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왓챠 로고.png|썸네일|200픽셀|'''㈜왓챠'''(Watcha Inc.)]]
+
[[파일:왓챠 로고.png|썸네일|200픽셀|'''[[왓챠]]'''(Watcha)]]
[[파일:㈜왓챠 글자.png|썸네일|300픽셀|'''㈜왓챠'''(Watcha Inc.)]]
+
[[파일:왓챠 글자.png|썸네일|300픽셀|'''[[왓챠]]'''(Watcha)]]
 
[[파일:콘텐츠프로토콜토큰 글자.png|썸네일|300픽셀|'''[[콘텐츠프로토콜토큰]]'''(ontents Protocol Token)]]
 
[[파일:콘텐츠프로토콜토큰 글자.png|썸네일|300픽셀|'''[[콘텐츠프로토콜토큰]]'''(ontents Protocol Token)]]
  
6번째 줄: 6번째 줄:
 
[[파일:원지현.jpg|썸네일|200픽셀|'''[[원지현]]''']]
 
[[파일:원지현.jpg|썸네일|200픽셀|'''[[원지현]]''']]
  
'''㈜왓챠'''<!--왓챠, 와챠, ㈜왓차, 왓차, 와차-->(Watcha Inc.)는 영화, 동영상, 음악, 글 등 콘텐츠에 대해 개인 맞춤형 추천을 제공하는 '''[[왓챠]]'''(Watcha)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이다. 2011년 9월 21일 '''프로그램스'''(Frograms)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고, 이후 2018년 3월 '주식회사 왓챠'로 회사명을 변경했다. 대표이사는 [[박태훈]]이다. 직원은 약 25명이다. 왓챠 서비스를 운영하는 ㈜왓챠는 2018년 '''[[콘텐츠프로토콜토큰]]'''(CPT)이라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만들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155 (신사동, 국제빌딩) 3층에 있다.
+
'''프로그램스'''(Programs)는 영화, 동영상, 음악, 글 등 콘텐츠에 대해 개인 맞춤형 추천을 제공하는 '''[[왓챠]]'''(Watcha)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이다. 2011년 9월 21일 설립되었다. 대표이사는 [[박태훈]]이다. 직원은 약 25명이다. 왓챠를 만든 프로그램스는 2018년 '''[[콘텐츠프로토콜토큰]]'''(CPT)이라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만들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155 (신사동, 국제빌딩) 3층에 있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왓챠(Watcha)가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여했습니다.}}
 
  
 
