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좌측통행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좌측통행(左側通行, left-hand traffic, LHT)은 자동차를 포함한 교통수단이 좌측으로 통행하는 것을 말한다. 정반대는 우측통행이다.

자동차 도로를 대상으로 하면 주로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국가들이 좌측통행을 채택하고 있다. 국내에도 해외 직수입 차량 소유자 중에 우측 운전석 차량 소유자를 볼 수 있는데 거의 대부분 일본에서 직수입해온 경우다. 보행 방향을 대상으로 하면 국내에선 일제강점기부터 2010년 상반기까지 좌측통행이었다. 2003년생까지는 학교에서 좌측통행 교육을 받았지만 2009년에 법 개정을 통하여 2010년 7월 1일부터 모든 도로가 우측통행 원칙을 따르는 것으로 통일되었다.

유래[편집]

오늘날 자동차 운전석의 위치는 마차에서 유래한 것이다. 우측 운전석의 원류는 바로 영국인데 영국의 마차에서 우측 운전석 차량이 유래한 것이다. 영국의 마차는 말 2필이 끄는 마차인데 마부 전용석이 따로 없었던 게 특징이다. 그런데 사람은 주로 오른손잡이들이 많으므로 오른손으로 채찍질을 하게 되는데 마부 옆에 손님이 앉게 되므로 손님이 채찍을 맞는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마부가 손님의 오른쪽에 앉아야 했다. 그래야 마부가 휘두르는 채찍이 손님에게는 맞지 않고 오로지 말에게만 채찍을 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마부가 마차의 오른쪽에 앉아 있었기 때문에 반대편에서 오는 마차를 보기 위해서는 마차가 좌측으로 다녀야 했다.

마부가 앉은 자리가 마차의 오른쪽이었기에 훗날 자동차가 제작되었을 때에도 마부의 위치에 영향을 받아 운전자의 위치를 자동차의 오른쪽으로 정해둔 것이었다. 마찬가지로 운전자가 오른쪽에 앉아 있으므로 차량의 통행방향도 좌측통행이다.

영국의 기사와 일본의 사무라이가 항상 칼을 차고 다녔던 관습에서 유래했단 설도 있다. 오른손잡이 기준으로 칼을 뽑으려면 왼쪽 허리춤에 차게 되는데, 이럴 경우 우측통행하면 칼집이 부딪혀 서로 기분이 언짢아지고 심하면 결투로 이어지기도 했다. 따라서 이를 근본적으로 막으려 좌측통행했고 이후 마차와 자동차, 철도에까지 이어졌다는 설명이다.그러나 별 근거는 없다. 그리고 기사가 칼을 차고 다니는것은 영국뿐 아니라 유럽 전역이 다 마찬가지였고, 칼을 가지고 결투했던 문화가 가장 활발했던 곳은 프랑스였다.

일본에서 좌측통행이 결정된것은 1881년의 일로 경시청 통달 및 마차 단속 규칙 개정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 이유는 앞서 든 차마 등에는 왼쪽으로 피한다는 통지를 염두에 두었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한다. 영국 유래설 및 사무라이의 도검설이 부정되는 것이다.

특징[편집]

주요 교통수단이 마차에서 자동차로 바뀌면서, 우핸들 차량은 왼손잡이인 사람에게 유리할 수 있다. 우선 운전자가 오른쪽에 앉아 있으므로 기어를 넣을 때는 대부분 왼손으로 넣어야 한다. 그러므로 좌측 운전석일 때보다 왼손잡이인 사람에게 좀 더 편할 수 있다.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널 때에는 먼저 자신의 오른쪽을 보고 건너고 중앙선을 넘어서 왼쪽을 보고 건너야 한다. 간단할 것 같지만 사실 은근히 헷갈린다. 가령, 영국의 수도 런던이나 영국의 영향을 받은 홍콩등에서는 횡단보도마다 'Look Right(우측을 보세요)'라고 도로에 큼지막하게 적어놨는데 그래도 헷갈린다.

