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좌석버스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좌석버스는 도시형 버스에 2인용의 머리 받침 부분이 높은 시트를 장착하여 운행하는 버스의 일종이다.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개요[편집]

좌석버스는 도시형 버스에 2인용의 머리 받침 부분이 높은 시트를 장착하여 운행하는 버스 차량의 일종이다. 입석버스보다 정류장 수가 평균적으로 적으며 평균 속도가 빨라 주요 거점을 빠르게 잇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도시형 버스의 요금보다 비싸지만, 시외버스보다는 저렴하다. 좌석버스는 지역마다 종류가 다르며 직행좌석버스, 급행버스, 공항버스 등이 있다. 그중에 단순하게 좌석버스라고 불리는 버스는 대부분 일반좌석버스이며 시내버스에 포함되는 등급으로 사용된다. 대부분 BS106, 에어로시티(Aero City) 등의 대형버스가 운행되나 몇몇 농어촌지역의 좌석버스는 BS090, 그린시티(Greencity) 등의 중형버스가 운행되기도 한다. 좌석버스를 가장 먼저 운행한 지역은 부산광역시로 1978년부터 운행했다. 1978년에는 시내 직행버스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이후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다른 지역에도 점차 늘어나면서 좌석버스라는 용어가 정착하게 됐다. 1990년까지는 좌석 확보를 위해 뒷문이 없는 전비형차량이 많았으나 부산광역시에서는 1992년부터 뒷문이 있는 좌석버스를 많이 출고했다. 이것이 전국으로 퍼져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등 1996년부터 점차 전중비형 좌석버스의 비중을 늘려갔으며 1998년 즈음부터는 많은 곳에서 전중비형 좌석버스를 생산했다. 2000년대에는 전중비형이 거의 기본옵션으로 장착됐지만 입석 금지로 인해 KD운송그룹은 2015년부터 전비형으로만 좌석버스를 출고하고 있으며 문경여객, 상주여객, 울진여객 등은 좌석버스에 시외직행 옵션의 전비형 차량을 투입했다.[1]

지역[편집]

서울특별시[편집]

서울특별시는 서울 외곽 지역 위성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버스와 공항버스가 좌석버스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2] 2004년 7월 1일 개편 이전의 좌석버스는 두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서울특별시의 시내만 운행하는 좌석버스는 간선버스로 형간전환되었고, 서울 시외와 서울 도심 및 부도심을 운행하는 좌석버스는 광역버스로 개편되었다. 옛 760번 좌석버스에서 개편된 642번은 개편 당시 영등포역과 노량진역 등을 경유하게 되어 노들길을 직통으로 운행했던 760번 버스와 어긋난다는 평을 받고, 결국 개편 2주 만에 옛 760번과 동일한 노들길 직통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처음에는 모든 곳에 좌석버스를 투입하였다가 단 1대가 남았는데, 이마저도 6629번으로 이동되어 모두 입석 버스로 운행한다. 서울 지하철 9호선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입석 버스가 강서권과 강남권을 왕래하였기 때문에 늘 만석이었고, 특히 좌석버스는 서 있을 때 입석 버스보다 훨씬 좁고 불편했을 정도였다.[3]

서울특별시 좌석버스 요금표[3]
종류 교통카드 현금 조조할인
일반 2,300원 2,400원 1,840원
청소년 1,360원 1,800원 1,090원
어린이 1,200원 1,200원 960원

인천광역시[편집]

