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어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앤드어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앤드어스'''(AndUS)]]
 
[[파일:㈜앤드어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앤드어스'''(AndUS)]]
 
[[파일:앤드어스체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앤드어스체인]]'''(Anduschain)]]
 
[[파일:앤드어스체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앤드어스체인]]'''(Anduschain)]]
 +
[[파일:우리거래소 로고.png|썸네일|300픽셀|'''[[우리거래소]]'''(Woori Exchange)]]
  
'''㈜앤드어스'''<!--앤드어스-->(AndUS)<!--and us-->는 대한민국의 블록체인 개발 기업으로, 블록체인 플랫폼인 '''[[앤드어스체인]]'''(AndUsChain)을 개발한 기업이다. 주요 인물은 '''[[박성준]]''' 대표이사이다. 본사는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94길 53에 있다.
+
'''㈜앤드어스'''<!--앤드어스-->(AndUS)<!--and us-->는 대한민국의 블록체인 개발 기업으로, 블록체인 플랫폼인 '''[[앤드어스체인]]'''(AndUsChain)을 개발한 기업이다. 주요 인물은 '''[[박성준]]''' 대표이사이다. 본사는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길 70, GP빌딩 6층에 있다.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 배너|㈜앤드어스가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에 참가했습니다.}}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 배너|㈜앤드어스가 해시넷 블록체인 페스티벌에 참가했습니다.}}
21번째 줄: 22번째 줄:
 
* 2018년 10월 : 한국전력 블록체인 기반 개방형 기술표준문서 플랫폼 SI사업
 
* 2018년 10월 : 한국전력 블록체인 기반 개방형 기술표준문서 플랫폼 SI사업
 
* 2019년 04월 : [[깃허브]](Github)에 블록체인 플랫폼 [[앤드어스체인]] 테스트넷 오픈 및 소스 공개
 
* 2019년 04월 : [[깃허브]](Github)에 블록체인 플랫폼 [[앤드어스체인]] 테스트넷 오픈 및 소스 공개
 +
* 2019년 08월 : [[프롬카]](자동차생태계)와 공동사업 체결
 
* 2020년 10월 : [[에이르랩]](뷰티크)와 공동사업 체결
 
* 2020년 10월 : [[에이르랩]](뷰티크)와 공동사업 체결
 
* 2020년 10월 : [[디디오넷]](SEEBOX)와 공동사업 체결
 
* 2020년 10월 : [[디디오넷]](SEEBOX)와 공동사업 체결
36번째 줄: 38번째 줄:
  
 
===블록체인 플랫폼===  
 
===블록체인 플랫폼===  
㈜앤드어스는 블록체인 플랫폼 및 [[디앱]] 등의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구축 및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PoC]] 사업으로 [[포스토ICT]], [[ETRI]] 등을 대상으로 모바일 NFC를 통한 인증 및 출입관리 시스템 구축, P2P 에너지 거래 모델을 설계했다. 또한 [[한국전력연구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브이스트로]] 등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P2P 전력 거래 실증을 구현하고 국민DR(수요감축) 에너지 사용 관리 및 재증명(병원) 관리 등의 사업을 진행했다. 한국전력을 대상으로 블록체인 기반 개방형 기술표준문서 플랫폼 사업을 진행했다.
+
㈜앤드어스는 블록체인 플랫폼 및 [[디앱]] 등의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구축 및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PoC]] 사업으로 [[포스토ICT]], [[ETRI]] 등을 대상으로 모바일 NFC를 통한 인증 및 출입관리 시스템 구축, P2P 에너지 거래 모델을 설계했다. 또한 [[한국전력연구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브이스트로]] 등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P2P 전력 거래 실증을 구현하고 국민DR(수요감축) 에너지 사용 관리 및 재증명(병원) 관리 등의 사업을 진행했다. 한국전력을 대상으로 블록체인 기반 개방형 기술표준문서 플랫폼 SI사업을 진행했다. 2019년 8월에는 [[프롬카]](FROMM CAR)와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자동차 시장에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을 만들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차 구매, 조회, 정비 과정, 리콜, 중고차 시장 등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제조 과정부터 생산,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까지 투명하게 알 수 있다.<ref name="아이티비즈">김재원 기자, 〈[http://www.it-b.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774 ‘프롬카’, 앤드어스, 동국대학교블록체인연구센터와 MOU(업무협약) 체결]〉, 《아이티비즈》, 2019-08-17</ref> 해외에서도 [[블록체인베트남]](Blockchain Vietnam)을 대상으로 베트남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베트남 블록체인 기반 온·오프라인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앤드어스체인===
 
===앤드어스체인===
44번째 줄: 46번째 줄:
  
 
==로드맵==
 
==로드맵==
* 2019년 상반기    : 테스트넷 공개
+
* 2019년 2분기 : 테스트넷 공개
* 2020년 상반기    : 메인넷 공개, 차세대 분산 응용 프로그램 디앱 개발 지원
+
* 2020년 1분기 : 메인넷 공개, 교육센터 운영, 차세대 분산 응용 프로그램 디앱 개발 지원
* 2020년 하반기    : 자체 구축 생태계 론칭, 디앱생태계 공동사업 추진
+
* 2020년 2분기 : 자체 구축 생태계 4개 론칭
* 2021년 상/하반기 : 메인넷 및 디앱 서비스 런치
+
* 2020년 3분기 : 빅데이터&인공지능 디앱 전용 API 공개
 +
* 2020년 4분기 : 디앱생태계 6개 공동사업 추진
 +
* 2020년 4분기 :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 융합한 블록체인인공지능 공개
 +
* 2021년 1분기 : 메인넷 및 디앱 1개 서비스 런치
 +
* 2021년 2분기 : 디앱 서비스 3개 런치
 +
* 2021년 3분기 : 디앱 서비스 3개 런치
 +
* 2021년 4분기 :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인공지능 서비스 오픈
  
