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순환버스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순환버스도심부도심 안의 일정한 지역을 순환하여 운행하면서 다양한 통행 수요에 대처하기 위하여 운행되는 버스이다. 대개 업무나 쇼핑 이용객이 많은 도심 지역이나 관광 명소, 도보로 이동하기 어려운 넓은 시설 등지에서 운행되며, 교통 소외지역이나 교통 연계성 부족을 해소할 목적으로 운행되기도 한다.[1]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지역별[편집]

서울[편집]

2004년 7월 1일 서울 시내버스 노선 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체계지만 이 순환버스라는 등급은 개편 1년 전인 2003년에 01, 02번이 신설되면서 가장 먼저 확립되었다. 바탕색은 노란색이며 측면과 뒷면에 영어 Yellow의 머리글자 'Y'가 새겨져 있다. 측면 행선지판은 4개였으나, 떼어졌다. 2003년 7월 1일 청계천 복원공사와 청계고가 철거 등으로 교통 혼잡이 우려되어, 교통 보조 수단의 목적으로 신설된 셔틀버스가 시초이다. 다른 등급의 버스들과는 달리 사대문안과 그 주변의 서울 원도심에서만 운행하기 때문에, 많이 탔던 경우이거나 버스 동호인이 아니라면 알기 힘든 버스이기도 하다. 청계천, 남산, 서울 도심, 여의도, 강남역 등의 지역에서 운행했으나, 2020년 1월 29일 이후로는 녹색 순환버스 4개 노선만이 남게 되었다. 남산 노선의 경우 2010년쯤에 대부분 차량이 전기버스로 대체되었는데, 도색이 기존 노란색 바탕이 아닌 연한 초록색과 하얀색을 혼합한 형태이다. 한때 제대로 된 노란색 도색을 한 순환버스는 단 2대였는데, 2017년 11월에 하자로 유명한 프리머스 전기차 9대가 모두 교체되면서 노란색 버스는 11대로 늘어났다. 심지어 프리머스 CNG 차량도 관리상의 이유로 노랗게 칠해버리면서 다시 환원되었다. 하지만 01A, 01B, 02, 03, 04번 버스 전 차량 전기버스로 바뀌었는데, 연두색으로 도색을 했다. 하지만 서울시도 순환버스 등급을 버려놓은 듯. 110번, 5522번, 6640번은 완벽한 순환식 노선으로 운행하나, 등급이 간선버스지선버스로 되어 있다. 이는 개편 전의 도심 순환버스를 기계적으로 순환버스로 계승시키는 바람에 생긴 착오이다. 원래 지선버스가 마을버스를 계승한 것이긴 한데, 지선버스의 경우도 순환/마을버스 요금을 받는 지선버스(차등요금)가 또 따로 있다. 마을버스와 순환버스, 지선버스를 잘 분류해야 했으나 그러지 못한 것이다. 다만 경기도의 버스 도색은 기능적으로 서울과 동일하게 되어 있어, 경기도의 마을버스는 노란색으로 정해졌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지 순환버스도 마찬가지인데 그 근원이 바로 이 서울의 순환버스다. 그러나 2020년부터 미세먼지 절감 정책 등의 목적으로 도심지역 녹색순환버스 운행 계획을 발표하면서, 4개 노선을 신설하는 것이 확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요금체계도 변경되었다.[2]

서울 순환버스 버스 노선
번호 기점 종점 배차
01 서울역 서울역 12~20분
02 남산예장주차장 남산예장주차장 7~12분
04 11~13분

경기[편집]