인천광역시는 직행좌석버스, 공항 좌석버스, 일반좌석버스로 좌석버스가 분류된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중 광역버스를 포함한 모든 좌석버스의 운행 대수는 475대로, 인천 시내버스 전체의 약 20%에 해당하며, 광역시 이상급의 대도시 중에서는 좌석버스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좌석버스의 번호 체계는 공항 좌석버스가 300번대로 되어 있으나 다른 등급의 경우 별도의 번호 체계가 없다. 인천공항 개항 초기에 공항좌석버스의 체계가 없던 시절 개통된 111번과 늦게 개통된 117번의 경우는 예외이다. 원래 100번대는 시내 좌석버스였으나 대부분 폐선되거나 간선버스로 전환되었다. 1990년대에는 모든 회사가 좌석버스 노선을 보유하고 있었고 통일된 요금에 통일된 도색을 사용했으며 103번과 780번대 노선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은 전부 시외좌석과 공항 좌석으로 사용됐다. 공동배차 시절 운행했던 시내 좌석버스들은 거의 다 폐선되었고 103번과 103-1번만 운행 중이다. 다만 시내 좌석버스는 요금이 간선형과 동일하며, 인천광역시의 경우 간선버스에도 대부분 좌석형 차량이 투입되어 간선버스와 큰 차이는 없지만 엄연한 좌석버스로 국가유공자의 무임승차가 불가능하다. 또한 코로나 19가 발생한 이후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공항 좌석버스의 경우 해외입국자는 탑승할 수 없으며, 강인 여객계열 공항 좌석 위주 차량과 일부 전문형 예비차의 운전자 뒤쪽 좌석을 막아두었다.[4]

인천광역시 좌석버스 요금표[4]
구분 교통카드 현금
직행좌석 일반 1,300원 2,000원
청소년 900원 1,500원
어린이 530원 900원
공항좌석 일반 1,650원 2,400원
청소년 1,200원 1,800원
어린이 700원 1,000원
일반좌석 일반 1,250원 1,300원
청소년 870원 900원
어린이 500원 500원

부산광역시[편집]

부산광역시는 붉은색으로 도색된 1000번대의 급행버스가 좌석버스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2009년부터 차량의 길이가 길고 서스펜션이 고급으로 들어간 고급좌석형으로 대체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중 금정산성을 운행하는 203번은 유일한 중형노선이다.[2] 부산의 좌석버스는 총 190대가 운행 중이며, 전체 시내버스 중 좌석버스의 비율은 약 7%로, 광역시 이상의 대도시 중 좌석버스 비율이 인천에 이어 2번째로 높다. 부산광역시는 전국에서 최초로 좌석버스를 운행한 지역으로 1978년에 운행을 시작했다. 당시 이름은 시내 직행버스로 도색은 흔히 기억하는 부산/경남 좌석버스 도색을 적용했다. 좌석버스 최초 도입분은 전차량이 한국지엠㈜(GM KOREA)의 BF101이었으며 이후 2차 도입분에서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 HD170과 한국지엠㈜ BF101을 혼용해서 들어왔다. 이후 FB485가 출시되어 현대자동차㈜ FB485와 한국지엠㈜ BF101을 혼용해서 도입하기 시작할 시기부터 현대자동차㈜의 사용 비중이 매우 높아졌다. 초창기에는 300번대 직행좌석버스로 시작하였으며, 나머지는 공항버스인 201번과 205번 정도가 있었다. 초창기 300번대 시절 좌석버스 노선으로는 301번, 302번, 303번, 304번 305번, 306번 307번, 308번, 309번, 310번, 378번 등이 있다.[5]

부산광역시 좌석버스 요금표[5]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700원 1,800원
청소년 1,350원 1,700원
어린이 1,200원 1,300원

광주광역시[편집]

광주광역시는 공항 좌석버스가 좌석버스로 1000번이 운행하고 있으며 2015년 6월 3일부터 조선대학교에서 광주역, 유스퀘어, 광주광역시청, 광주송정역 등을 거쳐 도산동 간 직행좌석버스 투입과 동시에 좌석버스 제도를 다시 추진하고 있다. 당시 나주시와 혁신도시 구간 노선 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아, 조선대 해오름관 - 도산동 구간만 운행하기로 하고 우선 개통되었다. 좌석버스의 부활로 현대자동차㈜ 유니시티(Unicity) 신차를 사용했으며 우선 개통분으로 12대를 들여와 운행을 시작했고, 이후 10대를 추가로 들여와 22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또한, 광주광역시가 국토교통부 조정위원회에 제출한 혁신도시 노선 조정신청이 인용되어 혁신도시까지 연장 운행 할 수 있게 되었다. 좌석버스의 도색은 급행버스 도색과 동일하며 요금은 1,800원으로 학생 할인이 가능하다. 또 잔여 좌석표시기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빈자리를 확인하면서 타는 것이 좋다. 간혹 예비 차가 없어 차량정비를 시행하기 때문에 배차 간격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2][6]

