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선진운수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선진운수
선진운수

선진운수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 207 (구산동)에 있는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업체이다. 경기도, 인천광역시 권역선진네트웍스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구산동 본사 외에도 은평구 갈현동, 수색동 공영차고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일산서구 가좌동에 영업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은평공영차고지 영업소와 용두동 영업소에는 천연가스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2016년 2월 기준 인가 대수는 293대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대표이사 회장은 민배홍이다.

상세[편집]

  • 명칭
  • 주식회사 선진운수
  • 株式會社 先進運輸
  • Sunjin Woonsu Co., Ltd.
  • 형태: 주식회사
  •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 창립: 1971년 5월 1일
  • 주요주주: 민배홍(100%)
  • 소재지
  • 본사: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 207 (구산동)
  • 수색영업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로24길 19 (수색동, 은평공영차고지)
  • 용두동영업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로 540-42 (용두동)
  • 일산영업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산로 174 (가좌동)
  • 사훈: 책임완수, 친절봉사, 기강확립, 안전운행

연혁[편집]

1970년대 ~ 1980년대
  • 1971년 05월 01일: 민경희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당시 신성교통(현 서울운수) 자회사로 도시형버스 152번을 운행하던 신성교통 역촌동 영업소를 분사시켜 설립하였다.
  • 1974년 12월 15일: 본사를 역촌동에서 현위치로 이전하였다.
  • 1978년 09월 02일: 본사 건너편인 갈현동 527-2번지에 자가정비공장과 제2사옥을 개설하였다.
  • 1982년 08월 20일: 상도동 59-2번지에 상도동영업소를 개설하였다.
  • 1984년 10월 06일: 유성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136번을 인수받았다.
  • 1985년 07월 16일: 갈현동 432-8번지에 갈현동영업소를 개설하였다.
1990년대 ~ 2004년 서울시내버스 체계개편 이전
  • 1992년 05월 07일: 마을버스 운행개시
  • 1995년 03월 03일: 대화동 2309번지에 일산영업소를 개설하였다.
  • 1997년 가을: 당시 같은 방계회사였던 범양여객이 경영난으로 인해 선진여객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얼마 후 동해운수와 신성교통으로부터 직행좌석버스 1008번을 인수받았다.
  • 1997년 12월: 경영난에 빠진 신한교통과 인항여객을 인수하여 동시에 본 회사의 방계회사가 되었으며, 얼마 안 가 선진교통과 선진버스로 각각 변경하였다.
  • 1999년 10월 28일: 신성교통으로부터 좌석버스 158-4번을 인수받았다.
  • 2000년 봄: 선진교통을 북부운수에 매각하였다.
  • 2000년 09월 01일: 당시 방계회사인 선진여객을 흡수합병하였으며, 선진버스를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에 매각하였다.
  • 2000년 12월 06일: 은평구 마을버스 3번, 4번이 지역순환버스 430번(개편 후 지선버스 7718번이었다가 2005년 7715번에 통폐합), 431번(현 지선버스 7715번)으로 각각 승격하였다.
  • 2002년 12월 06일: 일산영업소를 대화동 2309번지에서 가좌동 산24번지로 이전하였다.
2004년 서울시내버스 체계개편 이후
  • 2004년 07월 01일: 2004년 서울시내버스 체계개편으로 간선버스 4개/지선버스 11개/광역버스 3개 노선으로 운행개시하였고, 다모아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였다.
  • 2006년: 명성운수 파업 당시 명성운수 노동조합은 선진운수를 선진네트웍스의 계열사로 오해하여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가좌동 광역버스 영업소(9701번, 9707번 종점) 앞에서 반대 시위를 벌였으며, 이에 선진운수는 자사가 선진네트웍스 그룹과 관련이 없음을 공식 해명하였다.
  • 2011년 05월: 전 차량에 사명 밑에 영문 사명을 추가해서 붙이고 다닌다.
  • 2016년 07월 13일: 대표이사 사장 변경 (오창윤 → 이만순)
  • 2017년 04월 22일: 갈현영업소 폐쇄로 인해 7613번과 8774번은 구산동 본사로 이동하였다.