기존의 경기도 면허 직행 좌석버스는 경기도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노선이 압도적으로 많아 경기도 도시 간 이동은 많이 불편하였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수도권 제1 순환 고속도로에 위치한 요금소에 버스 정류장을 설치하여 경기도 지역으로 이동할 시 환승을 쉽게 하여 대중교통 수요를 늘린다는 목적에서 시작된 노선이다. 당시, 경기도 도지사였던 김문수가 국토부와 협의하였고, 2010년 3월 24일에 국토부에서 '외곽순환 버스'라는 가칭으로 관련 보도자료를 낸 뒤 입찰을 진행했다. 2010년 7월 7일에 5개 노선 및 운행사가 확정되고 2010년 8월 23일부터 '경기순환버스'라는 이름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운행방식은 기종점 지역 정류장에 4개 정도 정차한 뒤 고속도로 요금소에 설치된 환승 정류장에 정차한다. 2018년 이재명이 도지사로 취임한 이후 계획 당시 명칭인 외곽순환 버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경기도청 민원을 바탕으로 2020년 7월부터 '경기순환버스' 명칭을 다시 사용하고 있다. 경기순환버스는 간선급행버스와 같은 노선번호 체계(8000번대)를 활용하지만, 두 노선의 성격과 운임체계가 다른 관계로 경기도 자체적으로는 별도의 등급으로 분류한다. 기본요금은 초기에는 직행 좌석버스와 같았으나, 2011년 11월 26일부터 2,200원으로 인상되었으며, 거리 비례제가 적용되며 30km 초과 시 5km마다 100원씩 요금이 늘어난다. 2019년 9월부터 기본요금이 3,050원으로 올랐다. 또한, 각 노선에 투입되는 버스는 차내에 차량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LED 표시기를 장착하고, 와이파이 공유기와 공기청정기를 설치해야 한다. 추가로 알려진 바로는 도색은 직행 좌석버스와 같은 G버스 도색이고, 광역급행버스처럼 잔여 좌석 표시기를 설치해야 한다.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은 FX II 116을, 용남고속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를 투입하였다. 나중에 참여한 경원여객 역시 FX II 116을 투입하면서 경기순환버스는 모두 자일대우상용차가 운행되고 있다. 그러나 2016년에 경원여객이 노후차 대차분으로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를 투입하면서 전 차량 자일대우상용차 기록이 깨졌다. 경기도에서는 현재 경기순환버스를 추가로 더 신설하고자 하나, 현재 운행되는 노선들도 적자인 데다 추가로 경기순환버스 입찰에 참여하려는 업체가 전무하다. 고속도로 요금소를 경유하는 점으로 말미암아 버스 운영 비용이 많은 편이며 KD 운송그룹이 아니면 운영하겠다는 회사가 사실상 존재하지 않으며 운영사들도 다른 노선을 통해 경기순환버스를 운영하면서 생기는 적지 않은 적자를 메우고 있는 편이다. 타 노선들보다 고속도로를 길게 이용하고, 8106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통행료가 비싼 수도권 제1 순환 고속도로 북부 구간을 운행하는 점도 적자에 일조한다. 요금도 일반 직행 좌석버스보다 더 높지만, 그래도 적자를 메꾸기에는 역부족이다.[3]

경기 순환버스 버스 노선
번호 기점 종점 배차 간격 운수회사
8106 오리역 상동역 10~20분 경기고속
8109 오리역 킨텍스 70~120분
8401 송산동 수원역 평일 6회

휴일 2회

8409 송산동 수원역 30~60분
8906 덕정역 범계역 40~60분 진명여객

대구[편집]

