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인명피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명피해(人命被害)란 자연재해나 사고 따위로 사람생명을 잃거나 다치는 피해를 말한다.[1]

터널 안 교통사고 인명피해[편집]

터널 안 교통사고 현황

최근 5년간 터널 교통사고와 그에 따른 사망자 수가 40% 이상 늘었다는 통계가 나왔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터널 교통사고 건수는 2016년 535건에서 2020년 771건으로 44.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교통사고 건수는 연평균 1.3% 감소했으나, 터널 교통사고는 연평균 9.6% 늘었다.

터널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16년 27명에서 2020년 40명으로 48.1% 증가했다. 치사율은 3.7명으로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1.4명)보다 배 이상 높았다. 치사율은 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를 뜻한다.

2020년 기준 전국에 설치된 터널은 총 2천742개로 경기·강원 등 8개 광역시에 86.5%가 설치돼 있으며, 최근 5년간 터널 교통사고는 경기(1천016건), 서울(626건), 부산(295건)에서 54%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고 유형별로 보면 차대차 사고가 88.5%로, 차로 변경이 대부분 금지된 터널 특성상 서로 맞부딪치는 충돌보다 뒤에서 들이받는 추돌이 많았다.

시기적으로 전체 교통사고는 10월과 11월에 많이 발생했지만, 터널 교통사고는 외부 활동이 잦아지는 5월과 6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발생 시간별로는 터널 사고의 70.6%가 주간에 발생해 전체 주간 교통사고(58.8%)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고, 집중력이 떨어지기 쉬운 오후 2~4시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전체 교통사고는 오후 6~8시 퇴근 시간대 가장 많이 벌어졌다.

교통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한 터널은 경기도 중원터널로 최근 5년간 40건이 발생했다. 부산 횡령터널(37건), 백양터널(33건)이 뒤를 이었다.[2]

장마철 인명피해[편집]

장마는 동아시아 하계 계절풍 기후에 따라, 여름철 동아시아에서 습한 공기가 남북으로 오르내리면서 많은 비가 내리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북태평양 기단과 오호츠크 해 기단 사이에서 형성되는 한대전선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여러 가지 기상학적·기후학적 영향을 받으므로 해마다 변화가 심하다.

우리나라의 장마는 일반적으로 6월 하순쯤에 제주도부터 시작되어 점차 북상하고, 7월 말 장마가 완전히 끝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전국적인 기온상승으로 이상 기상이 빈번하게 출현하면서 장마의 시작일과 종료일이 매우 불규칙하다.

또한, 여름철 강수가 장마기간에 집중되던 것도 요즈음에는 장마기간 중 소강상태를 보이거나 장마기간 전후, 혹은 장마기간이 끝난 후에도 강수량이 많이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기상청은 2009년부터 한반도 기상 변화를 이유로 장마예보를 중단했다. 그만큼 최근 우리나라의 장마는 비의 양상이 일정한 패턴 없이 들쑥날쑥하며, 예측도 힘들다는 것이다.

최근 국지적으로 내리는 비는 장마라기보다는 한반도 기후 변화로 인한 아열대성 국지성 호우로 보는 전문가들이 많다.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내리는 집중호우의 경우 1일 강수량이 연 강수량의 10%에 달하는 때도 있다. 이때는 침수 피해 등 물난리를 당하기 쉽다. 또한, 대개 여름 휴가철이어서 산간의 계곡 등에서는 야영객이 고립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홍수는 주로 장마전선·태풍 등의 영향으로 비가 많이 내리는 여름에 발생하며, 장마전선과 태풍이 상호작용할 때 집중호우가 내려 강물이 하천의 제방을 넘어 저지대의 농경지와 가옥, 산업단지 등이 침수되면서 인명피해 등 큰 재난이 초래되는 것을 말한다.