== 회사 개요 ==
 
== 회사 개요 ==
㈜왓챠는 한국의 포털·콘텐츠·커뮤니티 산업 분야에서 영화 추천 서비스 [[왓챠]]와 [[왓챠플레이]]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회사이다. [[서울과학고]]와 [[카이스트]](KAIST) 전산학과를 졸업한 [[박태훈]]이 [[원지현]], [[이태현]], [[이충재]]와 함께 설립하고<ref>김제관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3268319 박태훈 왓챠 대표, 빅데이터로 영화 맞춤추천]〉, 《네이버 뉴스》, 2014-07-31</ref><ref>허정윤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245180 스타트업 프로그램스 박태훈 대표 "왓챠에 광고가 없는 이유…"]〉, 《네이버 뉴스》, 2013-06-09</ref> 영화 추천 프로그램 "왓챠(Watcha)"를 개발하였다.<ref>김보영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5&aid=0002893468 영화추천 서비스 '왓챠' 내놓은 프로그램스 "취향 분석해 맞춤형 추천"…네이버 영화 추월 ]〉, 《네이버 뉴스》, 2013-11-09</ref> 2015년 8월 6일 '왓챠'는 기존 영화 중심의 콘텐츠를 드라마까지 확장하고 피드·댓글 기능 도입과 태그 기반 추천 등을 핵심으로 업데이트한 '왓챠 3.0'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시청자들의 소비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유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대규모 자금 조달을 위한 [[리버스 ICO]]를 준비 중이다.<ref>〈[http://www.ditoday.com/articles/articles_view.html?idno=20311 드라마에서 도서까지 확장한 ‘왓챠 3.0’ 론칭]〉, 《디아이투데이》, 2013-10-30</ref><ref>류석 기자,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804270100057750003582&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프로그램스·스포카, 잇단 '리버스 ICO' 추진]〉, 《the bell》, 2018-04-30</ref>
+
왓챠는 한국의 포털·콘텐츠·커뮤니티 산업 분야에서 영화 추천 서비스 왓챠와 왓챠플레이를 개발/운영하는 회사이다. [[서울과학고]]와 [[카이스트]](KAIST) 전산학과를 졸업한 박태훈이 원지현, 이태현, 이충재와 설립하고<ref>김제관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3268319 박태훈 왓챠 대표, 빅데이터로 영화 맞춤추천]〉, 《네이버 뉴스》, 2014-07-31</ref><ref>허정윤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245180 스타트업 프로그램스 박태훈 대표 "왓챠에 광고가 없는 이유…"]〉, 《네이버 뉴스》, 2013-06-09</ref> 영화 추천 프로그램 "왓챠(Watcha)"를 개발하였다.<ref>김보영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5&aid=0002893468 영화추천 서비스 '왓챠' 내놓은 프로그램스 "취향 분석해 맞춤형 추천"…네이버 영화 추월 ]〉, 《네이버 뉴스》, 2013-11-09</ref> 2015년 8월 6일 '왓챠'는 기존 영화 중심의 콘텐츠를 드라마까지 확장하고 피드·댓글 기능 도입과 태그 기반 추천 등을 핵심으로 업데이트한 '왓챠 3.0'을 발표했다.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시청자들의 소비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유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대규모 자금 조달을 위한 리버스 ICO를 준비 중이다.<ref>〈[http://www.ditoday.com/articles/articles_view.html?idno=20311 드라마에서 도서까지 확장한 ‘왓챠 3.0’ 론칭]〉, 《디아이투데이》, 2013-10-30</ref><ref>류석 기자,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804270100057750003582&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프로그램스·스포카, 잇단 '리버스 ICO' 추진]〉, 《the bell》, 2018-04-30</ref>
  
2018년 3월, 회사명을 '프로그램스'에서 '㈜왓챠'로 변경하였다.<ref name="120억">권도연 기자, 〈[https://www.bloter.net/archives/306259 왓챠, 120억 원 투자 유치]〉, 《블로터》, 2018-03-30</ref>
+
2018년 3월, 사명을 '프로그램스'에서 '왓챠'로 변경하였다.<ref name="120억">권도연 기자, 〈[https://www.bloter.net/archives/306259 왓챠, 120억 원 투자 유치]〉, 《블로터》, 2018-03-30</ref>
  
 
== 주요인물 ==
 
== 주요인물 ==
* '''[[박태훈]]''' 대표이사(CEO)<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95%ED%83%9C%ED%9B%88 박태훈]〉, 《위키백과》</ref>
+
* [[박태훈]] 대표이사<ref>〈[https://ko.wikipedia.org/wiki/%EB%B0%95%ED%83%9C%ED%9B%88 박태훈]〉, 《위키백과》</ref>
 
1985년 출생으로 [[카이스트]] 전산학과를 재학 중 군 복무를 위해 산업기능요원으로 넥슨에서 게임 메이플스토리 북미지역의 서비스 개발을 담당하였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카이스트 연합 경영동아리 S&D의 회장을 맡으며 경영을 공부하였다. 2011년 학교로 복학하지 않고 프로그램스를 설립하여 영화추천 서비스인 왓챠를 개발했다. 이후 2014년에 포브스코리아가 선정한 '코리아 2030 파워리더'의 IT 부문 표지 모델로 선정됐고 2018년에는 포춘코리아가 발표한 포춘 벤처 5인방에 선정돼기도 했다.<ref>김병주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271559 포춘 벤처 5인방 | 박태훈 프로그램스 대표]〉, 《서울경제》, 2018-04-16</ref>{{자세히|박태훈}}
 
1985년 출생으로 [[카이스트]] 전산학과를 재학 중 군 복무를 위해 산업기능요원으로 넥슨에서 게임 메이플스토리 북미지역의 서비스 개발을 담당하였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카이스트 연합 경영동아리 S&D의 회장을 맡으며 경영을 공부하였다. 2011년 학교로 복학하지 않고 프로그램스를 설립하여 영화추천 서비스인 왓챠를 개발했다. 이후 2014년에 포브스코리아가 선정한 '코리아 2030 파워리더'의 IT 부문 표지 모델로 선정됐고 2018년에는 포춘코리아가 발표한 포춘 벤처 5인방에 선정돼기도 했다.<ref>김병주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3271559 포춘 벤처 5인방 | 박태훈 프로그램스 대표]〉, 《서울경제》, 2018-04-16</ref>{{자세히|박태훈}}
  