2006년 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으로 도시를 원 모양으로 순환하며 간선버스, 지선버스, 급행버스, 대구 도시철도와 연결되는 버스 노선이다. 대구광역시의 순환도로인 대구 2차 순환도로와 3차 순환도로를 순환하는 노선만 순환버스라 칭하고 순환버스 형식이지만 지선버스나 간선버스인 노선은 순환형 지선버스나 순환형 간선버스라고 할 뿐 순환버스라 말하진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323(-1)번은 순환 노선이지만 간선버스기 때문에 순환버스가 아니라 순환형 간선버스라고 한다. 초록색으로 순환버스는 2차 순환도로와 3차 순환도로를 운행하는 순환형버스만 순환이라는 이름이 붙는다. 대구시를 한 바퀴 빙 도는 방식이다. 순환버스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서울의 일부 마을버스나 서울 지하철 2호선과 같은 무한루프식의 완전한 순환은 아니다. 순환 1번은 1차 순환도로를 따라 계획되었지만 도심 지역이라서 다른 시내버스가 상당히 많은 관계로 만들어봤자 수요가 없기 때문에 결번이다. 대신 그 구간은 북구 2번이 북구 오지 지역과 함께 운행하고 있었으나, 2012년 10월 개편으로 해당 구간을 운행하지 않으면서 의미가 없어졌다. 순환2번은 2차 순환도로를 따라 대구종합유통단지-경북도청-동대구역-대봉교-계명대학교(대명동캠퍼스)-원대오거리-대구종합유통단지를 도는 방식이다. 순환3번은 3차 순환도로을 따라 범물동-황금동-안지랑-이월드-북부정류장-경북대학교-남부 정류장-범물동을 순환하는 구조이다. 이 노선은 또한 미래의 대구 도시철도 4호선 경로다. 이들은 모두 역방향 노선(-1)도 있으며 운행 순서는 역순이다. 현재 건설하고 있는 4차 순환도로가 완공되면 순환4번이 생길 가능성이 있지만 대부분 구간이 사람 없는 외곽 지역이고 길이가 워낙 길기 때문에 실제 순환도로 길이에 비해 축소 개통될 듯하다.[4]

대구 순환버스 버스 노선
번호 기점 종점 배차 간격
순환2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 12~16분
순환2-1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 12~16분
순환3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9~12분
순환3-1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12~15분

기타 광역시[편집]

  • 부산 : 도시형버스 형태의 노선 90번과 333번이 순환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다.
  • 인천 : 인천교통공사에서 교통소외지역 또는 연계성 부족 해소를 목적으로 9개의 순환버스 노선을 운행중에 있다. 720번은 간선버스 형태로 운행되나, 31번, 43번, 51번, 81번, 82번, 91번, 92번은 지선버스 형태로 운행되고 있다. 또한 그밖에도 6번, 6-1번과 539번 순환형태로 운영되는 간선버스 및 지선버스가 있다.
  • 대전 : 317번과 616번 노선을 대전역 순환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대덕테크노밸리를 순환하는 첨단1번도 운행된다. 세 노선 모두 지선버스, 간선버스, 맞춤버스 노선이지만, 노선의 형태는 내선/외선순환으로 구분된다. 317번은 동구, 중구를, 616번은 동구, 대덕구를 연계하며 첨단1번은 탑립동~테크노밸리~송강동~탑립동을 시계방향으로만 돈다.
  • 광주 : 순환01번(저상버스 운행중)과 상무62번을 상무지구 순환 노선으로 운행하고 있다. 두 노선 모두 급행과 지선노선이지만, 노선의 형태는 순환형이다. 순환01번은 서구, 남구, 북구, 동구를, 상무62번은 광산구 소촌동, 하남지구, 운남지구를 연계한다. 마찬가지로 북구, 동구를 연계하는 지선노선인 두암81번, 용봉83번이 있고 광산구 선운지구, 평동산단을 연계하는 송정100번이 있다.[5]

경상도[편집]

  • 거제시 : 대도시에서의 마을버스 또는 지선버스와 같은 개념이다. 도심순환버스라 불리며, 고현 지역 일대를 운행한다.
  • 김해시 : 6개의 노선이 운영된다. 25번(장유면 반시계방향 순환), 26번(장유면 시계방향 순환), 2번(외동터미널 ↔ 삼안동)과 2번의 반대 방향인 7번(외동터미널 ↔ 삼안동), 대동순환 A번(안막3구 ↔ 안막3구), 대동순환 B번(안막3구 ↔ 안막3구)이 운행된다. 이때 대동순환 A번과 B번 또한 2번 7번과 같이 반대 방면이다.[5]

전라도[편집]