광주광역시 좌석버스 요금표[6]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700원 1,800원
청소년 1,350원 1,500원
어린이 850원 1,000원

울산광역시[편집]

울산광역시는 붉은색과 푸른색의 혼합 도색으로 칠해진 버스가 좌석버스로 그중 1127번과 1137번은 광역버스의 역할을 담당하며 5000번대의 급행버스도 이러한 기능을 담당한다.[2] 또한 좌석버스나 리무진버스로 환승할 시 일반 버스와의 차액을 지불해야 한다. 앞에 탔던 버스에 상관없이 일반 버스 기본요금만 할인이 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좌석버스에서 좌석버스로 환승해도 일반 버스 카드 요금인 1,250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차액을 지불해야 한다.[7]

울산광역시 좌석버스 요금표[7]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2,080원 2,300원
청소년 1,700원 2,000원
어린이 1,300원 1,300원

대전광역시[편집]

대전광역시는 2008년 대개편을 통해 좌석버스의 요금이 간선버스, 지선버스와 요금이 동일하다. 차량의 대부분이 저상버스로 교체되다가 2017년 금남 교통을 마지막으로 좌석버스의 전 차량이 교체되었다. 간선급행버스 1001번 차종으로는 현대자동차㈜ 유니버스(Universe)가 운행되며, 202번과 교차 운행하는 계룡시 차적의 2002번 버스도 현대자동차㈜의 유니버스로 운행된다. 또한 예비차량에 일반좌석버스가 운행되고 있다.[2] 대전광역시의 좌석버스는 본래 프런트 엔진 버스 시절에는 FB485 기본 도색 중 파란색 도색에 전면부와 후면부에만 주황색 줄을 추가시킨 도색을 사용했고, 이후 리어 엔진 좌석버스가 도입되면서부터 노란색, 연두색, 녹색의 3선 도색을 사용하였다.[8]

대전광역시 좌석버스 요금표[8]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250원 1,400원
청소년 750원 900원
어린이 350원 400원

대구광역시[편집]

대구광역시는 붉은색으로 도색된 급행버스가 좌석버스의 기능을 담당한다.[2]

대구광역시 좌석버스(급행버스) 요금표[9]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650원 1,800원
청소년 1,110원 1,300원
어린이 650원 800원

경기도[편집]

경기도의 좌석버스는 푸른색 도색으로 칠해진 버스가 일반좌석버스이고, 붉은색으로 칠해진 버스가 직행좌석버스이다. 일반좌석버스의 경우 도시형 차종으로 운행하는 혹은 일부 고급형 차량으로 운행한다. 직행좌석버스의 경우 고양시의 1001번과 파주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직행좌석버스는 고급형 차량으로 운행한다.[2] 경기도 광명시는 광명7동에서 KTX광명역까지 운행하는 3000번 직행 좌석 버스를 신설하여 2021년 10월 1일부터 운행한다. 기존 일반 버스를 이용해 광명7동에서 KTX광명역까지 가는 경우 30개 이상의 버스 정류소 정차로 40분 이상 소요됨에 따라 KTX광명역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불편을 겪어왔다. 하지만 3000번 직행 좌석 버스는 광명7동 화영운수 차고지 기점에서 출발, 광명사거리역, 철산역, 우체국사거리 등 중요 환승 정류소만 정차함에 따라 이동 시간이 절반으로 줄어들어 KTX광명역 이용 시민의 편의가 증대된다.[10]

경기도 좌석버스 요금표[11]
구분 교통카드 현금
일반좌석 일반 2,450원 2,500원
청소년 1,820원 1,900원
어린이 1,640원 1,700원
직행좌석 일반 2,800원 2,900원
청소년 1,960원 2,000원
어린이 1,960원 2,000원

경상남도[편집]