한국에도 간혹 우측 운전석 차량을 볼 수 있는데 주로 일본에서 수입해온 차들이 많다. 다만 이런 차들은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우선 운전자가 오른쪽에 있기 때문에 추월할 때 좌측 차선이나 중앙선 쪽이 운전자의 시야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좌측 방어운전이 어려워 안전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 가장 불편한 것은 톨게이트에 진입할 때인데 하이패스라면 그나마 낫겠지만 그것도 아니라면 혼자서 차를 몰고 다니기엔 상당히 불편하다. 조수석에 누가 타고 있지 않는 한 요금 계산할 때 애로점이 매우 심하다.

우측 운전석 차량은 대부분의 운전석 스위치의 배치가 좌측 운전석과 정반대이다. 방향등 스위치는 우측, 와이퍼 스위치는 좌측에 있는 식. 단, 페달의 위치는 물론 수동변속기의 경우 기어 배치는 운전석 방향과 무관하게 동일한 순서로 배치된다. 좌핸들 차량에 익숙해져있다가 우핸들 차량을 처음 운전할 때 은근히 헷갈릴 수 있는 부분. 다만 모든 차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고 차량 브랜드의 소속 국가의 방식을 따라가는 편이다. 우측 운전석 국가의 메이커 (예: 토요타, 렉서스) 의 차량들은 우측 운전석의 배치를 따르며, 우측 운전석 국가로 수출된 좌측 운전석 브랜드의 차량(예: 일본으로 수출된 메르세데스-벤츠)는 우측 운전석이어도 좌측 운전석의 배치를 따른다.

특이하게도, 과거 자동차를 열쇠로 문을 열고, 시동하던 2000년대까지는 일본 내수용 차량들이 핸들이 우측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쇠구멍이 오른쪽에 있었다. 좌측에 핸들이 있는 차량으로 치면 포르쉐처럼 되어 있던 것. 집 대문을 열쇠로 열거나 자물쇠를 딸 때 오른손잡이 기준 보통 오른손으로 여는 것을 생각하면 편하다. 당연한 것이지만 포르쉐가 특이한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전 인류의 80~90%가 오른손잡이기에 당연한 배치. 오른손, 왼손이 별 상관 없는 버튼 방식이 도입된 현재의 일본 내수용 차량들은 대부분 핸들 왼쪽에 시동 스위치를 배치한다.

일부 국가나 지역들의 경우 우측통행에 익숙한 외국인들을 배려하기 위해 안내 표지를 설치하기도 한다. 호주의 경우 'DRIVE ON LEFT' 표지판을 볼 수 있으며, 일본 대마도에는 노면에 좌측통행을 유도하는 화살표가 그려져 있다.

드물게 1967년 이전 스웨덴이나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처럼 좌측통행임에도 대다수의 차량은 좌핸들인 사례가 존재한다. 또한 이탈리아의 팔라티노 다리처럼 우측통행이 기본인 나라에서도 부분적으로 좌측통행하는 구간이 존재하는 사례도 있다.

좌측통행을 채택하고 있는 국가[편집]

좌측통행, 우측 운전석 제도의 발상지가 영국이었기 때문에 대체로 영국의 식민지였거나 영연방 국가들에게서 영향을 받은 국가들이 이 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 당시 영일동맹 등 영국의 영향을 받아 좌측통행을 했다는 설도 있고, 마차와 비슷하게 사무라이들이 칼을 왼쪽에 차고 다녔기에 서로 칼이 부딪치지 않도록 좌측통행한 것이 자동차까지 이어졌다는 설도 있다. 태국도 식민 지배는 받지 않았지만 라마 5세가 영국과 교류를 많이 하고 영국에서 신문물을 많이 들이는 정책을 시행한 잔재와 말레이시아의 영향으로 좌측통행 우측 운전석 문화가 남았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물론 이 중에서는 캐나다처럼 제반 사정으로 우측통행으로 변경된 국가들도 있다.