운행 노선[편집]

구산동본사 소속[편집]

742번
  • 기점: 구산동
  • 종점: 교대역
  • 주요 경유지: 구산동주민센터 - 응암오거리 - DMC래미안 - 모래내시장.가좌역 - 연세대학교 - (← 이대부고 ←) - 신촌기차역 - 충정로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숙대입구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노량진역 - 장승배기역 - 숭실대학교 - 이수역 – 서초역
752번
  • 기점: 구산동
  • 종점: 동작구청
  • 주요 경유지: 구산역 - 은평구청 - 홍제역 - 독립문역 - 서대문역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숙대입구역 - 신용산역 - 한강대교 - (→ 노들역 →) - 흑석역 - 동작역.국립현충원 - 이수역 - 숭실대학교 - 상도역 → 동작구청 → 노량진역 → 노들역 → 상도역
753번
  • 기점: 구산동
  • 종점: 숭실대학교
  • 주요 경유지: 갈현동성당 - 연신내역 - 응암역 - 증산역 - 모래내시장.가좌역 - 신촌로터리 - (→ 창전현대홈타운 →/← 서강대학교 ← 마포세무서 ←) - 광흥창역 - 여의나루역 - 여의도역 - 샛강역 - 서울지방병무청 - 장승배기역 – 숭실대입구역
7022번
  • 기점: 구산동
  • 종점: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주요 경유지: 구산동주민센터 - 응암역 - 불광역 - 구기터널 - 상명대입구 - 자하문고개 - 경복궁 → 세종문화회관 → 서울시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남대문시장 → 조계사 → 경복궁
7613번
  • 기점: 구산동
  • 종점: 국회의사당역
  • 주요 경유지: 갈현동성당 - 연신내역 - 구산역 - 역촌역 - 응암역 - DMC래미안 - 모래내시장.가좌역 - 신촌로터리 - 공덕역 - 마포역 → 여의도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역 → 한국거래소 → 여의나루역 → 마포역
7720번
  • 기점: 구산동
  • 종점: 신촌로터리
  • 주요 경유지: 구산역 - 연신내역 - 은평경찰서 - 독바위역 - 불광역 - 산골고개 - 서대문구청 - 연희교차로 → 연세대학교 → 신촌로터리 → 동교동삼거리 → 연희교차로
8771번
  • 기점: 구산중학교
  • 종점: 녹번역
  • 주요 경유지: 서울기독교대입구 → 응암역 → 은평구청
8774번
  • 기점: 구산동
  • 종점: 서대문구청
  • 주요 경유지: 구산역 - 연신내역 - 갈현동성당 - 구산동주민센터 - 시립서북병원.세현교회 - (→ 역촌역 → 응암시장 →/← 신사동고개←) - 응암오거리 – 명지대입구

수색영업소 소속[편집]

7025번
  • 기점: 은평공영차고지
  • 종점: 동대문
  • 주요 경유지: 수색역 - 북가좌2동주민센터 - 대림시장 - 은평구청 - 홍제역 - 독립문역 - 경복궁 - 이화동 → 동대문 → 종로5가 → 이화동
7212번
  • 기점: 은평공영차고지
  • 종점: 옥수동
  • 주요 경유지: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신사동고개 - 응암역 - 은평세무서 - 불광역 - 구기터널 - 이북5도청 - 상명대입구 - 자하문고개 - 경복궁 - 종로1~6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약수역 - 청구역 – 금호사거리
7715번
  • 기점: 은평공영차고지
  • 종점: 동명여고
  • 주요 경유지: DMC첨단산업센터 - 서울월드컵경기장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수색역 - 신사동고개 - 구산역 → 연신내역 → 동명여고 → 동명탕 → 구산역

용두영업소 소속[편집]

702A번
  • 기점: 용두동
  • 종점: 을지로입구역
  • 주요 경유지: 용두사거리 - 서오릉 - 구산동주민센터 - 응암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서대문역사거리 → 광화문 → 을지로입구역 → 남대문시장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서대문경찰서 → 영천시장
702B번
  • 기점: 용두동
  • 종점: 을지로입구역
  • 주요 경유지: 용두사거리 - 용두초등학교 - 구산동주민센터 - 응암역 - 홍제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서대문역사거리 → 광화문 → 을지로입구역 → 남대문시장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서대문경찰서 → 영천시장

일산영업소 소속[편집]

