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에너지솔루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김종현 (엘지에너지솔루션).jpg|썸네일|200픽셀|'''[[김종현 (엘지에너지솔루션)|김종현]]''' ㈜엘지에너지솔루션 대표]]
 
[[파일:김종현 (엘지에너지솔루션).jpg|썸네일|200픽셀|'''[[김종현 (엘지에너지솔루션)|김종현]]''' ㈜엘지에너지솔루션 대표]]
  
'''㈜엘지에너지솔루션'''<!--엘지에너지솔루션, 엘지 에너지 솔루션-->(LG energy solutions)은 [[㈜엘지화학]](LG Chem)에서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할해서 설립한 글로벌 배터리 제조 회사이다. 간략히 '''엘지엔솔'''(LG Ensol)이라고도 한다. 2020년 10월 30일 ㈜엘지화학의 임시주주총회로 전지사업본부 분사가 확정되었고, 2020년 12월 1일자로 ㈜엘지화학으로부터 [[물적분할]]되어 새로 설립되었다. 차별화된 소재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리튬 이온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 분야에서 글로벌 강자로 자리하고 있으며,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제품 개발과 대규모의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보하며 차세대 에너지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높이고 있다. 본사는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파크원에 위치해 있다. ㈜엘지에너지솔루션 출범 당시 대표이사는 '''[[김종현 (엘지에너지솔루션)|김종현]]'''이다. 김종현 사장은 2021년 10월 GM 전기차 화재 리콜 사건 등에 대한 책임으로 사장에서 물러났으며 그의 후임으로 현재 대표이사는 '''[[권영수]]''' LG 부회장이 전격 내정했다.  
+
'''㈜엘지에너지솔루션'''(LG energy solutions)은 [[엘지화학㈜]]에서 [[배터리]] 사업부문을 분할해서 설립한 기업이다. 2020년 10월 30일 ㈜엘지화학의 임시주주총회로 전지사업본부 분사가 확정되었고, 2020년 12월 1일자로 엘지화학㈜으로부터 물적분할되어 새로 설립되었다. 차별화된 소재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리튬 이온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지 분야에서 글로벌 강자로 자리하고 있으며,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제품 개발과 대규모의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보하며 차세대 에너지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높이고 있다. 본사는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파크원에 위치해 있다. 대표이사는 '''[[김종현 (엘지에너지솔루션)|김종현]]'''이다.
  
 
==설립배경==
 
==설립배경==
14번째 줄: 14번째 줄:
  
 
==주요 인물==
 
==주요 인물==
* '''[[김종현 (엘지에너지솔루션)|김종현]]''' : ㈜엘지에너지솔루션의 대표이사 사장이다. 1959년 10월 17일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태어나 서울 성남고등학교와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캐나다 [[맥길 대학교]](McGill University)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엘지그룹]]에서 20년 넘게 일하며 엘지맨이라는 수식어를 가지고 있다. 직장생활은 ㈜엘지생활건강에서 시작했고 엘지그룹 회장실도 거쳤다. 엘지화학에서 경영혁신담당 상무로 시작해 고무/특수수지사어부장, 소형전지사업부장, 자동차전지사업부장을 거쳐 전지사업본부장을 지냈다. ㈜엘지화학을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점유율 1위 회사로 끌어올려 배터리 사업의 본격 성장기를 이끈 최대 공로자로 꼽힌다. ㈜엘지화학의 전지사업본부가 물적분할해 출범한 ㈜엘지에너지솔루션의 초대 대표이사에 선임됐다.<ref name="강용규 기자">강용규 기자,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209220 (Who Is ?)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사장]〉, 《비즈니스포스트》, 2020-12-18</ref>
+
* '''[[김종현 (엘지에너지솔루션)|김종현]]''' : ㈜엘지에너지솔루션의 대표이사 사장이다. 1959년 10월 17일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태어나 서울 성남고등학교와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캐나다 [[맥길 대학교]](McGill University)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엘지그룹]]에서 20년 넘게 일하며 엘지맨이라는 수식어를 가지고 있다. 직장생활은 ㈜엘지생활건강에서 시작했고 엘지그룹 회장실도 거쳤다. 엘지화학에서 경영혁신담당 상무로 시작해 고무/특수수지사어부장, 소형전지사업부장, 자동차전지사업부장을 거쳐 전지사업본부장을 지냈다. ㈜엘지화학을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점유율 1위 회사로 끌어올려 배터리 사업의 본격 성장기를 이끈 최대 공로자로 꼽힌다. ㈜엘지화학의 전지사업본부가 물적분할해 출범한 ㈜엘지에너지솔루션의 초대 대표이사에 선임됐다.<ref name="강용규 기자">강용규 기자, 〈[http://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209220 (Who Is ?)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사장]〉, 《비즈니스포스트》, 2020-12-18</ref>
 