근대적인 관측이 시작된 1904년 이후로 1925년, 1948년, 1959년, 1969년, 1979년, 1984년, 1990년에도 대홍수가 발생했다. 특히 '을축년 홍수'로 기억되고 있는 1925년 대홍수는 7월 초순부터 9월 초순까지 4차례에 걸쳐 홍수가 발생해 전국의 하천을 범람시켰다. 특히, 1차 홍수는 400㎜에 가까운 집중호우가 내려 한강 이남의 낙동강, 금강, 만경강 유역에 큰 피해를 주었다. 2차 홍수는 약 650㎜에 달하는 집중호우가 내려 한강 수위가 12.74m에 달하는 사상 최고의 기록을 남겼으며, 한강 유역의 영등포·용산·뚝섬·마포·신설동 등지가 침수되었다.

1900년대 이후 3번째로 많은 인명피해를 낸 홍수는 1959년 9월 중부·남부 지방에 발생했으며, 1984년에도 폭우로 전국적으로 피해가 컸다. 이때 서울의 1일 강우량이 294.8㎜로, 그때까지 기상 관측 사상 최고의 기록이었다. 1990년 9월 9~11일 중부지방에서 발생한 호우는 지역에 따라 1일 강수량 100~300㎜를 기록했으며, 이로 인해 한강 하류의 행주대교 부근 북쪽 제방이 무너져 경기도 고양군 일대가 침수, 인명·재산상의 막대한 피해를 보았다.

2011년 7월 25일 저녁의 소나기를 시작으로, 7월 28일까지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강남역 등 곳곳이 침수하고, 7월 27일 '우면산 산사태' 사건이 일어났다. 당시 서울에 시간당 100mm의 폭우가 내려, 27일 하루 동안의 강우량이 270mm를 기록하는 100년만의 폭우였다. 서초구 우면산 일대의 산사태로 인해 서초동과 형촌마을, 전원마을 등에서 모두 1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홍수가 나면 막대한 재산 피해는 물론 인명피해까지 초래할 수 있다. 홍수 피해 대책은 긴 시간이 필요하고 사전에 철저한 계획을 세워야 하는 사업이 대부분이다. 댐 건설, 삼림 녹화 사업, 사방 공사, 제방 및 배수 시설 정비, 하천의 폭 넓히기 등과 함께 무분별한 개발을 억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외에도 홍수예보를 이용해서 응급조치를 취하는 응급대책을 미리 세워야 한다. 각 가정에서도 장마 기간 전 집안의 시설물을 점검하고, 제습 용품이나 장마 대비 용품을 갖추고, 장마기간 안전 운전을 위해 타이어 마모 상태를 확인하는 등 장마를 대비할 필요가 있다.[3]

해양사고 인명피해[편집]

해양수산부가 제공한 '최근 6년간(2017년~2022년 8월) 해양사고 발생 현황'자료에 따르면, 최근 6년간 총 15,693건의 해양사고가 발생하고, 2,825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유형별로 살펴보면, 기관손상이 4,777건으로 전체 사고 발생 건수 15,693건 중 30.4%를 차지했고, 그다음으로 부유물 감김 11.6%(1,823건), 충돌 9.1%(1,423건), 추진축계손상 6.6%(1,043건), 안전사고 6.4%(1,010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명피해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인명피해 2,825명 중 사망 450명, 실종 199명, 부상 2,176명으로 드러났다.

발생 장소별로 살펴보면, 전체 15,693건 중 약 90.5%인 14,203건이 국내 영해, 무역항 및 진입수로 등 국내에서 발생했고, 나머지 약 9.5%인 1,490건이 동해공해, 서해공해, 남해공해 등 국외에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해양사고가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수부의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예산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다.

해수부의 '최근 6년간(2017~2022.8)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예산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예산은 693억400만원으로 2017년 799억 3,200만원에 비해 106억2,800만원 줄어들었다.

또한, 전체 해수부 예산 대비 해양사고 예방사업 예산 비중도 2017년 1.6%에서 올해 1.1%로 0.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4]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인명피해〉, 《네이버국어사전》
  2. 이정현 기자, 〈터널 내 교통사고 5년간 44% 증가…치사율도 높아〉, 《연합뉴스》, 2022-03-24
  3. 장마, 일정한 패턴 없는 '변칙 장마'로 변하고 있어〉, 《국가기록원》
  4. 조수아 기자, 〈최근 6년간 해양사고 인명피해 2천825명, 사고 예방 예산은 106억원↓〉, 《한국농어촌방송》, 2022-10-06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인명피해 문서는 교통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