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라고스

해시넷
(라고스시에서 넘어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라고스
라고스 위치

라고스(영어: Lagos, 요루바어: Èkó)는 나이지리아, 아프리카 연합의 최대 도시이다. 인구 약 1,600만 명으로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아프리카에서 이집트 카이로 다음으로 큰 거대 도시이다. 1991년까지 나이지리아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수도가 아부자(Abuja)로 옮겨진 상태이다.[1]

개요[편집]

  • 행정 단위: 나이지리아 라고스주 도시
  • 면적: 1,171.28 km²
  • 지역어: 영어

라고스는 기니만으로 흘러드는 오군강 하구의 석호 지대에 있는 라고스섬을 중심으로 발달한 항구도시이다. 도시권 기준으로 인구는 2800만 명으로 나이지리아의 최대도시이다. 도시 인구와 항구 교통량이 많기 때문에 라고스는 중항 메가시티로 분류된다. 15세기에 건너온 포르투갈인에 의하여 노예무역의 기지로 번영하였으며 19세기 중엽부터 대영제국의 지배하에 있었고 1960년 나이지리아 독립 후에 연방 수도가 되었다. 옛날부터 발달한 라고스섬의 시가지에는 관공서, 유럽인 거주구, 상업 지구 등이 있으나 본토 쪽의 아파파 지구는 공업 지구로서 발달하여 철도역, 공업 지대, 주택가 등이 펼쳐져 극심한 인구 증가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인구 집중을 해소하기 위해 나이지리아 정부는 수도를 아부자로 옮겼으나 팽창은 계속되고 있다. 철도, 도로, 국내항공의 기점을 이루며 국제공항도 있고 북부의 중심도시 카노에 이르는 철도는 이미 1912년에 완성되었다. 인구 밀집으로 인해 주택이 부족해지자 가난한 사람들이나 이주민들은 해변가에 수상 빈민촌을 짓고 산다. 라고스 앞바다를 매립해 에코 아틀란틱 시티(Eko Atlantic city)라는 신도시를 건설 중이다. 코코아, 야자유, 생고무, 땅콩, 목화, 피혁 등 농산물을 수출하는 한편, 맥주양조, 유지, 차량, 철강, 섬유, 비누, 선박정비 등 각종 공업도 활발하다. 정치, 경제의 중심일 뿐만 아니라 1962년에 설립된 종합대학인 라고스대학과 나이지리아 박물관 등이 있다. 라고스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와 도시 지역 중 10위 안에 들어있다. 도시는 아프리카에서 네 번째로 높은 GDP를 가지고 있으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크고 붐비는 항구 중 하나이다.[2]

역사[편집]

라고스는 원래 15세기에 요루바족의 아와리 부족, 16세기에 비니스족이 거주했다. 아우리 부족은 지금의 이도라고 불리는 섬으로 이동했고 그 다음에는 더 큰 라고스섬으로 이동했다.

1472년, 포르투갈 탐험가들이 도착했고 무역을 시작했으며, 결국 다른 유럽인들이 뒤따랐다. 라고스(Lagos, "호수"를 뜻하는 포르투갈어)는 포르투갈인들이 정착지에 붙인 이름이다. 역사를 통틀어, 그곳은 그 지역에 정착한 많은 전쟁 중인 요루바 민족들의 고향이었다. 아우리 귀족들에 의한 초기 정착 이후, 그 나라는 15세기에 포르투갈인들에게 처음으로 주목을 받았다.

포르투갈 탐험가 루이 데 세케이라(Rui de Sequeira)는 1472년에 이 지역을 방문했고, 도시 주변 지역을 쿠라모 호수라는 뜻의 도시 라고 데 쿠라 모(Lago de Curamo)라고 주변 지역또한 이 도시의 이름은 선원과 정착민이 떠났던 알가르 베 지역 의 포르투갈 해안 마을 라고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그 지역은 16세기에 베냉의 영토가 되었다. 1600년까지, 이곳은 국경 도시로서 역할을 했고, 베냉은 4명의 군 사령관이 이끄는 군인들로만 지역 주둔을 제한했다. 이러한 군사적 존재와 유럽 무역상들과의 교류는 지역 주민들이 무역을 위해 해안을 따라 더 내륙에서 라고스섬으로 이동하면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이 시점에서 옷은 베냉뿐만 아니라 섬 전체에서 판매되고 수출되는 주요 품목이었다.