9701번
  • 기점: 일산가좌동
  • 종점: 롯데백화점본점
  • 주요 경유지: 고양예고입구 - 덕이초등학교 - 대화역 - 일산동구청 - 대곡역 - 화정역.덕양구청 - 성사2동행정복지센터 - 원당역 - 용두사거리 - 서오릉 - 구산역 - 은평구청 - 홍제역 - 독립문역 - 영천시장 → 광화문 → 롯데백화점본점 → 남대문시장.회현역 → 서울역 → 서대문경찰서 → 영천시장
9707번
  • 기점: 일산가좌동
  • 종점: CM충무병원
  • 주요 경유지: 고양예고입구 - 일산서부경찰서 - 대화역 - 일산동구청 -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 - 일산화훼단지 - 능곡시장 - 행주산성입구 - 자유로 - 강변북로 - 난지한강공원 - 강변북로 - 양화대교 - 당산역 – 영등포시장

미운행 노선[편집]

지선버스
  • 0212번: 이북5도청 ↔ 옥수동(2010년 8월 21일 7212번 노선으로 통합. 구 143-1번 연장)
  • 7111번: 은평공영차고지 ↔ 길음역(2004년 하반기 일부구간 폐선 및 연장과 동시에 7025번으로 변경. 구 205번 단축)
  • 7712번: 갈현동 ↔ 신촌(2008년 12월 20일 폐선)
  • 7717번: 은평공영차고지 ↔ 홍은동(2005년 7025번 노선으로 통폐합. 구 146-2번)
  • 7718번: 은평공영차고지 ↔ 연신내역(2005년 7715번 노선으로 통폐합. 구 430번, 구 은평마을 3번)
  • 7721번: 갈현동 ↔ 서대문구청(2008년 12월 20일 일부구간 변경 및 맞춤버스로 형간전환과 동시에 노선번호도 8774번으로 변경. 구 153번 단축)
  • 7729번: 고양시 용두동 ↔ 디지털미디어시티역(2006년 12월 1일 폐선. 구 429번)
  • 7740번: 은평공영차고지 ↔ 홍은동(2010년 8월 21일 7212번 노선으로 통합. 원버스 7740번(은평05번의 전신)과 무관한 노선)
광역버스
  • 9705번: 일산서구 가좌동 ↔ 용산역(2005년 7월 1일 폐선. 구 158-4번 연장)

보유 차량[편집]

현대자동차
  • 현대 E-카운티 F/L 디젤
  • 현대 뉴 카운티 디젤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선진운수 매각[편집]

2022년 7월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그리니치PE는 약 1000억원대에 다른 사모펀드 운용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선진운수의 지분 100%를 인수하기로 했고 서울시 신고를 앞두고 있다.

1971년에 설립된 선진운수는 서울시 시내버스 사업자 65개사 중 노선 수와 인가 대수 등에서 1위를 차지하는 회사다. 그리니치PE는 제주도 폐기물 업체 지분 투자 등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로 알려진 사모펀드다.

사모펀드가 버스회사를 인수하더라도 당장 버스 노선과 요금 등에 대한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2004년 도입된 준공영제는 지방자치단체가 노선 및 요금에 대한 관리·감독 권한을 갖는 대신 제도적으로 사업자의 이윤을 보장하는 제도다. 서울시가 배차권과 노선 조정권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노선과 요금이 변경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사모펀드 입장에선 수익이 크진 않지만 일정한 이윤 보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정적 투자처를 확보한다는 이점이 있다.

사모펀드의 잇따른 버스회사 인수를 두고 업계에선 기대와 우려가 교차한다. 버스업계 관계자는 '전문경영인 제도 도입 등을 통해 경영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사모펀드는 재매각을 전제로 하다 보니 재투자 없이 배당만 많이 받고 부실 상태에서 다시 팔아치우는, 이른바 '먹튀'를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2022년 5월 서울시는 사모펀드의 버스회사 인수가 잇따르자 시내버스 기업 인수에 대한 기준을 마련했다. 지나친 단기 차익 추구로 운송 서비스의 질이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기준에 따르면 준공영제 시내버스 시장에 진출 가능한 자산운용사는 설립 후 2년 이상 운용 경력을 보유한 국내 자산운용사여야 하며, 운용 중인 펀드 총액이 1000억 원, 최소 5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3명 이상의 인력을 보유해야 한다.[1]

각주[편집]

  1. 이호 기자, 〈서울 시내버스 1위 업체도 사모펀드에 팔린다〉, 《동아일보》, 2022-07-06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선진운수 문서는 운송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