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어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씨어스 글자.png|300픽셀|썸네일|'''㈜씨어스'''(C Us)]]
 
[[파일:㈜씨어스 글자.png|300픽셀|썸네일|'''㈜씨어스'''(C Us)]]
  
'''㈜씨어스'''<!--씨어스-->(C Us)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개발 제조, 전기공사와 통신공사 기타 발전기 및 전기변환장치 제조업체이다. 전기차 충전기를 비롯하여 [[충전케이블]], [[충전기 캐노피]], 스테인리스 U볼라드 등을 자체 생산하고 있습니다. ㈜씨어스는 [[환경부]], [[한국전력공사]], [[㈜포스코]], [[㈜케이티]], [[㈜지엔텔]], [[㈜에버온]],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등에서 진행하는 [[친환경차]] [[충전기]] 사업과 한국전력공사 지사 및 [[제주도]]를 비롯한 전국 각지에 공동주택을 위한 급속 및 [[완속충전기]]를 1만 5천대 이상 공급 및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대표는 '''[[김기옥]]'''이다.
+
'''㈜씨어스'''<!--씨어스-->(C Us)는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 [[충전기]] 개발 제조, 전기공사/통신공사 기타 발전기 및 전기변환장치 제조업체이다. 대표는 '''[[김기옥]]'''이다.
  
 
==개요==
 
==개요==
㈜씨어스는 2004년 설립과 함께 [[전기차]] [[충전기]] 개발에 집중해 20년 가까운 업력을 누적한 기업이다. 전기차 충전기 분야에서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씨어스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관련 토털솔루션을 제공하고, 제주지역 실증단지 구축 경험을 기반으로 수출을 확대하며, [[동남아시아]] [[유럽]]으로 사업을 확장해 세계적인 강소기업으로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반에는 전기차 충전기 제조에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전국 충전기 위치 및 상태 안내, 충전 진행상태 알림, 개인주택 충전기 상태 조회 등 모바일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ref>윤주형 기자,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05002 전기자동차 충전기 인프라 전문 기업]〉, 《제민일보》, 2020-10-20</ref> 한편 ㈜씨어스는 전기차 충전기가 사용자의 집에만 설치되어 있는 현상을 발견하고 외부 시설이나 [[도로]] 등에 확산될 수 있도록 만들고 있다. 스탠드형, 벽부형 등의 급속과 [[완속충전기]]를 제조하여 보급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제품이 밖에서 편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동전이나 지폐로 결제해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기기로 만들어져 있다. 실제로 이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하여 특허를 내기도 했다. ㈜씨어스는 앞으로 녹색성장에 기여하는 그린 에너지 솔루션의 선두주자가 되기 위해 끊임없는 개발과 고객만족을 위해 앞장서는 기업으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회사를 운영할 방침이다.
+
㈜씨어스는 2014녅 2월 12일에 설립되어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비롯하여 충전케이블, 충전기 캐노피, 스테인리스 유볼라드 등을 자체 생산하고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기 제조업체 중 최초로 [[한국전력공사]](KEPCO,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한국전기연구원]](KERI)에서 급속충전기, 완속 충전기의 신뢰성 품목 인증을 받은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2021년 기준 [[환경부]](Ministry of Environment), [[㈜포스코]](POSCO), [[㈜케이티]](KT), [[㈜지엔텔]](Gntel), [[㈜에버온]](Everon),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Jeju Ev Service)에서 진행하는 친환경 전기자동차 충전기 사업과 한국전력 지사 및 제주도를 비롯한 전국 각지의 공동 주택형 급/완속 충전기를 14,000대 이상 공급 및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사는 인천 미추홀구 염전로 191에 있고 직원은 40명 내외이다.
  
 
==연혁==
 
==연혁==
49번째 줄: 49번째 줄:
 
[[파일:CF100P6C301C.png|200픽셀|썸네일|'''CF100P6C301C 급속 충전기''']]
 
[[파일:CF100P6C301C.png|200픽셀|썸네일|'''CF100P6C301C 급속 충전기''']]
  
