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중대형화물차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대형화물차중형화물차대형화물차를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타고 월렌트 대형 가로 배너.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타고] 1개월 단위로 전기차가 필요할 때! 타고 월렌트 서비스

차급[편집]

화물차 차급 비교[1]
차급 분류 기준
경형 초소형 배기량 250cc(전기차 15kW) 이하이고, 길이 3.6m, 너비 1.5m, 높이 2.0m 이하인 것
일반형 배기량 1,000cc 미만이고, 길이 3.6m, 너비 1.6m, 높이 2.0m 이하인 것
소형 최대적재량 1t 이하, 총중량 3.5t 이하인 것
중형 최대적재량 1t 초과 5t 미만이거나, 총중량 3.5t 초과 10t 미만인 것
대형 최대적재량 5t 이상이거나, 총중량 10t 이상인 것

구분[편집]

중형화물차[편집]

중형화물차는 최대적재량이 1t 초과 5t 미만이거나, 총중량이 3.5t 초과 10t 미만인 화물차를 말한다. 중형화물차는 주로 대량 물품을 운송하거나 쓰레기, 재활용 수거 등에 사용된다.[2]

메가트럭
메가트럭(Mega Truck)

메가트럭(Mega Truck)은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가 출시한 중형트럭으로 화물 운송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파워트레인에는 독자 개발한 G 엔진을 장착해 최고출력 280마력, 최대토크 95kg.m의 힘을 낸다. 메가트럭 중 가장 긴 적재함을 갖춘 메가트럭 와이드캡과 와이드캡 8.9 섀시캡에 장착한 엔진은 최고 출력 300마력, 최대토크 110kg.m에 달한다. 또한 메가트럭은 파워모드와 에코모드 등 두 가지 값을 선택해 운행상황에 따라 적합한 주행이 가능하다. 또 엔진 고유마찰 저항 제거를 돕고 내리막길 및 평지 탄력 주행 거리를 증대해주는 에코롤 기능이 있다. 더불어 강력한 섀시와 고하중 프런트를 통해 강성을 높였다. 이에 적정 용량을 크게 상회하는 화물을 적재하는 사례도 빈번히 생기고 있다. 화물 적재공간도 다양화했다. 기본형 메가트럭에만 단축, 장축, 초장축, 초장축 플러스, 초장축 플러스 7.4, 극초장축 플러스 등 6가지 종류의 적재함을 출시했다. 최대 7.5t의 적재능력을 갖춘 메가트럭 고하중 SL 7.5에는 단축, 초장축, 초장축 플러스, 초장축 플러스 7.4 등 4개의 모델이 있고 와이드캡 모델 역시 4종류의 적재함을 장착한 모델이 출시되어 있다. 안전사양으로는 급제동이나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의 제동을 위해 ABS(Anti-Lock Brake System)를 장착했고 악조건에서도 안정된 주행을 돕는 ASR(Abti-Slip Regulator)을 추가로 장착했다. 내부에는 LCD 클러스터 장착을 통해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였고 운행의 상태를 알려주는 멀티 디스플레이를 달았다. 디스플레이에는 평균연비, 순간 연비, 연료 소모량, 우레아 소모량 등의 정보표시기능을 제공한다. 공조시스템에는 풀오토 에어컨 기능을 적용해 주행 편의성을 더했다. 또한 통풍시트도 달았는데 전동 팬을 이용해 시트 쿠션과 등받이에 바람을 보내주어 시트 바닥과 등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착좌감을 제공한다.[3]

대형화물차[편집]