창원시

창원시의 일반좌석버스가 좌석버스의 기능을 담당하며, 그중 800번, 801번, 860번 등이 급행버스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다른 명칭으로는 간선좌석버스라고 한다.[2]

창원시 좌석버스 요금표[12]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750원 1,800원
청소년 1,300원 1,350원
어린이 1,300원 1,350원
양산시

양산시의 좌석버스 시계 외 노선으로는 양산신도시와 부산광역시 명륜동을 잇는 1100번, 1200번, 1300번, 1500번과 부산광역시 노포동과 울산광역시를 잇는 2100번, 2300번, 고속철도 울산역과 양산신도시를 잇는 3000번, 고속철도 울산역과 웅상을 잇는 3100번 등이 있으며, 시내 노선으로는 양산역과 배내골을 이어주는 1000번이 있다.[2]

양산시 좌석버스 요금표[13]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850원 1,900원
청소년 1,200원 1,250원
어린이 1,200원 1,250원
거제시

거제시는 부산 하단교차로와 거제 연초 노선을 잇는 2000번이 직행좌석버스 기능을 담당한다.[2]

거제시 좌석버스 요금표[14]
구분 교통카드 현금
일반좌석 일반 1,500원 1,600원
청소년 1,200원 1,250원
어린이 1,200원 1,250원
직행좌석 일반 1,700원 1,800원
청소년 1,350원 1,700원
어린이 1,200원 1,300원
김해시

김해시의 좌석버스로는 상동 여차마을에서 부산 구포시장을 노선을 잇는 73번, 김해 선암동에서 창원대학교를 잇는 97번, 98번, 김해 롯데아울렛에서 부산 하단지하철역을 잇는 220번 노선 등이 있다.[2]

김해시 좌석버스 요금표[15]
구분 교통카드 현금
직행좌석 일반 1,850원 1,900원
청소년 1,200원 1,250원
어린이 1,250원 1,200원
시내좌석 일반 1,500원 1,600원
청소년 1,200원 1,250원
어린이 1,200원 1,250원
일반좌석 일반 1,450원 1,500원
청소년 950원 1,000원
어린이 700원 750원

전라남도[편집]

목포시

목포시는 2007년 3월 1일 개편을 통해 기존의 광주 좌석버스 도색인 주황색을 적용하였다. 일반좌석버스가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며, 주로 시계 외 구간을 운행한다. 다만 시계 외 구간 요금이 없다. 또한 2007년 3월 1일 개편 시 다른 명칭으로는 외곽 연계버스라는 명칭을 쓰며 노선은 200번, 300(A), 500번, 800번, 900번(A), 1000번 등이 있다.[2] 또한 목포시는 2020년 9월부터 코로나 19로 인한 버스 이용객 감소로 운송사의 수입이 급감한 점과 연료비 및 인건비 등 인상으로 인한 운송원가 상승을 고려해 좌석버스의 요금을 200원 인상했다.[16]

목포시 좌석버스 요금표[17]
구분 교통카드 현금
공통 2,000원 2,100원
여수시

여수시의 좌석버스에는 주로 돌산읍 방면의 113번과 114번이 있다. 원래는 별개로 좌석버스 요금을 받았으나 수요가 저조하고 요금이 너무 비싼 이유로 2016년 8월부터 일반 버스 요금으로 인하되었다.[2]

여수시 좌석버스 요금표[18]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400원 1,500원
청소년 1,100원 1,200원
어린이 100원 750원

충청남도[편집]

계룡시

계룡시에는 대전역과 계룡시를 왕복하는 경익버스 2002번 노선이 고급좌석에 해당한다. 48번 노선은 대전광역시 외곽버스에서 이관된 후 일반 좌석형 차량으로 바뀌었다.[2]

계룡시 좌석버스 요금표[19]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250원 1,400원
청소년 750원 850원
어린이 350원 400원
서산시