17세기에 오님이 대서양 노예무역의 중심지가 되면서 포르투갈인들과의 무역도 증가하기 시작했다. 지역의 오바(Oba, 왕)들은 포르투갈인들과 좋은 관계를 발전시켰다.

19세기 초까지, 그것은 작은 왕국이었고 오요 제국의 속국이었다. 많은 서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오님은 남아메리카와의 강력한 외교적 연결뿐만 아니라 경제적 연결고리를 발전시켰다. 브라질은 포르투갈 식민지 브라질에 대사관을 보냈고 1823년 브라질의 독립을 인정한 최초의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한편, 오요 제국은 붕괴되기 시작했다. 이것은 라고스가 지역적으로 주도적인 경제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게 해주었고 요루바 영토에서 가장 중요한 시장이 되었고 실질적으로 성장했다.

19세기 초 대서양 횡단 노예무역에 대항한 영국의 전투에서, 영국의 서아프리카 편대 또는 예방 편대는 포르투갈, 미국, 프랑스,쿠바의 노예선들과 서아프리카 해안 족장들과 노예제도에 반대하는 조약들을 너무도 끈질기게 체결하여 그들은 시에라리온에서 니제르 델타(오늘날의 나이지리아)까지 서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그리고 멀리 콩고까지 강력한 세력을 만들었다.

라고스(당시 에코라고 불림)는 아도를 오바로 즉위시킨 이후 노예 무역의 주요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당시 베냉의 오바와 그의 후계자들은 1841년 오바 아키토예가 즉위할 때까지 2세기 이상 이곳을 지원했다. 라고스의 왕좌에 오르고 노예 거래를 금지하려고 시도했다. 지역 상인들은 이 계획에 강력하게 반대하여 왕을 폐위시키고 유배시켰으며, 아키토예의 동생인 코소코를 오바(Oba)로 임명했다. 유럽으로 추방된 아키토예는 1807년 노예 거래를 금지한 영국 당국을 만났고, 영국 당국은 왕좌를 되찾기 위해 폐위된 오바를 지지하기로 결정했다.

1849년, 영국은 존 비크로프트를 베냉과 비아프라 만의 영사로 임명했고 그는 1854년 사망할 때까지 그 직위를 유지했다. 존 던컨(John Duncan)은 부영사로 임명되었고 와이다(Whydah)에 위치했다. 비크로프트가 임명될 당시, 라고스 왕국(오바 코소코 휘하)은 베냉과 비아프라 만 영사관의 서쪽에 있었고 노예무역의 핵심 항구였다.

1851년, 정치적, 사업적 영향력을 행사한 해방된 노예들의 압력으로, 영국은 라고스에 개입하여 현재 라고스 폭격 또는 라고스 점령으로 알려진 결과 오바 아키토예의 설치와 오바 코소코의 축출을 초래했다. 그리고 나서 오바 아키토예는 노예제도를 폐지하는 영국과 라고스 사이의 조약에 서명했다. 1852년 조약의 체결은 영국이 라고스에 군사적 보호를 제공했던 라고스 역사의 영사 시대를 열었다.

영국 해군은 원래 나이지리아 앞바다에 있는 스페인령 페르난도 포(현재의 적도 기니 비오코)의 항구를 치외법권 작전 기지로 사용했다. 1855년, 스페인은 스스로 이 항구를 주장했다. 그러므로 영국 해군은 다른 해군 기지를 찾아야 했다. 라고스는 가장 매력적인 선택이었다.