[[급속충전기]]는 총 세 가지 모델이 있다. CF100P6C301C 모델은 700*700*1,600 사이즈이고 8인치 엘씨디 터치, 정전식이며 커넥터는 콤보, CHAdeMO, AC 3상이 있다. 사용 방법은 즉시/예약/연속으로 선 충전 종료 후 충전하여 사용하고 사용자는 마스터 카드(RF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한다. 전기적 입력은 3상 380V 에이씨 최대 500 KVA 이고 전기적 출력은 50~500V 디씨 최대 500V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다. 과전압과 과전류 보호, 단락 보호를 위한 출력 차단이 가능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CF100P5C101C 모델은 500*760*1,600 크기와 8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TFT) 엘씨디 제품으로 커넥터는 디씨 콤보 제품이다. 사용은 즉시/예약/연속으로 선 충전 종료 후 충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사용자 인증은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 입력으로 인증할 수 있고 전기적 입력은 3상 에이씨 380V ±10%이고 60Hz이며 전기적 출력은 콤보 1 디씨 50~500V, 최대 125A, 50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까지며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이 차단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CF100P3C101C 모델은 500*760*1,600 사이즈이고 표시 장치는 8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 제품이다. 커넥터는 디씨 콤보를 사용하고 사용 방법은 즉시/예약/연속이며 선 충전 종료 후 충전하여 사용한다. 사용자 인증은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 입력으로 인증이 가능하고 전기적 입력은 3상 에이씨 380V ±10%, 60Hz이며 전기적 출력은 콤보 1 디씨 50~500V 디씨 최대 125A, 17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며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다.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
[[급속충전기]]는 총 3가지 모델이 있다. CF100P6C301C 모델은 700*700*1,600 사이즈이고 8인치 엘씨디 터치, 정전식이며 커넥터는 콤보, CHAdeMO, AC 3상이 있다. 사용 방법은 즉시/예약/연속으로 선 충전 종료 후 충전하여 사용하고 사용자는 마스터 카드(RF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한다. 전기적 입력은 3상 380V 에이씨 최대 500 KVA 이고 전기적 출력은 50~500V 디씨 최대 500V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다. 과전압과 과전류 보호, 단락 보호를 위한 출력 차단이 가능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CF100P5C101C 모델은 500*760*1,600 크기와 8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TFT) 엘씨디 제품으로 커넥터는 디씨 콤보 제품이다. 사용은 즉시/예약/연속으로 선 충전 종료 후 충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사용자 인증은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 입력으로 인증할 수 있고 전기적 입력은 3상 에이씨 380V ±10%이고 60Hz이며 전기적 출력은 콤보 1 디씨 50~500V, 최대 125A, 50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까지며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이 차단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CF100P3C101C 모델은 500*760*1,600 사이즈이고 표시 장치는 8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 제품이다. 커넥터는 디씨 콤보를 사용하고 사용 방법은 즉시/예약/연속이며 선 충전 종료 후 충전하여 사용한다. 사용자 인증은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 입력으로 인증이 가능하고 전기적 입력은 3상 에이씨 380V ±10%, 60Hz이며 전기적 출력은 콤보 1 디씨 50~500V 디씨 최대 125A, 17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며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다.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완속 충전기===
 
===완속 충전기===
62번째 줄: 62번째 줄:
 
완속충전기 부분개방용 모델은 총 6가지가 있다. 먼저 부분개방용 CS500A2BC04WB 모델은 크기가 294*140*480이고 표시 장치는 7인치/8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다. 커넥터는 비타입과 씨타입 연결이 가능하고 사용 방법은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이며 사용자는 마스터 카드로 인증할 수 있다.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DLEK.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부분개방용 CS100X2BC01W 모델은 290*140*420 크기와 7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로 표시하고 비타입과 씨타입 커넥터를 사용하고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한다. 사용자는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 입력으로 인증을 하고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로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며 방수 등급은 IP44이다. 부분개방용 CH100S2BC01W 모델은 크기가 290*140*1,420이고 7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로 표시하고 커넥터는 비타입과 씨타입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 방법은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이고 사용자는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 입력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이 차단되어 있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부분개방용 CS100X2ACO1W 모델은 291*140*480 사이즈이고 7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 제품으로 표시하고 커넥터는 에이타입이다. 사용은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되고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부분개방용 CS200A3B201C 모델은 310*190*1,450 크기이며 8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로 표시하며 비타입 커넥터로 동시 충전이 가능하다. 사용 방법은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의 방식이며 사용자는 마스터 카드를 통해 인증할 수 있고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2CH, 최대 64A, 14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다.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부분개방용 CS200ABC03W 모델은 300*190*1,450 사이즈이고 8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로 표시하며 비타입과 씨타입 커넥터를 사용하고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을 활용하고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1%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10%, 60Hz ±1%, 최대 32A, 7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이 차단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완속충전기 부분개방용 모델은 총 6가지가 있다. 먼저 부분개방용 CS500A2BC04WB 모델은 크기가 294*140*480이고 표시 장치는 7인치/8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다. 커넥터는 비타입과 씨타입 연결이 가능하고 사용 방법은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이며 사용자는 마스터 카드로 인증할 수 있다.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DLEK.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부분개방용 CS100X2BC01W 모델은 290*140*420 크기와 7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로 표시하고 비타입과 씨타입 커넥터를 사용하고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한다. 사용자는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 입력으로 인증을 하고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로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며 방수 등급은 IP44이다. 부분개방용 CH100S2BC01W 모델은 크기가 290*140*1,420이고 7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로 표시하고 커넥터는 비타입과 씨타입 사용이 가능하다. 사용 방법은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이고 사용자는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 입력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이 차단되어 있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부분개방용 CS100X2ACO1W 모델은 291*140*480 사이즈이고 7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 제품으로 표시하고 커넥터는 에이타입이다. 사용은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사용되고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로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부분개방용 CS200A3B201C 모델은 310*190*1,450 크기이며 8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로 표시하며 비타입 커넥터로 동시 충전이 가능하다. 사용 방법은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의 방식이며 사용자는 마스터 카드를 통해 인증할 수 있고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2CH, 최대 64A, 14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다.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부분개방용 CS200ABC03W 모델은 300*190*1,450 사이즈이고 8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로 표시하며 비타입과 씨타입 커넥터를 사용하고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을 활용하고 마스터 카드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1%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10%, 60Hz ±1%, 최대 32A, 7kW이다.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이 차단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휴대용 충전기===
+
===전기자동차 휴대용 충전기===
㈜씨어스의 전기자동차 휴대용 충전기는 CH100X1C102H 모델로 크기는 95*250*45이다. 표시 장치는 128*64픽셀 액정이고 커넥터는 씨타입을 사용하며 메뉴 기반의 버튼 방식이고 원터치 입력으로 인증할 수 있다.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20V, 60Hz, 최대 16A, 3kW이고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로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이 차단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
㈜씨어스 전기자동차 휴대용 충전기는 CH100X1C102H 모델로 크기는 95*250*45이다. 표시 장치는 128*64픽셀 액정이고 커넥터는 씨타입을 사용하며 메뉴 기반의 버튼 방식이고 원터치 입력으로 인증할 수 있다.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20V, 60Hz, 최대 16A, 3kW이고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로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며 과전압,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이 차단되고 방수 등급은 IP44이다.
  
