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존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8번째 줄: 58번째 줄:
  
 
*'''무인발급기''' : 무인발급기 키오스크는 전국 대학교 및 교육기관을 방문하는 민원인들이 대기시간 없이 편리하게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무인 자동화 기기이다. 주요 특징으로 온라인 원본 대조 확인 가능, 일반용지 사용, 전자 결제 시스템 적용, 합리적인 가격, 유비쿼터스 기술 적용, 편리한 유지보수가 있다.  
 
*'''무인발급기''' : 무인발급기 키오스크는 전국 대학교 및 교육기관을 방문하는 민원인들이 대기시간 없이 편리하게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무인 자동화 기기이다. 주요 특징으로 온라인 원본 대조 확인 가능, 일반용지 사용, 전자 결제 시스템 적용, 합리적인 가격, 유비쿼터스 기술 적용, 편리한 유지보수가 있다.  
 +
 +
;블록체인 전자문서유통
 +
㈜디지털존이 전자문서 유통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전자문서 발급, 유통 블록체인 플랫폼 [[다큐체인]](DocuChain)을 개발했다. ㈜디지털존이 개발한 다큐체인은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 전자문서를 연계한 전자문서 발급, 유통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필요한 문서를 여러 발급기관에 일일이 방문하지 않고도 해당 플랫폼을 통해 한 번에 신청하여 발급 및 제출이 가능하다. 다큐체인은 전자문서의 발급, 유통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며, 신뢰 기반의 진위검증과 증명서 파기 기능을 통해 사용자, 발급기관, 수령기관의 안전한 전자문서 유통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가능한 활용 사례로는 블록체인 기반 자격증명 고신뢰 검증시스템과 스마트 보험금 청구 시스템이 있다. 블록체인 기반 자격증명 고신뢰 검증시스템은 구직자가 입사 지원 시 인사담당자가 요청하는 서류를 시스템 내에서 한 번에 발급받아 첨부하고 제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보험금 청구시스템은 사용자가 병원비를 수납한 후 간단한 본인인증을 통해 보험사에 보험금을 자동으로 청구하는 보험금 청구서 자동 생성, 전송 시스템이다. 전정우 대표이사는 "㈜디지털존은 20년 업력의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로 전자문서 유통 업계에서 국내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했으며, 나아가 전자문서 유통 서비스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을 융합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 나갈 것이며,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 및 다큐체인의 상용화를 목표로 블록체인 전문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f>형인우 기자, 〈[https://m.etnews.com/20191209000345 디지털존 전자문서 유통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 접목]〉, 《전자신문인터넷》, 2019-12-09</ref>
  
 
;병원 솔루션
 
;병원 솔루션
93번째 줄: 96번째 줄:
 
=== 영상 사업 ===
 
=== 영상 사업 ===
 
영상사업에서는 TV의 고객시연용 영상솔루션인 영상재생기, 영상분배기 등을 통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영상재생기 및 영상분배기는 LG전자, 삼성전자, SONY, PHILIPS 등의 고객을 대상으로 전 세계 60여 개국 200여 개 현지업체에 수출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UHD Stream Geenerator', 'UHD HDMI Splitter', 'GENERATOR FOR MONITOR', 'A2 TV/Sound Bar Demo', 'A3 Sound Bar Demo', 'A4 Portable Speaker Demo' 등이 있다.<ref name="홈피"></ref>
 
영상사업에서는 TV의 고객시연용 영상솔루션인 영상재생기, 영상분배기 등을 통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영상재생기 및 영상분배기는 LG전자, 삼성전자, SONY, PHILIPS 등의 고객을 대상으로 전 세계 60여 개국 200여 개 현지업체에 수출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UHD Stream Geenerator', 'UHD HDMI Splitter', 'GENERATOR FOR MONITOR', 'A2 TV/Sound Bar Demo', 'A3 Sound Bar Demo', 'A4 Portable Speaker Demo' 등이 있다.<ref name="홈피"></ref>
 