서산시는 서령버스에서 좌석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1990년에 좌석버스를 운행하였다.[2] 또한 서산시 좌석버스는 2020년 7월 20일부터 요금이 200원 인상되었다. 서산시 버스 요금 인상은 지난 2013년 8월 이후 7여년 만으로 인건비 상승 등에 따른 운송원가 상승과 코로나 19 여파로 경영 여건이 악화한 시내버스업체의 경영 개선을 위해 이뤄졌다.[20]

서산시 좌석버스 요금표[21]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900원 2,000원
청소년 1,230원 1,600원
어린이 900원 1,000원
태안군

태안군에는 농어촌버스가 좌석버스의 기능을 한다. 태안군의 좌석버스는 태안여객의 태안읍에서 안면읍, 서산터미널에서 태안여고까지 가는 좌석버스 노선이 있다.[2]

태안군 좌석버스 요금표(성인기준)[22]
구분 남면 연육교 창기리 승언(안면도) 꽃지, 방포
태안터미널 1,500원 2,200원 2,400원 2,900원 4,000원
남면 1,500원 1,600원 2,200원 2,800원
연육교 1,500원 1,500원 2,200원
창기리 1,500원 1,700원
승언(안면도) 1,500원

충청북도[편집]

청주시

청주시에는 증평 방향 105번, 105-1번, 대전 신탄진 방향 407번, 조치원 방향 502번의 좌석버스가 있다.[2] 청주시가 일부 좌석버스를 급행버스로 전환한다. 통행속도를 높여 대중교통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목적인데 사실상 요금인상이 될 수 있다는 논란이 예상된다. 청주시에 따르면 일반 시내버스와 좌석버스의 요금이 같고 좌석이 많으며 배차 간격이 짧은 이유 등으로 좌석버스에 승객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승객이 몰리면서 운행이 지연되고 불편 민원이 집중되면서 좌석버스 승무원의 근로 여건이 악화하고 있다. 청주시는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 정시성 확보와 통행속도 증가 등 대중교통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일부 좌석버스 노선의 절반을 급행버스로 전환한다. 급행버스로 전환되는 노선은 105번과 502번이다. 전환 시점은 2022년 1월 1일부터로 도입 급행버스는 22대로 대상 좌석 노선의 50%가 급행버스로 운행된다. 준공영제 예산에 기존 편성된 차량도입 비용 감가상각비로 처리돼 별도 예산이 투입되진 않지만 노후차량의 안전 문제로 2021년 11월 1일부터 2대가 조기 투입되며 조기 투입 차량은 일반 좌석버스와 동일하게 운행한다. 2021년 기준 좌석버스는 모든 승강장에 정차하며 성인 기준 현금 1,500원, 카드 1,400원의 요금을 받고 있는데 전환될 급행버스는 현금 1,900원, 카드 1,800원의 요금이 책정될 예정이다.[23]

청주시 좌석버스 요금표[24]
종류 교통카드 현금
일반 1,400원 1,500원
청소년 1,100원 1,200원
어린이 650원 750원

각주[편집]

  1. 좌석버스〉, 《나무위키》
  2.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좌석버스〉, 《위키백과》
  3. 3.0 3.1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4. 4.0 4.1 좌석버스(인천)〉, 《나무위키》
  5. 5.0 5.1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6. 6.0 6.1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7. 7.0 7.1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8. 8.0 8.1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9.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10. 조연수 기자, 〈광명시, 좌석 버스 3000번 신설…광명동~KTX광명역 직행〉, 《OBS》, 2021-09-23
  11. 경기도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12. 창원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13. 양산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14. 거제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15. 김해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16. 서상용 기자, 〈목포시, 시내버스 요금 다음달부터 인상〉, 《무안신안뉴스》, 2020-08-25
  17. 목포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18. 여수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19. 계룡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20. 최미향 기자, 〈서산시 시내버스 요금 인상〉, 《서산시대》, 2020-07-24
  21. 서령버스〉, 《나무위키》
  22. 태안군청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taean-pti.kr/index.php?mp=p2_7
  23. 심형식 기자, 〈청주시 일부 좌석버스 ‘급행노선’ 전환〉, 《충청투데이》, 2021-09-27
  24. 청주시 시내버스〉,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좌석버스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