 
:2021년 10월 김종현 사장은 연이은 발화와 이에 따른 전기차 리콜사태의 책임을 지고 전격 용퇴했다. 그럼에도 그가 LG배터리 중흥기의 문을 연 인물이라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그가 이끌어온 동안 LG에너지솔루션은 기술력이나 수주잔고, 보유고객 면면 등을 감안할 때 명실상부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으로 발돋움했다.<ref>우경희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02609181838458 7000억→12.4조원, K배터리 신화 쓰고 퇴장하는 LG 김종현]〉, 《머니투데이》, 2021-10-26</ref>  
 
  
 
==주요 제품==
 
==주요 제품==
33번째 줄: 31번째 줄:
 
|엘지에너지솔루션 프리폼.jpg|㈜엘지에너지솔루션 프리폼
 
|엘지에너지솔루션 프리폼.jpg|㈜엘지에너지솔루션 프리폼
 
|}}
 
|}}
제품 종류로는 높은 [[에너지 밀도]], 고출력, 표준화 사이즈를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배터리]], 초슬림, 고밀도, 사이즈 다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배터리]], 높은 에너지 밀도, 공간 활용 극대화, 최적화된 배터리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 배터리]]가 있다. ㈜엘지에너지솔루션의 소현전지는 초소형 [[스마트기기]]부터 최고 사양의 전기차까지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ref name="공홈"></ref>
+
제품 종류로는 높은 에너지밀도, 고출력, 표준화 사이즈를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초슬림, 고밀도, 사이즈 다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높은 에너지 밀도, 공간 활용 극대화, 최적화된 배터리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이 있다. ㈜엘지에너지솔루션의 소현전지는 초소형 [[스마트기기]]부터 최고 사양의 전기차까지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ref name="공홈"></ref>
  
 
===ESS 전지===
 
===ESS 전지===
67번째 줄: 65번째 줄:
 
