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우측통행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우측통행(右側通行, right-hand traffic, RHT)은 자동차를 포함한 교통수단이 우측으로 통행하는 것을 말한다. 정반대는 좌측통행이다.

선박비행기의 경우 소속국에 관계없이 무조건 우측통행을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시행 중인 제도이며, 주로 프랑스나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나라들이 우측통행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유래[편집]

우측핸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좌측핸들 또한 마차의 영향을 받았다. 미국의 마차는 말 4필이 끄는 마차였고 마부가 앉는 자리가 정해져 있는데, 그 마부가 앉는 자리는 두 번째 줄 말의 뒤편 좌측이었다. 오른손잡이 마부가 앞뒤로 한 쌍씩 위치한 말들을 채찍질할 때 제일 편한 자리가 두번째 줄 말의 뒤편이었던 것. 이것에 영향을 받아 자동차를 제작한 뒤에도 마부가 앉은 자리의 영향을 받아 운전자의 위치를 차량의 좌측으로 정했다. 마차가 다니던 시절에 마부가 왼쪽에 앉아 있었으므로 당연히 마차는 우측으로 다녀야 했는데 자동차 역시 운전자가 왼쪽에 앉아 있으므로 우측으로 다녀야 한다.

과거의 통행방향과 좌핸들 우핸들의 유래에 대한 학설은 여러가지가 있고, 각기의 근거적 사료와 주장이 팽팽하고, 또한 각기에 대한 반박도 나름 근거가 합당하므로 이제 와서 무엇이 정확한 사실인지 판별하기는 힘들다. 마차가 생긴 초기에는 마차에 마부석이 없어서 마부가 말을 타고 있었고, 당연히 말은 여러마리였다. 대부분의 마부가 오른손잡이이고 여러마리의 말을 짧은 채찍으로 다루기 쉬워서 마부는 왼쪽 말을 타고 오른손으로 말을 조종했다. 따라서 마부 입장에서 마주 오는 마차를 피할 때에 우측통행을 하는 경향이 생기는 것이 자연스러운 이유는 상대편 마차와 충돌 및 바퀴 위치 확인이 왼쪽이 쉽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마차를 몰게 되는 사람은 주로 하층민이거나 유통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었다. 상당한 세월이 흐른 후에, 상위층이나 사람을 나르는 운수업 분야에서는 이 상황이 바뀐다. 뒤쪽 손님 객석과 별개인 앞쪽 마부석이 생기고, 마부석 옆자리에도 물건이나 사람을 태우는 일이 생기기 시작했다. 마부는 긴 채찍을 쓰기 시작했는데, 선두마를 칠 때에 채찍을 뒤쪽으로부터 앞으로 치게 되므로 객석에 채찍이 닿게 된다. 당시에도 오픈카가 있었고 객석이 포장된 마차라고 해도 객석 천장을 치는 게 서로 부담되므로 마부는 가운데가 아닌 오른쪽에 앉아서 오른손으로 채찍을 구사하게 되는데, 마차의 바깥쪽에서 채찍을 쓰면 더 편리했기 때문이다. 이것이 우핸들-좌측차로의 유래라고 볼 수 있으며, 영국과 유럽 상류층에서 먼저 자리 잡혀 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류는 아주 오래전 말을 탈 때부터 좌측차로 문화가 당연했다는 설도 있고 사료도 많이 발견되므로 이것이 자연스레 연결되었다면 마차도 우핸들-좌측차로로 자리잡히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주장이 있다.