차도[편집]

  • 아시아
  • 네팔

동티모르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키프로스
  • 태국
  • 파키스탄
  • 홍콩
  • 유럽
  • 몰타
  • 영국(지브롤터와 영국령 인도양 지역 제외)
  • 아일랜드
  • 오세아니아
  • 나우루
  • 뉴질랜드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호주
  • 아프리카
  •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세이셸
  •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 에스와티니
  • 우간다
  • 잠비아
  • 짐바브웨
  • 케냐
  • 탄자니아
  • 아메리카
  • 가이아나
  • 그레나다
  • 도미니카 연방
  • 몬트세랫
  • 바하마
  • 바베이도스
  • 버뮤다
  •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 수리남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앤티가 바부다
  • 앵귈라
  • 자메이카
  • 케이맨 제도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포클랜드 제도

이상의 국가들이 모두 좌측통행, 우측 운전석 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들로 여기에 열거된 곳들 중 독립국인 국가들만 계수하면 총 53개국이다. 유엔에서 정식으로 인정한 국가는 총 193개국인데 53개국이 좌측통행, 우측 운전석이므로 나머지 140개국이 좌측 운전석, 우측통행 제도라고 보면 되는 것이다.

철도[편집]

우측통행을 채택하고 있는 국가라도 철도에서는 좌측통행을 채택한 나라들이 많다. 이렇게 된 이유는 철도가 한창 부설될 시점에는 좌측통행을 채택하고 있었거나(스웨덴, 미얀마), 좌측통행인 나라(의 기업)의 영향으로 철도가 건설되었기 때문이다(한국, 북한, 중국, 대만, 프랑스 등 대부분). 철도는 통행방향을 바꾸려면 신호체계, 안내판, 심하면 배선까지 전부 뜯어고쳐야 하고 승무원 재교육까지 시켜야 하기 때문에 도로의 통행방향과 다르다고 해서 따라 바꾸기가 힘들다. 이 나라들도 도시철도는 대부분 현재 도로 통행방향에 맞춰 우측통행을 하지만, 도시철도가 개통되었을 때의 도로 통행방향이 좌측통행이었거나 하는 이유로 좌측통행을 하는 도시철도도 꽤 있다.

도로는 우측통행인데 일반철도는 좌측통행인 나라들은 다음과 같다.

  • 아시아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대만
  • 라오스
  • 베트남
  • 미얀마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이스라엘
  • 유럽
  • 모나코
  • 프랑스(알자스-로렌 제외)
  • 벨기에
  • 이탈리아
  • 핀란드
  • 포르투갈
  • 슬로베니아
  • 스웨덴
  • 스위스
  • 터키
  • 아프리카
  • 이집트
  • 나이지리아
  • 튀니지
  • 짐바브웨
  • 남아메리카
  • 페루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베네수엘라
  • 아르헨티나

한국에서 좌측통행하는 철도 노선[편집]

한국은 도시철도법에 따른 도시철도운전규칙에 우측통행을 규정한 것 말고는 법적 규정이 없다. 2004년까지는 국유철도운전규칙(국토교통부령) 제44조에 좌측통행을 규정하고 있었으나 국유철도운전규칙이 철도차량운전규칙으로 대체되면서 폐지되었다. 그래서 좌측통행인 철도를 우측통행으로 바꾸어도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일산선은 건설 계획 단계에서는 좌측통행이었으나,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통하기 위해 꽈배기굴을 설치하여 예산 낭비를 초래한다는 감사원의 지적을 받고 우측통행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이에 맞춰 국유철도운전규칙에서 도시철도 운영자와 협의하여 우측통행을 할 수 있도록 예외규정을 신설했다.

  • 고속철도 전부
  • 일산선, 진접선을 제외한 모든 일반철도
  •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운행계통
  • 수도권 전철 1호선(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 포함)
  • 수도권 전철 4호선 선바위역~오이도역 구간 - 이로 인해 꽈배기굴이 생겼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인천국제공항철도
  • 신분당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동해선 광역전철

차량과 보행자의 통행 방향이 다른 경우[편집]

대한민국(1961~2010): 광복 이후도 환경적 이유로 오랫동안 좌측보행이 당연시되었고, 1961년 제정된 도로교통법상에서는 아예 인도가 따로 없으면 보행자는 좌측통행이라 못박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의 주거문화가 아파트 위주로 바뀌고 도로 인프라도 차도와 인도가 구분되는 곳이 많아지면서 더 이상 좌측보행을 할 필요가 없어져 2010년에 7월에 우측보행으로 전면 전환되었다. 예외로 좌측보행을 기준으로 설계된 건축물들은 계속 좌측보행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면도로에서는 우측보행이 좌측보행보다 위험해서 그런지 좌측보행을 권장하고 있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좌측통행 문서는 도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