 
==향후 계획==
 
==향후 계획==
 
㈜앤드어스는 퍼블릭 비허가형인 앤드어스체인의 기업용 버전인 프라이빗 허가형(Private Permissionless) 블록체인 엔터프라이즈 앤드어스체인(Enterprise AndUsChain) 또한 개발하였다. 엔터프라이즈 앤드어스체인은 서비스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초당 트랜잭션 수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최소 3,000 [[TPS]] 이상이다. 특히, 엔터프라이즈 앤드어스체인은 [[샤딩]] 기법을 사용해 [[노드]] 수 증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필요할 때는 100,000 [[TPS]] 이상의 성능을 낼 수 있다. (주)앤드어스는 퍼블릭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모두 확보했으며 이후 자체 플랫폼 기반의 [[디앱]] 서비스 생태계 활성화와 블록체인 기반 상용 서비스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다. 또한, 2021년 1월 1일에는 상용 서비스를 오픈하고, [[앤드어스체인]] 기반의 다양한 디앱 서비스를 오픈할 계획이다. [[앤드어스체인]]의 개발자인 박성준 동국대학교 블록체인연구센터 교수는 블록체인 서비스 구현을 원하는 많은 디앱 서비스 업체들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컨설팅 및 기술지원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ref name="CCTV뉴스">배유미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692 앤드어스, ‘엔터프라이즈 앤드어스체인’ 개발 계획 발표… “올해 안에 완료한다”]〉, 《CCTV뉴스》, 2019-11-04</ref>
 
㈜앤드어스는 퍼블릭 비허가형인 앤드어스체인의 기업용 버전인 프라이빗 허가형(Private Permissionless) 블록체인 엔터프라이즈 앤드어스체인(Enterprise AndUsChain) 또한 개발하였다. 엔터프라이즈 앤드어스체인은 서비스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초당 트랜잭션 수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최소 3,000 [[TPS]] 이상이다. 특히, 엔터프라이즈 앤드어스체인은 [[샤딩]] 기법을 사용해 [[노드]] 수 증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필요할 때는 100,000 [[TPS]] 이상의 성능을 낼 수 있다. (주)앤드어스는 퍼블릭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모두 확보했으며 이후 자체 플랫폼 기반의 [[디앱]] 서비스 생태계 활성화와 블록체인 기반 상용 서비스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다. 또한, 2021년 1월 1일에는 상용 서비스를 오픈하고, [[앤드어스체인]] 기반의 다양한 디앱 서비스를 오픈할 계획이다. [[앤드어스체인]]의 개발자인 박성준 동국대학교 블록체인연구센터 교수는 블록체인 서비스 구현을 원하는 많은 디앱 서비스 업체들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컨설팅 및 기술지원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ref name="CCTV뉴스">배유미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692 앤드어스, ‘엔터프라이즈 앤드어스체인’ 개발 계획 발표… “올해 안에 완료한다”]〉, 《CCTV뉴스》, 2019-11-04</ref>
특히, 블록체인과 인공지능을 하나로 만드는 [[블록체인인공지능]]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블록체인인공지능]]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
특히, 2020년 블록체인과 인공지능을 하나로 만드는 [[블록체인인공지능]]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2021년안에 [[블록체인인공지능]]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각주}}
 
{{각주}}
60번째 줄: 68번째 줄:
 
* 〈[http://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csn/1078823812/company_nm/(%EC%A3%BC)%EC%95%A4%EB%93%9C%EC%96%B4%EC%8A%A4 (주)앤드어스]〉, 《사람인》
 
* 〈[http://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csn/1078823812/company_nm/(%EC%A3%BC)%EC%95%A4%EB%93%9C%EC%96%B4%EC%8A%A4 (주)앤드어스]〉, 《사람인》
 
* 〈[https://ridibooks.com/author/76435 박성준]〉, 《리디북스》, 2017-02-13
 
* 〈[https://ridibooks.com/author/76435 박성준]〉, 《리디북스》, 2017-02-13
 
+
* 김재원 기자, 〈[http://www.it-b.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774 ‘프롬카’, 앤드어스, 동국대학교블록체인연구센터와 MOU(업무협약) 체결]〉, 《아이티비즈》, 2019-08-17
 
* 배유미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692 앤드어스, ‘엔터프라이즈 앤드어스체인’ 개발 계획 발표… “올해 안에 완료한다”]〉, 《CCTV뉴스》, 2019-11-04
 
* 배유미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692 앤드어스, ‘엔터프라이즈 앤드어스체인’ 개발 계획 발표… “올해 안에 완료한다”]〉, 《CCTV뉴스》, 2019-11-04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앤드어스체인]]
 
* [[앤드어스체인]]
* [[블록체인인공지능]]
+
* [[다온]]
* [[앤드어스체인인공지능]]
 
 
* [[박성준 (교수)|박성준]]
 
* [[박성준 (교수)|박성준]]
* [[다온]]
 
  
 
{{블록체인 개발업체|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