== 주요 활동 ==
 
===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 대상 ===
 
2016년 5월 23일, TV 시연용 영상 재생기 및 인터넷 증명 발급 시스템 전문 기업인 ㈜디지털존이 [[중소기업청]]이 추진하는 2016년 서울시 글로벌 강소기업 육상사업 대상 기업에 선정되었다.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사업은 중소기업청이 전국 16개 광역지자체와 손잡고 각 지역의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 기업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창조경제를 주도하는 대표 강소기업으로 육성하는 프로젝트이다. 2014년 지역 강소기업 프로젝트로 시작해 2016년에는 수도권 3개 지자체가 추가되면서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으로 확대되었다. 디지털존은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 지원 대상 선정을 계기로 TV 시연 시장에서 영상 재생기 글로벌 순위(Global Top) 기업으로서 일시적인 정체를 극복하여 2018년 350억 원, 2020년 500억 원 매출 달성을 통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에 ㈜디지털존 심상원 대표는 "글로벌 경제침체로 2014년 이후 수출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UHD TV가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2016년 이후 ㈜디지털존의 주력 제품인 영상 재생기를 통해 매출 부진을 타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세계 TV 시장을 이끌고 있는 중국 시장과 방송 장비 시장에 신규 진출해 세계적인 영상 재생기 기업으로 그 입지를 더욱 다져나가는 재도약의 해로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f>김지현, 〈[http://www.xportsnews.com/jeco/?ac=article_view&entry_id=732285&where=news&oquery=%25EA%25B7%25B8%25EB%25A6%25B0%25EB%259E%25A8%25ED%2594%2584%25EB%259D%25BC%25EC%259D%25B4%25EB%25B8%258C%25EB%259F%25AC%25EB%25A6%25AC&ie=utf8&query=%25EB%2594%2594%25EC%25A7%2580%25ED%2584%25B8%25EC%25A1%25B4&url=http%253A%252F%252Fwww.xportsnews.com%252F%253Fac%253Darticle_view%2526entry_id%253D732285&ucs=yZQ3wt3DpOGA 디지털존,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 대상 선정]〉, 《엑스포츠뉴스》, 2016-06-07</ref>
 
 
=== 유무선공유기 공급 ===
 
2012년 2월 29일, ㈜디지털존이 출시한 11n 유무선 공유기 위보(WeVO) W622SL을 [[에스케이텔레콤㈜]](SK Telecom)에 3만 대 공급했다. 위보는 제품의 안정성과 성능을 에스케이텔레콤㈜로부터 인정받아 이날 납품을 시작해 에스케이텔레콤㈜ 망을 신규 신청하는 소비자에게 공급했다. 에스케이텔레콤㈜에 공급된 위보는 400MHz를 지원하는 중앙처리장치(CPU)인 리얼텍(Realtek)의 최신 칩셋 '8196C'과 전파 간섭을 줄인 'MIMO' 기술이 적용됐으며, 최대 300Mbps의 무선속도를 지원한다. 또한, 네트워크상의 PC에 저장된 동영상, 음악, 사진, 문서 등을 외부에서 접속해 별도의 변환 작업 없이 스마트폰 등의 기기로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존 심상원 대표는 "위보는 시장에 나온 상품을 벤치마킹하고 기존 시장과 상품에 대한 소비자 불만과 요구사항을 고려해 출시된 제품이며, 제품의 안정성과 성능을 인정받아 지속 공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f>김동훈 기자,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202296606t 디지털존, SKT에 유무선공유기 3만대 공급]〉, 《한경닷컴》, 2012-02-29</ref>
 
