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뉴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소셜뉴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소셜뉴스'''(Social News)]]-->
 
[[파일:㈜소셜뉴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소셜뉴스'''(Social News)]]-->
 
[[파일:위키트리 글자.png|썸네일|300픽셀|'''[[위키트리]]'''(WikiTree)]]
 
[[파일:위키트리 글자.png|썸네일|300픽셀|'''[[위키트리]]'''(WikiTree)]]
[[파일:공훈의.jpg|썸네일|200픽셀|'''[[공훈의]]''' ㈜소셜뉴스 대표이사]]
 
  
 
'''㈜소셜뉴스'''<!--소셜뉴스, 소셜 뉴스-->(Social News)는 위키 기반의 뉴스 사이트인 '''[[위키트리]]'''(WikiTree)를 운영하는 회사이다. 대표이사는 '''[[공훈의]]'''이다. 2010년 2월 1일 위키트리 뉴스 사이트 운영을 시작했다.
 
'''㈜소셜뉴스'''<!--소셜뉴스, 소셜 뉴스-->(Social News)는 위키 기반의 뉴스 사이트인 '''[[위키트리]]'''(WikiTree)를 운영하는 회사이다. 대표이사는 '''[[공훈의]]'''이다. 2010년 2월 1일 위키트리 뉴스 사이트 운영을 시작했다.
11번째 줄: 10번째 줄:
  
 
==주요인물==
 
==주요인물==
* '''[[공훈의]]''' : 소셜뉴스 [[위키트리]]의 대표이사이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겸임교수이다. 1960년 출생으로 1988년도부터 광주일보의 기자로 활동하고 1998년 3월가지 지방신문 공동 워싱턴특파원으로 활동했다. 2000년 7월 부터 2002년 5월까지 머니투데이 정보기획 이사였고, 2004년 12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넥서스투자 사장 대표이사로 활동 후 위키트리를 설립했다. 위키트리 오픈 발표 시 민주주의에도 직접민주주의가 있듯이 언론에도 직접언론 시대가 열린셈이라며 소셜네트워크 시대에 뉴스 소비자가 곧 뉴스 생산자가 되는 새로운 미디어로 자리를 잡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f>〈[http://reurl.kr/32242EFBRY 네이버 인물사전]〉 , 《네이버》 , </ref>
+
[[파일:공훈의.jpg|썸네일|200픽셀|'''[[공훈의]]''' 소셜뉴스 위키트리 대표이사]]
 +
 
 +
*[[공훈의]] : 소셜뉴스 위키트리의 대표이사이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겸임교수이다. 1960년 출생으로 1988년도부터 광주일보의 기자로 활동하고 1998년 3월가지 지방신문 공동 워싱턴특파원으로 활동했다. 2000년 7월 부터 2002년 5월까지 머니투데이 정보기획 이사였고, 2004년 12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넥서스투자 사장 대표이사로 활동 후 위키트리를 설립했다. 위키트리 오픈 발표 시 민주주의에도 직접민주주의가 있듯이 언론에도 직접언론 시대가 열린셈이라며 소셜네트워크 시대에 뉴스 소비자가 곧 뉴스 생산자가 되는 새로운 미디어로 자리를 잡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f>〈[http://reurl.kr/32242EFBRY 네이버 인물사전]〉 , 《네이버》 , </ref>
  
 
==연혁==
 
==연혁==
62번째 줄: 63번째 줄:
 
* [[공훈의]]
 
* [[공훈의]]
  
{{로고 없음}}
+
{{로고 필요}}
 
{{블록체인 미디어|검토 필요}}
 
{{블록체인 미디어|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