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의료기관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의료기관이란 의료인이 공중(公衆) 또는 특정 다수인을 위하여 의료ㆍ조산의 업(의료업)을 하는 곳을 말한다.

의료기관 구분[편집]

의료법에 의하면 의료기관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 ①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하는 의원급 의료기관
  • ②임부, 해산부, 산욕부,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조산원
  • ③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하는 병원급 의료기관

대한민국은 의료법 제3조 2항에서 의원·치과의원·한의원을 의원급 의료기관으로 규정한다. 동법 동조 2-3에서 병상이 30개~99개일 경우 병원, 100개 이상일 경우 종합병원으로 규정한다.

즉,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동네 의원이나 치과, 한의원은 의원급 의료기관에 속하고, 대학병원이나 상급 종합병원 등은 병원급 의료기관에 속하는 것이다.

의원급 의료기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주로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그 의료행위를 하는 의료기관

  • ①의원
  • ②치과의원
  • ③한의원
조산원

조산사가 조산과 임산부 및 신생아를 대상으로 보건활동과 교육ㆍ상담을 하는 의료기관

병원급 의료기관

의사, 치과의사 또는 한의사가 주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하는 의료기관

  • ①병원
  • ②치과병원
  • ③한방병원
  • ④요양병원
  • ⑤정신병원
  • ⑥종합병원
  • 병원·치과병원·한방병원 및 요양병원은 30개 이상의 병상(병원·한방병원만 해당) 또는 요양병상(요양병원만 해당, 장기입원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하기 위하여 설치한 병상)을 갖추어야 한다.
  • 종합병원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 ①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출 것
  • ②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인 경우에는 내과·외과·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중 3개 진료과목,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와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를 포함한 7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추고 진료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둘 것
  • ③300병상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 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 정신건강의학과 및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추고 진료과목마다 전속하는 전문의를 둘 것

의료기관 현황[편집]

종류별 보건의료기관 수

보건복지부는 2016년~2020년까지의 5차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는 보건의료기본법에 근거해 5년 주기로 실시되며, 이번 조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21년 7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수행했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며, 2020년 보건의료기관 수는 총 9만 6742개소이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1.8%씩 증가했다.

이 중 요양병원은 2020년 기준 총 1582개로 연평균 2.6% 증가했으며, 100~299병상 이상 요양병원의 연평균 증가율은 3.9%로 가장 큰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20년 기준 보건의료기관에서 활동하는 인력은 의사 10만 7000명, 간호사 22만 5000명, 약사 3만 6000명으로 연평균 의사는 2.3%, 간소사 5.8%, 약사 1.9% 증가했다.

의사의 경우 의원급에 4만 4000명, 종합병원 2만 2000명, 상급종합병원 2만 1000명 순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요양병원을 제외한 의료기관 규모별 연평균 증가율은 100~299병상 규모 종합병원과 병상이 없는 의원급에서 4.6%로 가장 높았다.

간호사는 상급종합병원에서 5만 6000명,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3만 4000명이 활동 중이며, 요양병원을 제외한 의료기관 규모별 연평균 증가율은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8.0%로 가장 높았다.

보건의료기관 이외에서 활동하는 의사는 1만 3285명, 간호사 16만 945명, 약사 2만 7281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보건의료기관에서 활동하는 의사의 평균 근무연수는 6.6년, 간호사 4.4년, 약사 5.3년이었으며, 보건의료기관 외 기관에서 활동하는 의사는 4.0년, 간호사 5.5년, 약사 7.6년간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장비 분야에서는 2020년 의료기관이 보유한 CT는 2080대, MRI 1744대, PET는 186대에 달했으며, 연평균 CT·MRI 개수가 각 2.0%, 5.5% 증가한 반면, PET 개수는 -2.8%로 감소했다.

인구 100만명당 장비 수는 2020년 기준 CT 40.1대, MRI 33.6대, PET 3.6대로 2019년 기준 OECD 평균 CT 25.8대, MRI 17.0대, PET 2.4대와 비교했을 때 보유량이 많은 편이었다.