 
=== 블록체인 전자문서유통 ===
 
㈜디지털존이 전자문서 유통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전자문서 발급, 유통 블록체인 플랫폼 [[다큐체인]](DocuChain)을 개발했다. ㈜디지털존이 개발한 다큐체인은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의 전자문서를 연계한 전자문서 발급, 유통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필요한 문서를 여러 발급기관에 일일이 방문하지 않고도 해당 플랫폼을 통해 한 번에 신청하여 발급 및 제출이 가능하다. 다큐체인은 전자문서의 발급, 유통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며, 신뢰 기반의 진위검증과 증명서 파기 기능을 통해 사용자, 발급기관, 수령기관의 안전한 전자문서 유통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가능한 활용 사례로는 블록체인 기반 자격증명 고신뢰 검증시스템과 스마트 보험금 청구 시스템이 있다. 블록체인 기반 자격증명 고신뢰 검증시스템은 구직자가 입사 지원 시 인사담당자가 요청하는 서류를 시스템 내에서 한 번에 발급받아 첨부하고 제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보험금 청구시스템은 사용자가 병원비를 수납한 후 간단한 본인인증을 통해 보험사에 보험금을 자동으로 청구하는 보험금 청구서 자동 생성, 전송 시스템이다. 전정우 대표이사는 "㈜디지털존은 20년 업력의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로 전자문서 유통 업계에서 국내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했으며, 나아가 전자문서 유통 서비스에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을 융합한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 나갈 것이며,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 및 다큐체인의 상용화를 목표로 블록체인 전문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f>형인우 기자, 〈[https://m.etnews.com/20191209000345 디지털존 전자문서 유통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 접목]〉, 《전자신문인터넷》, 2019-12-09</ref>
 
  
 
== 행사 ==
 
== 행사 ==
120번째 줄: 111번째 줄:
  
 
12월 18일, ㈜디지털존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블록체인 [[개념증명]](PoC) 공모 사업 선정기업 중 우수사례 기업으로 선정되어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2019 NIPA 블록체인 성과공유회]]에서 기술 개발 성과를 발표했다.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며, 블록체인 관련 주요 전문가, 기업인, 정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디지털존은 2019 NIPA 블록체인 개념증명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구직자 선택형 원스톱 완결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자격증명 고신뢰 검증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채용 대행 포털 스카우트를 대상으로 기술 검증을 마친 바 있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구직자는 채용서류를 온라인으로 발급받아 한 번에 제출할 수 있고, 구인 기업의 인사 담당자는 채용서류를 받은 즉시 진위검증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가 원할 경우에는 기업 담당자에게 요청하지 않고도 서류의 회수 및 파기가 가능하다. 개인정보가 담긴 채용서류의 보관에 어려움을 겪던 기업에도 대용량 분산 파일 저장 시스템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지털존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블록체인 기술검증 지원사업 덕분에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시장 적용 가능성 확인과 공인인증기관의 성능평가를 통한 기술검증을 완료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ref>매경닷컴,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12/1059591 ㈜디지털존 '2019 NIPA 블록체인 성과공유회' 참석]〉《매일경제》, 2019-12-18</ref>{{자세히|2019 NIPA 블록체인 성과공유회}}
 
12월 18일, ㈜디지털존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블록체인 [[개념증명]](PoC) 공모 사업 선정기업 중 우수사례 기업으로 선정되어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2019 NIPA 블록체인 성과공유회]]에서 기술 개발 성과를 발표했다.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며, 블록체인 관련 주요 전문가, 기업인, 정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디지털존은 2019 NIPA 블록체인 개념증명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구직자 선택형 원스톱 완결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자격증명 고신뢰 검증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채용 대행 포털 스카우트를 대상으로 기술 검증을 마친 바 있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구직자는 채용서류를 온라인으로 발급받아 한 번에 제출할 수 있고, 구인 기업의 인사 담당자는 채용서류를 받은 즉시 진위검증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가 원할 경우에는 기업 담당자에게 요청하지 않고도 서류의 회수 및 파기가 가능하다. 개인정보가 담긴 채용서류의 보관에 어려움을 겪던 기업에도 대용량 분산 파일 저장 시스템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지털존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블록체인 기술검증 지원사업 덕분에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시장 적용 가능성 확인과 공인인증기관의 성능평가를 통한 기술검증을 완료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ref>매경닷컴,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12/1059591 ㈜디지털존 '2019 NIPA 블록체인 성과공유회' 참석]〉《매일경제》, 2019-12-18</ref>{{자세히|2019 NIPA 블록체인 성과공유회}}
 