  • 목포시 : 2007년 3월 1일 개편시 녹색으로 재도색한 차량으로 운행한다. 노선은 3번, 7번, 15번이 있다.
  • 나주시 : 2008년 5월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주 노선은 중부선, 남부선, 제한선이 있다. 광신고속, 나주교통이 공동으로 운행한다. 나주시외버스터미널, 영산포공용버스터미널 홈에서는 승하차가 불가능하다.
  • 순천시 : 19번이 주암면, 송광면 순환버스로 운행, 36번과 37번이 황전면, 월등면 순환버스로 운행, 81번과 82번이 별량면 순환버스로 운행, 97번과 98번이 해룡면 순환버스로 운행하며 100번과 101번이 도심순환버스로 운행한다. 2013년 순천정원박람회 기간동안 한시적으로 200번 순환버스를 운행한 적 있었다.[5]

충청도[편집]

  • 천안시 : 도시형버스의 형태로 운행하며, 노선번호는 한자릿수로 표기한다. 1번(백석농공단지 ↔ 천안시청 ↔ 천안시청), 시계방향 순환인 2번(남부고가교 ↔ 남부고가교), 반시계방향 순환인 7번(남부고가교 ↔ 남부고가교), 3번(백석농공단지 ↔ 백석농공단지)으로 4개의 노선이 있다.
  • 청주시 : 20-1,-2,30-1,-2,40-1,-2,50-1,-2, 515-1,-2번이 순환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831과 832는 기종점지가 다르긴 하지만 경유지가 같으며, 청주시내를 순환한다.[5]

현황[편집]

대덕연구개발특구에서 카이스트 연구팀이 개발한 무선충전 친환경 순환버스가 2021년 8월 24일부터 대덕특구를 비롯한 도시철도역 3곳을 순환하며 특구와 지역 간 교류 강화에 나선다. 대전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월 23일 카이스트에서 친환경 버스 올레브(OLEV) 시범 운행을 위한 개통식을 가졌다. 올레브는 대덕 특구 재창조 선도사업의 일환으로 대전시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공동 지원한 사업인데, 카이스트가 자체 제작한 무선충전 기술을 적용했다. 전기버스에 무선충전 장치를 부탁하고 버스 정류장 하부에 무선충전기를 매설한 방식이다. 전력 공급선이 땅속에 매설돼 있어, 별도의 충전시설을 설치하거나 연결부품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무선충전 전기버스는 1시간에 150kW를 충전해 150km를 주행할 수 있다. 다만, 대덕 특구 순환노선 올레브는 버스 기사의 휴게시간인 20분 동안 50kW를 충전해 23.5km를 주행한다. 대덕 특구 순환버스는 카이스트와 대덕 특구-출연연-DCC(대전컨벤션센터)-도시철도역(월평,유성온천,구암)을 순환한다. 운행 시간은 오전 6시부터 밤 10시까지다. 요금은 일반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한 1,250원이며, 교통카드만 이용할 수 있다. 시는 시범 운행 2년간 시민 편의성과 기술적 결함 등을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친환경 버스 올레브 운행으로 융·복합 시대에 걸맞게 그동안 단절되다시피 했던 지역과 특구, 특구 내 각 정부 출연 연구기관 간 교류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무선충전 전기버스는 단순한 대중교통의 기능보다는 대한민국의 핵심성장동력인 대덕 특구에서 개발된 무선충전기술을 실증화하는 사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무선충전버스 기술 실증은 2050 탄소 중립 미래를 향한 담대한 도전이며, 과학기술을 실생활에서 체감하고,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시작"이라며 "과학기술을 통한 탄소 중립 사회로의 이행을 속도감 있게 추진 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을 위한 투자 등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6]

각주[편집]

  1. 순환버스〉, 《네이버 지식백과》
  2. 순환버스(서울)〉, 《나무위키》
  3. 경기순환버스〉, 《나무위키》
  4.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순환〉, 《나무위키》
  5. 5.0 5.1 5.2 5.3 순환버스〉, 《위키백과》
  6. 박우경 기자, 〈대덕특구 순환버스 '올레브' 첫 시동…2년간 시범운행〉, 《대전일보》, 2021-08-23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순환버스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