表》에서 조선의 화전 면적이 평전(平田)의 면적과 비슷하다고 기록하였다. 전근대사회에서 전쟁이나 난리가 일어나면 일부 농민들이 산속으로 이주하여 화전을 일구는 경우가 많았다. 조선시대에는 반상 관계와 소작제의 착취를 피해서 화전민이 된 경우도 많았다. 대표적인 화전 지대로는 함경도의 낭림산맥 일대, 평안도의 묘향산맥과 언진산맥 일대, 그리고 강원도의 태백산맥 일대가 있다. 일제 강점기에는 식민지 수탈을 피하여 이주한 농민들이 화전을 기반으로 산촌을 형성했다.

1970∼8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산업화 과정은 산촌 지역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지역 불균형, 이농 및 인구과소화, 고령화 등이 산촌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게 되었다. 임야가 많은 지형적 특성과 도시로부터의 지리적 격리라는 지역적 특수성은 산촌 지역을 농촌 지역보다 더 낙후되게 하였다. 산촌의 주민들은 열악한 사회경제적 조건 속에서 어려움을 겪어왔다. 농업 의존성이 높은데 비해, 농지가 넉넉하지 않으므로 평지 농민들에 비해 더 박탈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산촌의 열악한 사회경제적 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정부의 개입이 1990년대 중반 이후 이뤄져왔다. 산촌지역의 산림·휴양자원을 활용하여 산촌지역 주민의 고용 창출과 소득 증대를 목표로 하는 산촌 종합개발 사업이 시작되었다. 산림청에 의해 추진된 산촌 종합개발사업은 1995년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지암리 산촌마을을 필두로, 1997년까지 도별 1개 마을씩 9개 마을이 시범사업으로 추진되었다. 1998년 이후 사업이 본격화되어 2005년까지 총 1,629억 원이 투자되어 118개 마을을 조성하였다.

산촌개발사업은 2007년부터는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으로 명칭이 바뀌어 진행되고 있다. 산촌생태마을 조성 사업은 산촌 주민들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소득을 증대시키고, 지역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사업은 더불어 산촌이 가진 다양한 사회·생태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재평가하고자 했다. 급속한 근대화와 개발주의 속에서 산촌이 간직해왔던 생태 자원과 문화유산을 새롭게 활용한다는 의미가 있다. 적지 않은 한국인들이 의미 있는 삶과 행복을 물질이나 경쟁이 아니라 생태, 환경, 느림 등의 대안적 가치에서 찾고자 한다. 산촌은 이러한 새로운 사회적 트렌드에 걸맞은 대안 공간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다.[3]

현황[편집]

2003년 전국 산촌 기초 조사를 하면서 산촌을 비교적 명확히 재규정하였다. 즉, 읍·면 행정구역 면적에 대한 산림면적 비율이 70% 이상, 인구밀도 111인/㎢ 이하, 행정구역 면적에 대한 경지면적 비율이 21% 이하라는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읍·면을 산촌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근거로 실시한 산촌 기초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산촌은 총 4,569천 ha로 국토 면적의 45.9%, 전체 산림면적의 58.5%를 차지하였다. 인구는 187만 명으로 전국 인구의 3.9%에 불과했다.[3]

산촌 적용 범위[편집]

  • 행정구역면적에 대한 산림면적의 비율이 70% 이상일 것
  • 인구밀도가 전국 읍ㆍ면의 평균 이하(106명/㎢)일 것
  • 행정구역면적에 대한 경지면적의 비율이 전국 읍ㆍ면의 평균 이하(19.7%)일 것[4]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산촌〉, 《네이버 국어사전》
  2. 산촌〉, 《두피디아》
  3. 3.0 3.1 3.2 산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산림청 휴양복지〉, 《산림청》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산촌 문서는 지역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