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터빈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역사==
 
==역사==
1791년에 영국의 발명가 [[존 바버]](John Barbour)는 '운동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인화성 공기를 사용하는 기관'으로 특허를 받았다. 그가 발명한 것이 바로 가스터빈으로, 시대를 150년이나 앞서는 기술이면서 동시에 1,700년 전부터 존재해온 오래된 개념에 근거를 둔 것이었다. 터빈이란 움직이는 [[기체]]나 [[액체]]의 [[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바꾸는 기계이다. 1세기에 그리스의 발명가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의 헤론(Ήρων)이 최초의 [[증기터빈]]을 개발했다. 그의 기구는 끓는 물의 증기를 곡선형의 노즐에 통과시켜 [[실린더]]를 회전시켰다. 존 바버의 기관은 유사한 원리에 기반한 것이었지만 고대의 선례에는 존재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했다. 바버의 기관과 같은 가스터빈 기관은 세 개의 주요 구성요소를 지닌다. 기압을 높이기 위한 응축기, 공기가 연료와 함께 혼합되어 폭발이 일어나는 연소실, 그리고 연소산물의 확장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바퀴이다. 바버의 설계는 흠잡을 데가 없었지만 가스터빈에 필요한 높은 온도를 지탱하기 위한 야금술은 그의 능력을 벗어나는 것이었다. 19세기에 많은 사람들이 가스터빈을 가지고 실험을 했지만 최초의 성공적인 가스터빈은 1903년에 옌스 애기디우스 엘링이 만든 11마력 기관이었다. 가스터빈의 사용법 중 두 가지가 가장 두드러진다. 에너지의 대부분이 터빈을 회전시키는 데 들어가는 발전과 에너지의 대부분이 고속의 [[배기가스]]로 들어가는 분사반동추진이다. 이 두 가지 응용법은 1939년에 최초로 구현되었다. 스위스에서 가스터빈을 사용하는 상업적인 동력장치가 실용화되었고 독일에서는 최초의 [[제트기]]가 날아올랐다.<ref>잭 챌리너,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8508&cid=43121&categoryId=43121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상을 바꾼 발명품 1001 - 가스터빈]〉, 《마로니에북스》, 2010-01-20</ref>
+
1791년에 영국의 발명가 존 바버(John Barbour)는 '운동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인화성 공기를 사용하는 기관'으로 특허를 받았다. 그가 발명한 것이 바로 가스터빈으로, 시대를 150년이나 앞서는 기술이면서 동시에 1,700년 전부터 존재해온 오래된 개념에 근거를 둔 것이었다. 터빈이란 움직이는 [[기체]]나 [[액체]]의 [[에너지]]를 [[회전에너지]]로 바꾸는 기계이다. 1세기에 그리스의 발명가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의 헤론(Ήρων)이 최초의 [[증기터빈]]을 개발했다. 그의 기구는 끓는 물의 증기를 곡선형의 노즐에 통과시켜 [[실린더]]를 회전시켰다. 존 바버의 기관은 유사한 원리에 기반한 것이었지만 고대의 선례에는 존재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했다. 바버의 기관과 같은 가스터빈 기관은 세 개의 주요 구성요소를 지닌다. 기압을 높이기 위한 응축기, 공기가 연료와 함께 혼합되어 폭발이 일어나는 연소실, 그리고 연소산물의 확장에 의해 회전하는 터빈 바퀴이다. 바버의 설계는 흠잡을 데가 없었지만 가스터빈에 필요한 높은 온도를 지탱하기 위한 야금술은 그의 능력을 벗어나는 것이었다. 19세기에 많은 사람들이 가스터빈을 가지고 실험을 했지만 최초의 성공적인 가스터빈은 1903년에 옌스 애기디우스 엘링이 만든 11마력 기관이었다. 가스터빈의 사용법 중 두 가지가 가장 두드러진다. 에너지의 대부분이 터빈을 회전시키는 데 들어가는 발전과 에너지의 대부분이 고속의 [[배기가스]]로 들어가는 분사반동추진이다. 이 두 가지 응용법은 1939년에 최초로 구현되었다. 스위스에서 가스터빈을 사용하는 상업적인 동력장치가 실용화되었고 독일에서는 최초의 [[제트기]]가 날아올랐다.<ref>잭 챌리너,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8508&cid=43121&categoryId=43121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상을 바꾼 발명품 1001 - 가스터빈]〉, 《마로니에북스》, 2010-01-20</ref>
  
 
==특징==
 
==특징==
82번째 줄: 82번째 줄:
  