대형화물차는 최대적재량이 5t 이상이거나, 총중량이 10t 이상인 화물차를 말한다. 대형화물차는 주로 대량 화물 업무, 트레일러, 건설기계로 사용된다.[2] 대형화물차의 연료탱크는 매우 크다. 차종마다 그리고 유가마다 다르겠지만 일반 승용차가 통상적으로 40~70L이지만 대형화물차는 장거리를 오가는 특성으로 인해 보통 600~700L까지 넣을 수 있다. 연료통 하나에 그렇게 많은 양의 연료가 들어갈 수 없기에 대형화물차의 연료탱크는 양쪽으로 나누어져 있다. 연료탱크가 커지면 먼 거리를 오갈 수 있지만 그만큼 차량의 무게가 무거워져 연비 효율성이 떨어진다. 무거운 만큼 속도를 내기 위해 많은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대형화물차의 연료탱크는 화물차 양옆에 주 탱크와 보조 탱크로 나누어져 있다. 양쪽에 동시에 주유할 수 없어 주 탱크에 먼저 주유 후 보조 탱크에 주유해야 한다.[4] 또한 대형화물차는 전고가 높아 시야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에 전방 차량흐름을 확인하기 쉽다. 이 때문에 대형화물차는 사각지대로부터 자유로울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오히려 사각지대가 넓어 크고 작은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형화물차의 앞부분은 승용차와 달리 수직으로 떨어지는 형태이며 높이가 높다. 이러한 이유로 대형화물차 바로 앞에 사람이 선다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 비슷한 이유로 왼쪽과 오른쪽 사이드미러로 볼 수 없는 곳이 생기게 된다. 특히 후방 시야의 경우 후방 시야를 대신하는 카메라가 없는 한 사실상 볼 수 없는 영역으로, 컨테이너처럼 기다란 화물을 실어 나를 경우 후방 사각지대가 상당히 넓어질 수 있다. 사각지대로 인해 주변 차량이 가까이 붙게 되면 운전자가 이를 보지 못하고 차로를 변경하다 옆 차로 차량과 부딪힐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이유로 고속도로나 일반 도로에서 큰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5]

엑시언트
엑시언트(Xcient)

엑시언트(Xcient)는 현대자동차㈜가 출시한 대형트럭으로 화물 운송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엑시언트는 2013년 서울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뉴파워트럭(New Power Truck)과 트라고(Trago) 1세대 모델의 통합 후속 차종으로 현대자동차㈜ 대형트럭의 본격적인 유럽 수출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프로젝트명 QZ로 2010년부터 3년간의 연구 기간 동안 2천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의 실내 높이가 기존 트라고 1세대 모델보다 330mm 늘어난 1,895mm로 높아져, 운전자가 실내에서 고개를 숙이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간이침대 폭도 650mm에서 800mm로 늘어났다. 엑시언트는 최고출력 420마력, 최대토크 200kg.m의 H 엔진과 최고출력 520마력, 최대토크 255kg.m의 파워텍 엔진이 장착되었다. 여기에 대한민국 대형트럭 최초로 운전석 에어백을 장착하여 안전성을 높였다. 트라고 엑시언트는 첨단 텔레매틱스 서비스인 블루링크가 최초로 적용된 상용차이기도 하며, 2013년 10월에 1호 차가 첫 출고 되어 고객에게 인도되면서 본격적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2014년 5월에는 간략한 트림 조정에 따라 프리미엄 골드가 새로 추가되었다. 2020년에는 엑시언트를 기반으로 제작한 수소트럭엑시언트 퓨얼셀(Xcient Fuel Cell)이 세계 최초로 양산되었다. 수소트럭은 수소탱크 용량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장거리 운행이 가능하며, 비용적으로도 유리하다. 또한 배터리 전기트럭의 운행 거리 비용을 비교할 경우 운송 비용이 더 저렴하며 진동과 소음이 매우 적어 조용한 주행이 가능하다. 이후 2021년 5월 25일, 2021년형 엑시언트 수소트럭이 출시됐다. 기존 엑시언트 수소트럭에 신규 그릴을 적용하고 섀시 라인업을 추가했다. 전면부는 직선적이고 굵은 V자 형상의 크롬 장식과 메쉬 패턴을 적용한 라디에이터 그릴이 친환경적이고 강인한 이미지를 표현한다. 또한 운전석 에어백을 기본으로 적용했다.[6]

요소수 품귀 현상[편집]