2020년 기준 입원환자가 진료받은 기관은 상급병원이 21.3%로 가장 많았고, 의원 14.3%,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 14.2%, 100병상 미만 병원 14.1% 순이었다.

환자유형별로는 2020년 기준 입원환자 978만명, 정신환자 26만명, 재활환자 9만 7000명, 요양환자 58만명, 기타환자 9만 4000명이며, 요양환자만 증가추세를 나타냈다.

2020년 기준 지역 의료기관의 입원환자 중 해당 지역 환자의 구성비를 나타내는 지역환자구성비는 서울이 59.7%로 가장 낮았고, 대전 66.6%, 광주 67.3% 순이었으며 제주는 92.4%로 가장 높았다.

2020년 외래환자의 72.5%는 의원을 이용했으며, 종합병원 10.6%, 병원 8.9%, 상급종합병원 6.2%, 요양병원 0.6% 순으로 이용했다.[1]

환자 의료기관 선택 이유[편집]

연구진은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해 2018년 진료 받은 국민을 대상으로 해당 의료기관을 처음 방문했을 때 그 의료기관을 선택한 이유와 경로 등을 알아봤다. 이 조사에는 총 3000명이 응답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외래' 환자의 경우 진료 받은 질환으로 해당 의료기관을 처음 방문했을 때 그 의료기관을 선택한 이유(종합 순위 기준)는 '의사의 실력이 좋아서'가 61.1%로 가장 높았다. 이어 '병원이 유명해서(49.6%)', '시설과 장비가 좋아서(43.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 중 이른바 BIG5와 그 외 상급종합병원으로 비교한 결과에서는, BIG5 병원은 '의사의 실력(74.7%) 때문에', 그 외 상급종합병원은 '가까워서(48.5%)' 선택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종합병원의 경우 '가까워서' 라는 응답이 62.1%로 가장 높았으며 '의사의 실력이 좋아서(52.6%)'가 그 뒤를 이었다.

'입원' 치료받은 질환으로 해당 의료기관을 처음 방문했을 때 그 의료기관을 선택한 이유(종합 순위 기준)도 '의사의 실력이 좋아서'가 64.3%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시설과 장비가 좋아서(50.6%)'. '병원이 유명해서(49.6%)' 순으로 나타나 외래와 2ㆍ3위가 역전된 결과가 나왔다.

BIG5와 그 외 상급종합병원을 비교했을 때 BIG5의 경우 '의사의 실력이 좋아서(74.1%)'가 월등히 높았으나, 그 외 상급종합병원은 '의사의 실력이 좋아서(53.2%)'와 '가까워서(46.0%)'의 응답이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

종합병원의 경우 '가까워서 선택했다'는 비율이 57.8%로 가장 높았고, '좋은 시설과 장비(50.8%)', '의사 실력(48.4%)' 순이었다.

한편, 해당 의료기관을 처음 선택했을 때 정보를 어떻게 획득했는지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입원ㆍ외래를 불문하고 거의 모든 범주에서 '지인 및 가족 추천'이 1ㆍ2순위였다.

외래진료 시 최초 의료기관 정보 인지 경로로는 '친구, 이웃 등의 지인 추천'이 25.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가족추천(24.9%)', '인터넷 사이트(12.8%)', '병원 내 지인(12.1%)' 등으로 조사됐다.

입원 진료 이용자들의 경우 '가족 추천'이 26.9%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지인 추천(26.2%)', '인터넷 사이트(12.7%)', '병원 내 지인(11.7%)' 순이었다.[2]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신형주 기자, 〈인구 천명당 국내 병상수 OECD 평균보다 3배 많아〉, 《메디칼업저버》, 2022-07-14
  2. 신승헌 기자, 〈환자들은 ‘뭘 보고’ 의료기관을 고를까〉, 《의약뉴스》, 2020-04-01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의료기관 문서는 교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