===지속가능경영 최우수상 수상===
 
===지속가능경영 최우수상 수상===
 
엘지화학의 유럽 폴란드 공장이 지속가능경영의 모범사례로 확실한 인증을 받았다.<ref name="위수">김위수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1&sid2=261&oid=029&aid=0002635508 LG화학, EBRD 지속가능성 어워드 `최우수상`]〉, 《디지털타임스》, 2020-11-10</ref> 이와 관련 엘지화학은 2020년 11월 10일, 유럽 국제 금융기관인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이 매년 진행하는 ‘지속가능성 어워드(Sustainability Awards)’에서 ‘지속 가능한 에너지(Sustainable Energy) 부문’ 최우수상(Gold)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엘지화학은 유럽 전기차 보급에 크게 기여하며 동시에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ref name="한경우">한경우 기자, 〈[https://www.mbn.co.kr/news/economy/4336162?page=1&date=20201110 LG화학, 유럽부흥개발은행으로부터 지속가능성 어워드 금상 수상]〉, 《엠비엔뉴스》, 2020-11-10</ref> 엘지화학은 연말까지 폴란드 전기차 배터리 공장의 생산 능력을 65GWh 이상으로 확보할 계획이며, 이는 단일공장 기준 세계 최대 생산능력으로 고성능 순수 전기차를 매년 100만대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100만대는 유럽에서 판매되는 전체 자동차(가솔린, 디젤, 전기차 등)의 6%에 해당하며, 실제 65GWh의 배터리가 전기차에 탑재되면 연간 100만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ref name="신지하">신지하 기자, 〈[http://daily.hankooki.com/lpage/industry/202011/dh20201110105019148380.htm LG화학, 유럽부흥개발은행 선정 지속가능경영 최우수상 수상]〉, 《데일리한국》, 2020-11-10</ref> 유럽 연합은 판매 차량당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 기준을 130g에서 95g로 강화했다. 이산화탄소 1g 초과시 차량당 95유로의 벌금을 부과한다. 또한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고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1990년 대비 40%에서 55%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ref name="이지숙">이지숙 기자,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20111013470546521 LG화학, 유럽부흥개발은행 선정 지속가능경영 최우수상 수상]〉, 《뉴스웨이》, 2020-11-10</ref> 유럽부흥개발은행은 금융 지원중인 프로젝트들 중 지속가능경영 성과가 탁월한 업체를 선정해 매년 ‘지속가능성 어워드’를 진행해왔다. 지속가능성 어워드는 총 다섯 가지 부문에서 각각 우수상에 해당하는 금상 및 은상, 동상을 선정하며, 2020년엔 47곳의 후보 업체 중 16곳의 업체가 최종 선정됐다.<ref name="이한림">이한림 기자, 〈[http://news.tf.co.kr/read/economy/1823715.htm LG화학, EBRD선정 지속가능경영 최우수상 수상]〉, 《비즈팩트》, 2020-11-10</ref> 엘지화학은 이뿐만 아니라 공장 운영을 위한 동력도 재생에너지로 확보하며 전방위 적인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펼치고 있다. 유럽 폴란드 공장은 2019년부터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 미시간 공장도 2020년 7월부터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 중이다.<ref name="성재용">성재용 기자,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0/11/12/2020111200167.html LG화학, 유럽부흥개발은행 선정 지속가능경영 최우수상]〉, 《뉴데일리경제》, 2020-11-12</ref> 또한 한국 오창과 중국 남경 공장 또한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100%를 도입할 예정이다. 엘지화학은 국내 화학 업계 최초로 ‘2050 탄소중립 성장’을 선언한바 있으며,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전 세계 모든 사업장에 RE100(Renewable Energy 100)을 추진하고 있다.<ref name="경우">한경우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4692387 LG화학, 유럽부흥개발은행으로부터 지속가능성 어워드 금상 수상]〉, 《매일경제》, 2020-11-10</ref> RE100은 100% 재생에너지만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뜻한다. 엘지화학은 또한 폐배터리 재활용 등 순환 경제 시스템 구축에 앞장서고, 코발트 등 배터리 주요 원재료까지 외부 기관을 통한 공급망 실사를 확대하여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엘지화학의 유럽 폴란드 공장이 지속가능경영의 모범사례로 확실한 인증을 받았다.<ref name="위수">김위수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1&sid2=261&oid=029&aid=0002635508 LG화학, EBRD 지속가능성 어워드 `최우수상`]〉, 《디지털타임스》, 2020-11-10</ref> 이와 관련 엘지화학은 2020년 11월 10일, 유럽 국제 금융기관인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이 매년 진행하는 ‘지속가능성 어워드(Sustainability Awards)’에서 ‘지속 가능한 에너지(Sustainable Energy) 부문’ 최우수상(Gold)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엘지화학은 유럽 전기차 보급에 크게 기여하며 동시에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ref name="한경우">한경우 기자, 〈[https://www.mbn.co.kr/news/economy/4336162?page=1&date=20201110 LG화학, 유럽부흥개발은행으로부터 지속가능성 어워드 금상 수상]〉, 《엠비엔뉴스》, 2020-11-10</ref> 엘지화학은 연말까지 폴란드 전기차 배터리 공장의 생산 능력을 65GWh 이상으로 확보할 계획이며, 이는 단일공장 기준 세계 최대 생산능력으로 고성능 순수 전기차를 매년 100만대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100만대는 유럽에서 판매되는 전체 자동차(가솔린, 디젤, 전기차 등)의 6%에 해당하며, 실제 65GWh의 배터리가 전기차에 탑재되면 연간 100만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ref name="신지하">신지하 기자, 〈[http://daily.hankooki.com/lpage/industry/202011/dh20201110105019148380.htm LG화학, 유럽부흥개발은행 선정 지속가능경영 최우수상 수상]〉, 《데일리한국》, 2020-11-10</ref> 유럽 연합은 판매 차량당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 기준을 130g에서 95g로 강화했다. 이산화탄소 1g 초과시 차량당 95유로의 벌금을 부과한다. 또한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고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1990년 대비 40%에서 55%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ref name="이지숙">이지숙 기자,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20111013470546521 LG화학, 유럽부흥개발은행 선정 지속가능경영 최우수상 수상]〉, 《뉴스웨이》, 2020-11-10</ref> 유럽부흥개발은행은 금융 지원중인 프로젝트들 중 지속가능경영 성과가 탁월한 업체를 선정해 매년 ‘지속가능성 어워드’를 진행해왔다. 지속가능성 어워드는 총 다섯 가지 부문에서 각각 우수상에 해당하는 금상 및 은상, 동상을 선정하며, 2020년엔 47곳의 후보 업체 중 16곳의 업체가 최종 선정됐다.<ref name="이한림">이한림 기자, 〈[http://news.tf.co.kr/read/economy/1823715.htm LG화학, EBRD선정 지속가능경영 최우수상 수상]〉, 《비즈팩트》, 2020-11-10</ref> 엘지화학은 이뿐만 아니라 공장 운영을 위한 동력도 재생에너지로 확보하며 전방위 적인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펼치고 있다. 유럽 폴란드 공장은 2019년부터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 미시간 공장도 2020년 7월부터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 중이다.<ref name="성재용">성재용 기자,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0/11/12/2020111200167.html LG화학, 유럽부흥개발은행 선정 지속가능경영 최우수상]〉, 《뉴데일리경제》, 2020-11-12</ref> 또한 한국 오창과 중국 남경 공장 또한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100%를 도입할 예정이다. 엘지화학은 국내 화학 업계 최초로 ‘2050 탄소중립 성장’을 선언한바 있으며,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전 세계 모든 사업장에 RE100(Renewable Energy 100)을 추진하고 있다.<ref name="경우">한경우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4692387 LG화학, 유럽부흥개발은행으로부터 지속가능성 어워드 금상 수상]〉, 《매일경제》, 2020-11-10</ref> RE100은 100% 재생에너지만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뜻한다. 엘지화학은 또한 폐배터리 재활용 등 순환 경제 시스템 구축에 앞장서고, 코발트 등 배터리 주요 원재료까지 외부 기관을 통한 공급망 실사를 확대하여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 현황 ==
 