 
===홈 충전기===
 
===홈 충전기===
 
[[파일:CS300X2C101W.png|200픽셀|썸네일|'''CS300X2C101W 홈 충전기''']]
 
[[파일:CS300X2C101W.png|200픽셀|썸네일|'''CS300X2C101W 홈 충전기''']]
  
㈜씨어스 홈 충전기는 두 가지 모델이 있다. CS300X2C101W 모델은 크기가 270*135*385이고 7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로 비타입과 씨타입 커넥터를 사용하며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을 쓴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마스터 카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고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이고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다. 과전압,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며 방수 등급은 IP44이다. CS300B2C101W 모델은 270*135*385 크기이고 128*64 픽셀 액정으로 표시하고 커넥터는 비타입과 씨타입 커넥터를 사용하고 사용 방법은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이며 사용자는 원터치 입력과 마스터 카드 인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이며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다.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고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며 방수 등급은 IP44이다.
+
㈜씨어스 홈 충전기는 2가지 모델이 있다. CS300X2C101W 모델은 크기가 270*135*385이고 7인치 터치 방식 박막 트랜지스터 엘씨디로 비타입과 씨타입 커넥터를 사용하며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을 쓴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마스터 카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고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이고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고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다. 과전압,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며 방수 등급은 IP44이다. CS300B2C101W 모델은 270*135*385 크기이고 128*64 픽셀 액정으로 표시하고 커넥터는 비타입과 씨타입 커넥터를 사용하고 사용 방법은 메뉴 기반의 터치스크린 방식이며 사용자는 원터치 입력과 마스터 카드 인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기적 입력은 단상 에이씨 220V ±100%, 60Hz이고 전기적 출력은 단상 에이씨 200V, 60Hz, 최대 32A, 7kW이며 정밀도는 전압/전류 정밀도 ±1%이다. 동작 온도는 영하 20도에서 영상 50도이고 과전압과 과전류, 단락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차단하며 방수 등급은 IP44이다.
  
 
===충전기 외 제품===
 
===충전기 외 제품===
95번째 줄: 95번째 줄:
 
* 박태준 기자, 〈[https://m.etnews.com/20190922000068?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환경부, 국가 전기차 충전사업자로 중소기업 5개사 선정]〉, 《전자신문》, 2019-09-22
 
* 박태준 기자, 〈[https://m.etnews.com/20190922000068?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D%3D 환경부, 국가 전기차 충전사업자로 중소기업 5개사 선정]〉, 《전자신문》, 2019-09-22
 
* 이전성 기자, 〈[https://view.asiae.co.kr/article/2020042414445993659 영광군-㈔한국스마트이모빌리티협회-㈜씨어스 MOU 체결]〉, 《아시아경제》, 2020-04-24
 
* 이전성 기자, 〈[https://view.asiae.co.kr/article/2020042414445993659 영광군-㈔한국스마트이모빌리티협회-㈜씨어스 MOU 체결]〉, 《아시아경제》, 2020-04-24
* 윤주형 기자,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05002 전기자동차 충전기 인프라 전문 기업]〉, 《제민일보》, 2020-10-20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104번째 줄: 103번째 줄:
 
* [[㈜케이티]]
 
* [[㈜케이티]]
  
 +
{{로고 수정 필요}}
 
{{충전|검토 필요}}
 
{{충전|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