* '''[[원지현]]''' 최고운영책임자(COO)
+
* [[원지현]] 최고운영책임자
 
왓챠의 COO를 맡고 있으며 콘텐츠프로토콜토큰의 공동 창시자 겸 공동대표 이사이다. 2007년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다니다가 자퇴했고 2008년부터 2010년 5월까지 2년간 미 육군에서 군 복무를 하였다. 전역을 하고 2011년 2월에 왓챠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스를 공동으로 창업했고 최고운영책임자(COO)의 자리를 맡았다. 2018년에는 사용자 소비 데이터 공유와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마련하는 콘텐츠 프로토콜을 공동으로 창시했으며 공동 대표이사 자리를 맡고 있다.{{자세히|원지현}}
 
왓챠의 COO를 맡고 있으며 콘텐츠프로토콜토큰의 공동 창시자 겸 공동대표 이사이다. 2007년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다니다가 자퇴했고 2008년부터 2010년 5월까지 2년간 미 육군에서 군 복무를 하였다. 전역을 하고 2011년 2월에 왓챠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스를 공동으로 창업했고 최고운영책임자(COO)의 자리를 맡았다. 2018년에는 사용자 소비 데이터 공유와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마련하는 콘텐츠 프로토콜을 공동으로 창시했으며 공동 대표이사 자리를 맡고 있다.{{자세히|원지현}}
  
 
== 회사연혁 ==
 
== 회사연혁 ==
 +
 
* 2011년 09월 21일: 회사설립
 
* 2011년 09월 21일: 회사설립
 
* 2012년 05월 24일: 8억 원 투자 유치
 
* 2012년 05월 24일: 8억 원 투자 유치
32번째 줄: 31번째 줄:
 
* 2018년 03월 30일: 주식회사 왓챠로 사명 변경
 
* 2018년 03월 30일: 주식회사 왓챠로 사명 변경
 
* 2018년 08월 08일: 왓챠 글로벌 서비스 출시
 
* 2018년 08월 08일: 왓챠 글로벌 서비스 출시
* 2019년 01월 24일: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통해 CPT 지급 시작<ref>허준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901241546583216 '업비트-왓챠 맞손'...암호화폐 대중화 '묘수']〉, 《파이낸셜뉴스》, 2019-01-24</ref>
+
* 2019년 01월 24일: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통해 CPT 지급 시작
 
* 2019년 05월 09일: 콘텐츠프로토콜토큰 스토어 오픈<ref>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90509143621 왓챠가 만든 콘텐츠프로토콜, 토큰 스토어 오픈]〉, 《지디넷코리아》, 2019-05-09</ref>
 
* 2019년 05월 09일: 콘텐츠프로토콜토큰 스토어 오픈<ref>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90509143621 왓챠가 만든 콘텐츠프로토콜, 토큰 스토어 오픈]〉, 《지디넷코리아》, 2019-05-09</ref>
 
* 2019년 07월 11일: 예비 유니콘 특별보증 지원 기업 선정
 
* 2019년 07월 11일: 예비 유니콘 특별보증 지원 기업 선정
45번째 줄: 44번째 줄:
 
== 제휴 ==  
 
== 제휴 ==  
  
=== 사업제휴 ===
+
'''사업제휴'''
* SK플래닛 VOD 서비스 '호핀'
+
* SK플래닛 VOD 서비스 `호핀`
 
* HBO
 
* HBO
 
* MBC  
 
* MBC  
  
=== 투자 ===
+
시드투자
* 시드투자 : 2012년 [[카카오벤처스]]로부터 8억원을 투자받았다.<ref name="120억"></ref>
+
* 2012년 카카오벤처스로부터 8억 원을 투자받았다.<ref name="120억"></ref>
* 라운드 A : 2013년 [[메가 인베스트먼트]], [[삼호그린 인베스트먼트]], [[캡스톤파트너스]]로부터 25억원을 투자받았다.<ref>이대호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138&aid=0002011886 프로그램스, 벤처캐피탈 3곳서 25억 원 투자 유치]〉, 《네이버 뉴스》, 2013-10-30</ref>
+
 