* '''세계 배터리 역사를 만든 최초의 기록''' : ㈜엘지에너지솔루션은 최초의 배터리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왔다. 1992년에는 럭키금속에서 2차전지 연구를 시작했으며, 1996년엔 ㈜엘지화학으로 연구조직 집결시켜 본격 개발 시작한 후 1998년에는 국내 최초 리튬이온 배터리 대량생산체제 구축했다. 그 이후에 세계 최초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 착수, ㈜엘지에너지솔루션이 개발한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자동차가 세계적인 자동차 경주 대회(Pikes Peak International Auto Rally)에서 2년 연속 우승. 세계 최초 리튬이온 기반 양산형 전기자동차(GM Volt)용 배터리 공급업체 선정되었다. 2013년에는 세계 최초 미래형 배터리(Stepped, Curved, Wire Battery) 개발하면서 배터리 시장 판도를 혁신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최다 특허와 최고 기술력''' : 세계 최다 특허와 삼십여 년의 비결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주요 경쟁사 중에는 2,000건 미만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도 있지만, ㈜엘지에너지솔루션은 이보다 열 배 이상 많은 특허 23,610건의 특허를 확보하는 등 기술력에 있어 초격차를 유지하고 있다. 2,500명이 넘는 연구개발(R&D) 인력을 보유한 ㈜엘지에너지솔루션은 10여 년간 2조 원 이상을 연구 및 개발(R&D)에 투자했다. 배터리 성능을 결정짓는 양극재와 음극재, 배터리 안전성의 핵심 요소인 분리막과 2밀리(mm)의 초소형 배터리도 만들 수 있는 특허공법 등 모든 분야에서 압도적인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 '''배터리 업계 진출''' : 전기자동차, [[전기선박]], [[드론]] 및 우주 시장까지 진출한 최초의 기업으로 2016년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 탐사용 우주복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공급하는 업체로 선정돼 우수한 기술력을 입증받았다. ㈜엘지에너지솔루션은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 상위 10여 개 중 13개 브랜드(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제너럴모터스,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포르쉐]] 등) 세계 유수 완성차 업체들이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승용차 이외에도 전기버스, 전기 트럭 등 상용차 시장에도 배터리를 공급하는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노르웨이 조선사인 아이데스빅(Eidesvik)의 세계 최초 친환경 하이브리드 선박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공급하며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로 전기선박 시장에 진출한 바 있으며 주요 드론 업체들도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채택하고 있다.
 
 
* '''글로벌 사각 생산체제''' : 오창-홀랜드-남경-브로츠와프로 이어지는 한국, 미국, 중국, 유럽 등 네 개 지역에 글로벌 생산체제를 구축한 유일한 배터리 기업으로 고성능 순수 전기자동차를 200만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2023년까지 생산능력을 두 배 이상 확대 계획을 밝혔다.<ref>LG에너지솔루션, 〈[https://www.lgensol.com/kr/index#lastPage “세계 1등 기업의 ‘최초’·’최다’ 기록들”]〉, 《㈜엘지에너지솔루션》, 2021-01-21</ref>
 
 
== 동영상 ==
 
<youtube>iAeGs1r7qxk</youtube>
 
  
 
{{각주}}
 
{{각주}}
117번째 줄: 103번째 줄:
 
* [[엘지그룹]]
 
* [[엘지그룹]]
 
* [[㈜엘지화학]]
 
* [[㈜엘지화학]]
* [[김종현 (엘지에너지솔루션)|김종현]]
 
 
* [[배터리]]
 
* [[배터리]]
 
* [[전기자동차]]
 
* [[전기자동차]]
  
{{배터리 회사|검토 필요}}
+
{{로고 수정 필요}}
 +
{{자동차 부품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