프랑스 혁명의 영향에 의한 설은 다음과 같다. 14세기에 교황 보니파시우스 8세는 로마를 순례할 때에는 반드시 좌측으로 통행하도록 칙령을 내린 바 있었다. 중세시대엔 교회의 영향력이 막강할 때였으므로 유럽 대부분의 국가는 이 칙령에 따라 좌측통행을 채택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 때 교회에 깊은 반감을 갖고 있었던 급진파 자코뱅당이 정권을 잡자 기존 상류층 마차 질서에 반기를 들며 파리 시내는 우측통행을 하자고 운동을 일으켰고 이때부터 프랑스는 우측통행을 실시했다. 상기했듯이 마부석 없이 말을 타고 마차를 몰던 하류층 및 유통업 종사자는 이미 우측통행이었다는 설이 있듯이, 당시까지의 도로 사정에서 좌우편제는 혼선되어 뒤죽박죽이었을 가능성이 크며, 프랑스 혁명 당시 예전까지는 좌측통행하던 귀족들이 민중 반감에 겁을 먹고 정권의 칙령을 따라 우측통행을 했다는 사료도 있다.

나폴레옹의 영향에 의한 설은 다음과 같다. 18세기에 나폴레옹이 유럽 여러 곳을 원정하면서 침공한 나라들은 우측통행을 채택하게 되었다는 설. 나폴레옹은 왼손잡이었으며 대포의 발사각 계산을 빠르게 잘하여 포병을 주특기로 군에서 성장했다.

왼손잡이였기에 말을 타고 전장을 지휘할 때에 말고삐를 쥐고 칼을 쥐는 손의 방향이 남들과 달랐고 역발상을 해낼 수 있었는데, 자신의 군대 편제에서 기병대가 기존의 상식적인 통행기준을 뒤집어서도 전술을 쓸 수 있도록 훈련하고 전장에서 방향을 스위칭해가며 전투하도록 했기에 한쪽 방향의 전투에만 익숙하던 적들에게 항상 승리를 이끌 수 있었다는 사료가 있다. 여기에서 나폴레옹 군부의 말 통행방향이 기존 상식인 좌측통행에서 반대인 우측통행으로 바뀌었다고.

또한 대포에는 바퀴가 달렸는데, 이 대포의 운영에 있어서도 기존의 방향과 반대로 전술을 배치하여 적들을 당황시켰다고 한다. 나폴레옹은 대포의 역배치 및 보급을 위해 군대내의 모든 바퀴달린 것들의 편제 방향을 바꾸어버렸고, 당대 유럽 전역에서 군대가 쓰는 모든 바퀴달린 것들은 예전 상식과는 반대 방향인 우측차로 통행 방식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운전석의 위치도 좌측으로 자리 잡힌다. 나폴레옹의 장기 집권 기간은 말하자면 군부독재였으므로 군인들의 일거수일투족이 사회에 선망이었고, 군대식 우측차로 편제는 결국 사회 전체로 퍼지게 되었다는 이야기. 나폴레옹이 점령하지 못한 영국은 예전의 (인체공학적으로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하던대로 우핸들 좌측차로 시스템으로 그대로 남게 되었기에, 이후 제국주의 시대의 식민지에서 영국령은 우핸들, 유럽국가 식민지는 좌핸들이 자리 잡힌다.

종합해 보면 좌측핸들, 우측통행 제도는 프랑스와 미국의 영향을 받아 생긴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미국도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때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독립했으므로 결국 좌측핸들, 우측통행 제도는 프랑스의 영향을 받아 생겼다고 봐야 할 것이다.

특징[편집]

오른손잡이에게 매우 유리하다. 자동차의 변속기가 오른쪽에 있기 때문에 다수를 차지하는 오른손잡이들에게 매우 유리하다. 운전자가 왼쪽에 앉아 있기 때문에 자동차는 반드시 우측통행을 하여야 하며 국가별로 다르지만 우회전을 할 때는 신호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으며 좌회전을 할 때에는 신호를 받아야 한다. 또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널 때에는 먼저 왼쪽에서 오는 차를 보고 중앙선을 지나면 오른쪽을 봐야 한다.

일본에서는 좌핸들 차량이 수입차의 상징(?)으로 잡혀있다. 대한민국에서 직수입된 일본 차량마냥 주파수 변환기, 매직 핸드가 좌핸들 직수입 차량 필수품이라고.