* 라운드 B : 2016년 [[KDB산업은행]], [[케이클라비스 인베스트먼트]], [[이베스트투자증권]], [[킹슬리캐피탈 파트너스]]로부터 55억원을 투자받았다.<ref>김용영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6/12/892156/‘왓챠플레이’ 운영사 프로그램스, 55억 투자 유치]〉, 《매일경제》, 2016-12-26</ref>
+
라운드 A
* 라운드 C : 2018년 [[네오플럭스]], [[아주IB투자]], [[코그니티브 인베스트먼트]], [[레오파트너스 인베스트먼트]], [[MG 인베스트먼트]], [[송현 인베스트먼트]], [[해시드]]로부터 120억원을 투자받았다.<ref name="120억"></ref>
+
* 2013년 메가인베스트먼트,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캡스톤파트너스로부터 25억 원을 투자받았다.<ref>이대호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138&aid=0002011886 프로그램스, 벤처캐피탈 3곳서 25억 원 투자 유치]〉, 《네이버 뉴스》, 2013-10-30</ref>
 +
 
 +
라운드 B
 +
* 2016년 KDB산업은행, 케이클라비스인베스트먼트, 이베스트투자증권, 킹슬리 캐피탈 파트너스로부터 55억 원을 투자받았다.<ref>김용영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6/12/892156/‘왓챠플레이’ 운영사 프로그램스, 55억 투자 유치]〉, 《매일경제》, 2016-12-26</ref>
 +
 
 +
라운드 C
 +
* 2018년 네오플럭스, 아주IB투자, 코그니티브인베스트먼트, 레오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MG인베스트먼트, 송현인베스트먼트, 해시드로부터 120억 원을 투자받았다.<ref name="120억"></ref>
  
누계 투자유치금액은 2018년 3월 기준 210억원이다.
+
누계 투자유치금액은 2018년 3월 기준 210억 원이다.  
  
 
== 동영상 ==
 
== 동영상 ==
65번째 줄: 70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왓챠 공식 홈페이지 - http://www.watcha.com/
+
* 프로그램스 공식 홈페이지 - http://www.frograms.com/
 
* 콘텐츠프로토콜 공식 홈페이지 - https://contentsprotocol.io/ko/index.html
 
* 콘텐츠프로토콜 공식 홈페이지 - https://contentsprotocol.io/ko/index.html
 
* 〈[http://www.jobkorea.co.kr/Recruit/Co_Read/C/frograms123 프로그램스]〉, 《잡코리아》
 
* 〈[http://www.jobkorea.co.kr/Recruit/Co_Read/C/frograms123 프로그램스]〉, 《잡코리아》
71번째 줄: 76번째 줄:
 
* 신선미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180808130400017 영화·TV시리즈 추천 '왓챠', 글로벌 서비스 출시]〉, 《연합뉴스》, 2018-08-08
 
* 신선미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180808130400017 영화·TV시리즈 추천 '왓챠', 글로벌 서비스 출시]〉, 《연합뉴스》, 2018-08-08
 
* 신민정 기자, 〈[http://www.hani.co.kr/arti/economy/startup/901438.html 왓챠플레이·마켓컬리 등 13개 기업 ‘예비 유니콘 기업’ 선정 ]〉, 《한겨레》, 2018-08-08
 
* 신민정 기자, 〈[http://www.hani.co.kr/arti/economy/startup/901438.html 왓챠플레이·마켓컬리 등 13개 기업 ‘예비 유니콘 기업’ 선정 ]〉, 《한겨레》, 2018-08-08
* 허준 기자, 〈[http://www.fnnews.com/news/201901241546583216 '업비트-왓챠 맞손'...암호화폐 대중화 '묘수']〉, 《파이낸셜뉴스》, 2019-01-24
 
 
*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90509143621 왓챠가 만든 콘텐츠프로토콜, 토큰 스토어 오픈]〉, 《지디넷코리아》, 2019-05-09
 
*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90509143621 왓챠가 만든 콘텐츠프로토콜, 토큰 스토어 오픈]〉, 《지디넷코리아》, 2019-05-09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