라고스는 1862년 3월 5일 식민지로 선언되었지만 골드코스트(오늘날의 가나)에 의해 통치되었다. 1886년 라고스는 코넬리우스 알프레드 몰로니(Cornelius Alfred Moloney) 주지사에 의해 골드 코스트로부터 분리된 식민지가 되었다. 해군 항구 라고스는 무역업자들이 영국 해군의 보호를 받아 해적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필수적인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 라고스는 빠르게 이민의 목적지가 되었다.

1869년 라고스에 그리스도 대성당이 세워졌다. 1864sus 사무엘 아자이 크로더(Samuel Ajayi Crowther)는 성공회 최초의 아프리카 주교가 되었다.

나이지리아에 있어서 라고스의 중심적인 중요성은 1900년 이후 영국군과 함께 북쪽으로 진격하여 주지사로서 라고스를 남부의 수도와 나중에 나라 전체의 수도로 만든 루가드(Lugard) 장군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1906년, 라고스는 남부 나이지리아 보호령과 합병되어 수도가 되었다. 라고스 근처의 레키에서 사업가 존 사이먼 버그하임(John Simon Bergheim)이 이끄는 나이지리아 비트멘 회사(Nigeria Bitumen Corporation)는 1908년 시험 시추 중에 석유를 발견했다.

1914년 1월 1일 나이지리아 북부와 나이지리아 남부는 "나이지리아 식민지와 보호령"이라는 단일 국가로 통합되었고, 라고스는 수도가 되었다. 하지만, 영국은 나이지리아 북부와 남부를 다른 방식으로 통치했고, 이것은 오늘날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쪽에서는 "간접적인 통치"가 실행되었고, 이는 전통적이고 부분적으로 수 세기 동안 지속된 통치 구조를 거의 그대로 유지했다. 라고스와 같은 남부에서는 영국인들이 직접 통치했고 지역 주민들에게 유럽의 업적을 전하려고 노력했다. 여기에는 1922년 클리포드 헌법의 "니제르 평의회"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46명의 대표가 있는 일종의 의회로, 라고스 출신 3명을 포함한 4명의 지역 주민이 포함된다.[3]

교통[편집]

라고스는 세계에서 가장 교통 체증이 심한 도시 중 하나로 손꼽히는데 시내에서 시 외곽까지 자동차로 4시간이 걸린다. 이는 도로상태가 안 좋은 것도 있고 설상가상으로 신호등 같은 교통체계가 잘 갖추어지지 않은 데다가, 이촌향도와 고출산으로 인구는 폭증하는데 2023년까지 지하철이나 경전철, 광역철도가 하나도 없어서 대중교통망도 부실하기 때문이다. 비슷한 교통 문제를 겪고 있는 새 수도 아부자에는 2018년에 경전철이 개통되었다.

라고스 도시철도(공사 시작: 2008년 ~ 2023년)는 티스푼 공사로 유명했다. 1998년에 계획을 시작했고 원래 개통 예정 년도는 2004년이었다. 그러나 나이지리아의 부패한 정부들 때문에 실제 삽은 2008년에 떴고, 그나마도 2011년에 개통하겠다는 계획이 무산됐다. 2020년 모하마두 부하리 나이지리아 대통령은 2022년 개통을 하겠다고 밝히긴 했지만 이 말을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결국 1년이 넘게 지난 2023년 1월 24일 드디어 청색선이 개통되었다. 기사 2024년 2월 29일 적색 선도 개통하여 2개의 노선으로 늘어났다. 철도, 도로, 국내항공의 기점을 이루며 국제공항도 있고 북부의 중심도시인 카노에 이르는 철도는 이미 1912년에 완성되었다.[4]

지도[편집]

동영상[편집]

각주[편집]

  1. 라고스〉, 《위키백과》
  2. 라고스(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3. 라고스의 역사〉, 《요다위키》
  4. 라고스〉, 《나무위키》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서아프리카 같이 보기[편집]

서아프리카 국가
서아프리카 도시
서아프리카 지리
서아프리카 문화
서아프리카 주변 지역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라고스 문서는 세계의 도시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