좌측통행을 실시하는 국가에서도 간혹 좌핸들 차량을 볼 수 있는데, 재미있는 점은 우측통행을 실시하는 국가에서 우핸들 차량을 찾는 것보다 좌측통행을 실시하는 국가에서 좌핸들 차량을 찾는 것이 더 쉽다는 것. 이런 차들은 대부분 해외에서 직수입해온 경우다. 이유는 일단 세계적으로 우측통행을 실시하는 국가가 더 많고, 자동차를 생산할 기술력과 수출 루트를 갖추고 있는 국가만 세더라도 우측통행을 실시하는 국가가 더 많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모든 자동차 도로가 100% 우측통행이다. 반면 몇몇 국가들은 우측통행이 기본이지만 일부 구간이 좌측통행인 경우가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팔라티노 다리를 들 수 있다.

나라별 차량 통행 방향 핸들 위치[편집]

구분 우측통행 (좌핸들) 좌측통행 (우핸들)
아시아 대한민국, 북한, 대만, 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중국 필리핀, 이스라엘, 캄보디아, 쿠웨이트, 몽골,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레바논, 바레인,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조지아, 카자흐스탄, 카타르,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인도, 일본, 태국, 홍콩, 마카오, 파키스탄, 네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몰디브, 방글라데스, 부탄, 브루나이, 스리랑카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모나코, 몬테네그로, 몰도바, 바티칸, 벨기에, 벨라루스, 불가리아, 보스니아,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스위스, 스웨덴,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아이슬란드,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체코,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프랑스, 폴란드, 핀란드, 터키, 헝가리, 영국, 아일랜드, 키프로스, 몰타
오세아니아 하와이, 괌, 팔라우, 마셜제도, 미크로네시아, 북마리아나 사모아(미국령) 호주, 뉴질랜드, 사모아, 솔로몬제도, 키리바사,동가, 투발루, 피지, 파푸아뉴기니, 나우루
아프리카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나이지리아, 남수단, 니제르, 라이베리아,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로코, 모리타니, 부리키나파소, 세네갈,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알제리, 앙골라, 에티오피아, 이집트, 차드,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콩고, 튀니지, 토고 남아프리카공화국, 나미비아, 레소토,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보츠와나, 세이셀, 에스와티니,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 케냐, 탄자니아
북아메리카 미국, 캐나다, 멕시코, 과테말라, 니카라과, 도미니카, 벨리즈, 아이티,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쿠바, 파나마, 푸에르토리코 그레나다, 도미니카, 바하마, 바베이도스, 버뮤다, 버진아일랜드(영국령 미국령), 세인트루시아, 자메이카, 케이맨제도, 트리니다드, 토바고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우루과이, 칠레, 콜롬비아, 파라과이, 페루, 기아나(프랑스령) 가이아나, 사우스조지아, 수리남, 포클랜드제도

즉, 웬만한 나라들은 한국과 같은 우측통행, 좌측핸들 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해외 여행 갈 때에 통행방향에 대해서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대한민국 사람들이 흔히 여행 가는 나라 중 좌측통행하는 곳은 일본, 홍콩, 마카오,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정도고 조금 멀리까지 잡으면 인도, 네팔, 영국, 아일랜드,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도만 조심하면 된다.

한편 도로는 좌측통행이지만 철도는 우측통행을 하는 경우는 단 한 사례로 인도네시아가 유일하다.

철도 방향은 별도

우측통행을 채택하는 국가라도 철도는 좌측통행을 채택한 나라가 많다. 그 나라의 철도 도입시점이 대부분 좌측통행인 영국이나 일본의 영향으로 철도가 건설되었기 때문dl다. 철도 통행방향을 바꾸려면 신호체계를 전부 바꿔야 해서 변경이 어렵다.

철도 좌측통행 : 대한민국, 북한, 중국, 대만, 프랑스, 등 대부분의 국가 철도는 좌측통행이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우측통행 문서는 도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