요소수는 중대형화물차의 생명수로 불리는 필수품으로 요소수가 없다면 화물차는 움직이지 못한다. 화물차 시장에서 태부족 사태를 겪고 있는 요소수는 디젤엔진의 선택적 환원 촉매 장치(SCR)에 투입되어 질소산화물 분해를 돕는 촉매제다. SCR은 주행 중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요소수를 분사하여 질소산화물을 깨끗한 질소로 환원한다. 요소수가 없다면 SCR 장치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SCR 장치를 탑재한 화물차는 요소수 부족 시 출력이 제한되거나 시동이 꺼지도록 설계된다. 요소수 사용이 필수적인 SCR 방식은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중대형화물차에 먼저 적용됐으며 대부분의 화물차가 SCR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방식 없이 배출가스 규제를 만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적재중량 2t 이상 준중형 및 중대형화물차의 경우 2021년 기준 약 56만 대가 운행 중이며 이 중 30%가 SCR 방식을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11월 중국이 요소수 수출에 제동을 걸면서 대한민국 요소수 시장은 혼란에 빠졌다. 중국은 요소수 원료인 암모니아석탄에서 주로 추출해왔는데, 석탄 가격이 급등하면서 요소 가격이 덩달아 상승했다. 여기에 중국 내 전력난으로 요소 공장 가동률까지 하락하면서 재고가 줄자 중국 정부는 우선 자국 시장을 안정화하고자 수출을 제한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한민국 요소수 가격은 중국이 요소 수출을 제한한 이후 2주 만에 5배 이상 급등했다. 시중에서 요소수를 구할 수 없게 되면서 온라인 중고거래 사이트에선 평소 주유소, 마트 등에서 1만 원 안팎에 팔렸던 10L짜리 요소수 한 통이 5만 원을 넘는 가격에도 거래되는 상황이다. 경유차가 대부분인 화물차 운전자들에게도 비상 상황이다. 요소수 없인 배출가스 기준을 맞출 수 없고, 일부 차량은 요소수가 부족하면 SCR 내 분사 장치가 고장 나거나 시동이 걸리지 않는 등 운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아울러 요소수 품귀 현상으로 운행에 차질을 빚는 디젤차 중에선 중대형화물차들이 많아 자칫 물류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요소수는 연료량 대비 5~7%가량 필요한데, 이는 중대형화물차가 500~800km를 달릴 때마다 10L씩 소모되는 양이다. 화물운송업계 관계자는 요소수 수입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요소수를 주입하면서 운행 중인 중대형화물차의 1/3가량이 멈춰 대한민국 산업 전체가 마비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요소수 수입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2021년 12월 중순부터 대한민국 중대형화물차의 30% 이상이 운행을 멈출 수밖에 없는 셈이다.[7][8]

현황[편집]

5t 미만 준중형 및 중형급 영업용 화물차 등록 대수는 꾸준히 줄어드는 데 반해 상대적으로 높은 차급의 카고형 영업용 화물차 등록 대수는 꾸준히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소형급과는 달리 그 이상 차급의 카고형 영업용 화물차는 2017년 시행된 업종개편 영향 탓에 활발한 대·폐차가 이루어졌다. 2020년 말 기준 5t 미만의 준중형 및 중형급 영업용 화물차는 총 8만 8,661대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개편이 시행된 직후인 2017년의 9만 686대 대비 2.3% 감소한 수치다. 해당 차급은 소형급과 마찬가지로 꾸준한 인기를 끌어왔던 차급이었지만 업종개편이 시행된 직후인 2017년부터 점차 감소한 모양새다. 이런한 감소세는 고스란히 8t 이상의 중대형화물차가 흡수했다. 업종개편 시행 직전이 2016년 당시 5만 7,176대 등록되어 있던 것이 2020년 말에는 5만 9,957대로 약 4.9% 늘었다. 과거 중형 이하 개별 번호판을 보유하고 있었던 차주가 해당 차량을 대·폐차한 후 대형 차급으로 톤수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대 적재량이 늘어날수록 매출과 유가보조금 수급 면에서 유리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는 운전자의 교체수요가 이 같은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된다.[9]

각주[편집]

  1. 박현욱 기자, 〈일반화물차 기준 아닌 초소형차 기준 적용된다 초소형 화물차 제작기준 현실에 맞게 완화〉, 《상용차신문》, 2020-03-23
  2. 2.0 2.1 현대 트럭앤버스, 〈나에게 딱 맞는 화물차 차급 찾기!〉, 《네이버 포스트》, 2021-09-07
  3. 김덕호 기자, 〈(상용차리그) 현대 메가트럭, 물류현장 누비는 중형트럭의 강자〉, 《이코노믹리뷰》, 2019-08-24
  4. 카링TV, 〈대형 화물차가 필요한 연료량은 얼마나 될까?!〉, 《네이버 포스트》, 2020-10-20
  5. 현대자동차, 〈'분명 내 차를 봤을 텐데...' 화물차가 갑자기 밀고 들어오는 어쩔 수 없는 이유〉, 《네이버 포스트》, 2020-10-20
  6. 현대 엑시언트〉, 《위키백과》
  7. 박순엽 기자, 〈경유차 필수품 '요소수' 품귀 현상…화물대란 이어질까〉, 《이데일리》, 2021-10-31
  8. 상용차신문, 〈(긴급점검) 중대형 트럭 '요소수 대란'...한달 뒤 '물류 올스톱'〉, 《네이버 포스트》, 2021-11-03
  9. 상용차신문, 〈인기 차급·용도 보면 '화물차 트렌드' 보인다〉, 《네이버 포스트》, 2021-09-28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중대형화물차 문서는 자동차 분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