;독일 베를린 국제 가전 박람회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2011 전시장에서 [[삼성전자㈜]]와 [[엘지전자㈜]] 부스는 화려한 영상으로 단연 눈길을 끌었다. ㈜디지털존은 이 전시회 무대장치는 물론이고 [[삼성전자㈜]]와 [[엘지전자㈜]] 및 하이마트 등 국내외 주요 판매장에 텔레비전과 노트북, 멀티비전 등을 통해 영상물을 제공하는 솔루션 공급 업체이다. 영상과 모바일기기는 고해상도와 3D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디지털존도 이에 대응한 솔루션으로 국내외 주요 기업의 핵심 협력사가 되고 있다. 심상원 디지털존 대표는 "여러 디스플레이 기기에 통일된 영상물을 제공하는 HD 영상분배기, [[HDMI]] 분배기, 멀티 HD 플레이어로 [[삼성전자㈜]], [[엘지전자㈜]], [[소니]], 필립스, 베스트바이 등을 고객으로 확보했으며, 엘지전자㈜와는 네트워크 기능을 탑재해 수 백여 개 매장에 뿌려주는 영상물 원격제어 서비스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존이 신설한 네트워크융합(NC) 사업부에서는 모바일기기에서 파일 스트리밍이 가능한 유선 및 무선 인터넷 공유기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인터넷 공유기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정 내 텔레비전, PC, 서버에 저장된 영상을 불러내 스마트폰에서 보여주는 일종의 홈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기존 공유기를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N스크린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심상원 대표는 "한국전자전(KES 2011)을 통해 제품을 첫 시연할 예정이며, 라우터와 티비튜너, 웹하드 기능을 모두 담당하는 제품으로 그동안 영상사업에서 쌓은 노하우를 결합해 내놓는 신제품"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존은 틈새 분야 연구개발 전문기업으로 성장해왔다. 대기업이 직접 뛰어들기 힘든 영역에서 다른 중소기업보다 빠른 대응으로 여러 대기업을 동시에 고객으로 만들 수 있었다. 대기업 기술개발과 제품 출시 동향에 발맞춰 필요한 솔루션을 적시에 공급하면서 높은 신뢰도를 쌓아온 것도 강점이다. 심상원 대표는 "IT가 빨리 변하고 있는 만큼 디지털존도 항상 긴장하면서 새로운 트렌드를 좇고 있으며, 아이디어가 나오면 마케팅 담당자와 연구 및 개발 인력을 붙여서 초기 기획물과 시제품을 내놓고, 성장 가능성이 있으면 다시 전사 역량을 투입해 제품화하는 방식으로 대응 속도를 높였다"라고 말했다.<ref>김승규 기자, 〈[https://www.etnews.com/201110110211 심상원 디지털존 대표]〉, 《전자신문》, 2011-10-12</ref>
 
  
 
== 제휴 ==
 
== 제휴 ==
150번째 줄: 136번째 줄:
 
* 형인우 기자, 〈[https://m.etnews.com/20191209000345 디지털존 전자문서 유통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 접목]〉, 《전자신문인터넷》, 2019-12-09
 
* 형인우 기자, 〈[https://m.etnews.com/20191209000345 디지털존 전자문서 유통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 접목]〉, 《전자신문인터넷》, 2019-12-09
 
* 매경닷컴,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12/1059591 ㈜디지털존 '2019 NIPA 블록체인 성과공유회' 참석]〉《매일경제》, 2019-12-18
 
* 매경닷컴,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12/1059591 ㈜디지털존 '2019 NIPA 블록체인 성과공유회' 참석]〉《매일경제》, 2019-12-18
* 김승규 기자, 〈[https://www.etnews.com/201110110211 심상원 디지털존 대표]〉, 《전자신문》, 2011-10-12
 
* 김지현, 〈[http://www.xportsnews.com/jeco/?ac=article_view&entry_id=732285&where=news&oquery=%25EA%25B7%25B8%25EB%25A6%25B0%25EB%259E%25A8%25ED%2594%2584%25EB%259D%25BC%25EC%259D%25B4%25EB%25B8%258C%25EB%259F%25AC%25EB%25A6%25AC&ie=utf8&query=%25EB%2594%2594%25EC%25A7%2580%25ED%2584%25B8%25EC%25A1%25B4&url=http%253A%252F%252Fwww.xportsnews.com%252F%253Fac%253Darticle_view%2526entry_id%253D732285&ucs=yZQ3wt3DpOGA 디지털존,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사업 대상 선정]〉, 《엑스포츠뉴스》, 2016-06-07
 
* 김동훈 기자,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202296606t 디지털존, SKT에 유무선공유기 3만대 공급]〉, 《한경닷컴》, 2012-02-29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