 
==국내 동향==
 
==국내 동향==
발전용 가스터빈 특허는 2010년대 초반 연평균 100여건 수준이었으나, 2015년~2019년에는 연평균 200여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특히 [[두산중공업㈜]]은 일본 미츠비시그룹과의 라이센스 계약이 만료된 2017년 전후 3년간 384건을 출원하여 같은 기간 미츠비시 158건, [[제너럴일렉트릭]](General Electric) 101건, [[지멘스]](Siemens AG) 41건을 크게 앞지르며 기술과 특허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LNG]] 발전량을 40GW 수준에서 60GW까지 증가시키겠다는 대한민국 정부 정책에 비추어 볼 때, [[석탄]]이나 [[원자력]] 발전에 비해 환경과 안전성 측면에서 장점이 큰 LNG 발전의 핵심부품인 발전용 가스터빈에 대한 연구개발과 특허출원의 증가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ref>박찬수 기자, 〈[https://www.news1.kr/articles/?4106938 특허청, 가스터빈 등록특허 분석정보·최신 학술정보 제공]〉, 《뉴스원》, 2020-11-03</ref> 보다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LNG 발전을 위해 기존 발전용 가스터빈에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이 융합되고 있는 추세이다.<ref>허재구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10310463954202 국내기업 시장 진입장벽 높은 '가스터빈' 기술 특허 출원 활발]〉, 《머니투데이》, 2020-11-03</ref> 대한민국 특허청은 관련 기업들이 핵심특허를 확보해 지식재산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할 계획이다. 더불어 가스터빈 소식지를 통해 최신 특허기술 및 학술동향 정보를 제공하여 관련 기업들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미래 유망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및 특허창출 역량을 키워 나가도록 지원하고 있다.<ref>특허청,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18890 가스터빈 기술자립, 특허청이 앞당긴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11-03</ref><ref>박진환 기자, 〈[https://news.v.daum.net/v/20201103104856546 韓, 세계5번째 LNG발전용 가스터빈 국산화 성공..특허출원 활발]〉, 《이데일리》, 2020-11-03</ref>
+
발전용 가스터빈 특허는 2010년대 초반 연평균 100여건 수준이었으나, 2015년~2019년에는 연평균 200여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특히 두산중공업은 미츠비시와의 라이센스 계약이 만료된 2017년 전후 3년간 384건을 출원하여 같은 기간 미츠비시 158건, 제너럴일렉트릭 101건, 지멘스 41건을 크게 앞지르며 기술과 특허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LNG 발전량을 40GW 수준에서 60GW까지 증가시키겠다는 대한민국 정부 정책에 비추어 볼 때, 석탄이나 원자력 발전에 비해 환경과 안전성 측면에서 장점이 큰 LNG 발전의 핵심부품인 발전용 가스터빈에 대한 연구개발과 특허출원의 증가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ref>박찬수 기자, 〈[https://www.news1.kr/articles/?4106938 특허청, 가스터빈 등록특허 분석정보·최신 학술정보 제공]〉, 《뉴스원》, 2020-11-03</ref> 보다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인 LNG 발전을 위해 기존 발전용 가스터빈에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이 융합되고 있는 추세이다.<ref>허재구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10310463954202 국내기업 시장 진입장벽 높은 '가스터빈' 기술 특허 출원 활발]〉, 《머니투데이》, 2020-11-03</ref> 대한민국 특허청은 관련 기업들이 핵심특허를 확보해 지식재산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할 계획이다. 더불어 가스터빈 소식지를 통해 최신 특허기술 및 학술동향 정보를 제공하여 관련 기업들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미래 유망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및 특허창출 역량을 키워 나가도록 지원하고 있다.<ref>특허청,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18890 가스터빈 기술자립, 특허청이 앞당긴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11-03</ref><ref>박진환 기자, 〈[https://news.v.daum.net/v/20201103104856546 韓, 세계5번째 LNG발전용 가스터빈 국산화 성공..특허출원 활발]〉, 《이데일리》, 2020-11-03</ref>
  
 
{{각주}}
 
{{각주}}
100번째 줄: 100번째 줄:
 
* 허재구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10310463954202 국내기업 시장 진입장벽 높은 '가스터빈' 기술 특허 출원 활발]〉, 《머니투데이》, 2020-11-03
 
* 허재구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110310463954202 국내기업 시장 진입장벽 높은 '가스터빈' 기술 특허 출원 활발]〉, 《머니투데이》, 2020-11-03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가스]]
 
 
* [[터빈]]
 
* [[터빈]]
 
* [[증기터빈]]
 
* [[증기터빈]]
 
* [[수소터빈]]
 
* [[수소터빈]]
* [[존 바버]]
 
  
{{기계|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자동차 부품}}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