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속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8번째 줄: 98번째 줄:
 
==계산식==
 
==계산식==
 
; 감속비
 
; 감속비
감속기가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비율이다. 서로 맞물린 치차에서 피동치차의 잇수를 구동치차의 잇수로 나눈 값으로 일반적으로 감속비는 보통 1:3 ~ 1:25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속비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ref name="엑셈">〈[http://www.daehwagm.co.kr/new3/sub_4/4_3_1.php?cate=0005_0058_0062_&what=2 02. 감속기]〉, 《엑셈》</ref>
+
감속기가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비율이다. 서로 맞물린 치차에서 피동치차의 잇수를 구동치차의 잇수로 나눈 값으로 일반적으로 감속비는 보통 1:3 ~ 1:25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속비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math>i = \frac{N_{M}}{N_{C}}</math>
 
  <math>i = \frac{N_{M}}{N_{C}}</math>
  
 
; 회전수와 회전방향
 
; 회전수와 회전방향
감속기를 조립한 경우 회전수는 다음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감속기 출력축의 회전 방향은 감속비에 의해 모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것과 반대 방향인 것도 있다.<ref name="엑셈"></ref>
+
감속기를 조립한 경우 회전수는 다음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감속기 출력축의 회전 방향은 감속비에 의해 모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것과 반대 방향인 것도 있다.
 
  <math>N_{C} = \frac{N_{M}}{i}</math>
 
  <math>N_{C} = \frac{N_{M}}{i}</math>
  
117번째 줄: 117번째 줄:
 
  <math>T_{M}</math>  : 모터의 회전력 <math>(Kg-cm)</math>
 
  <math>T_{M}</math>  : 모터의 회전력 <math>(Kg-cm)</math>
 
  <math>\eta</math>    : 기어 헤드의 전달 효율
 
  <math>\eta</math>    : 기어 헤드의 전달 효율
이때, 전달 효율이란 모터에 기어 헤드를 조합하여 회전력을 증폭시킬 때의 효율로, 단위는 %로 표시한다. 기어 헤드에 사용되는 축수, 치차의 마찰 및 윤활유의 저항 등으로 결정되며 전달 효율은 기어 헤드의 감속 단수 당 90%를 고려하여 감속 단수가 적은 2단은 81% 정도이며, 감속비가 클수록 감속 단수가 증가하여 3단은 73%, 4단은 66%, 5단은 59%로 저하된다.<ref name="엑셈"></ref>
+
이때, 전달 효율이란 모터에 기어 헤드를 조합하여 회전력을 증폭시킬 때의 효율로, 단위는 %로 표시한다. 기어 헤드에 사용되는 축수, 치차의 마찰 및 윤활유의 저항 등으로 결정되며 전달 효율은 기어 헤드의 감속 단수 당 90%를 고려하여 감속 단수가 적은 2단은 81% 정도이며, 감속비가 클수록 감속 단수가 증가하여 3단은 73%, 4단은 66%, 5단은 59%로 저하된다.
  
 
; 감속기의 최대 허용 회전력
 
; 감속기의 최대 허용 회전력
 
[[파일:감속기의 최대 허용 회전력.PNG|썸네일|400픽셀|감속기의 최대 허용 회전력]]
 
[[파일:감속기의 최대 허용 회전력.PNG|썸네일|400픽셀|감속기의 최대 허용 회전력]]
  
출력 회전력은 감속비가 커지면 그에 비례해서 커지는데, 사용되는 기어, 축수의 재질,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가해지는 부하 회전력의 크기가 어느 감속비 이상이 되면 한계에 도달하게 된다. 이 회전력을 최대 허용 회전력이라 한다.<ref name="엑셈"></ref>
+
출력 회전력은 감속비가 커지면 그에 비례해서 커지는데, 사용되는 기어, 축수의 재질,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가해지는 부하 회전력의 크기가 어느 감속비 이상이 되면 한계에 도달하게 된다. 이 회전력을 최대 허용 회전력이라 한다.
  
 
; 감속기 수명과 서비스 팩터
 
; 감속기 수명과 서비스 팩터
133번째 줄: 133번째 줄:
 
  이러한 경우의 서비스 팩터를 <math>sf = 1</math> 이라 한다.
 
  이러한 경우의 서비스 팩터를 <math>sf = 1</math> 이라 한다.
  
: 이때, 볼베어링 타입의 기어 헤드를 하루에 24시간 운전한다면 서비스 팩터를 고려하여 최대허용 회전력이 큰 모터와 기어 헤드를 선정하여 사용한다.<ref name="엑셈"></ref>
+
: 이때, 볼베어링 타입의 기어 헤드를 하루에 24시간 운전한다면 서비스 팩터를 고려하여 최대허용 회전력이 큰 모터와 기어 헤드를 선정하여 사용한다.
  
* '''서비스 팩터'''(service factor) : 기어 헤드의 수명은 보통 축을 지지해주는 방법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부하가 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하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 팩터의 계수를 사용한다. 안전계수(sf)는 일일가동시간, 가동 및 정지빈도수, 하중의 종류, 주위온도 및 기타의 사항 등 모든 운전조건을 검토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인원에 대한 안전, 생산라인에서의 기어감속기의 역할, 유지보수의 조건들도 중요하다. 강도계산(동력전달능력)은 균일하중 상태로 1일 80시간을 연속 운전했을 때를 기준으로 가장 이상적인 데이터에 의해 설계한다. 작업자에 대한 안전 및 고장없는 지속적인 운전을 위하여 안전율을 조건표상에서 결정된 것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는 것이 좋다.<ref name="엑셈"></ref>
+
* '''서비스 팩터'''(service factor) : 기어 헤드의 수명은 보통 축을 지지해주는 방법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부하가 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하의 종류에 따라 서비스 팩터의 계수를 사용한다. 안전계수(sf)는 일일가동시간, 가동 및 정지빈도수, 하중의 종류, 주위온도 및 기타의 사항 등 모든 운전조건을 검토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인원에 대한 안전, 생산라인에서의 기어감속기의 역할, 유지보수의 조건들도 중요하다. 강도계산(동력전달능력)은 균일하중 상태로 1일 80시간을 연속 운전했을 때를 기준으로 가장 이상적인 데이터에 의해 설계한다. 작업자에 대한 안전 및 고장없는 지속적인 운전을 위하여 안전율을 조건표상에서 결정된 것보다 큰 것으로 결정하는 것이 좋다.
 
:{|class=wikitable width=600 style="background-color:#ffffee"
 
:{|class=wikitable width=600 style="background-color:#ffffee"
 
|+서비스 팩터의 계수
 
|+서비스 팩터의 계수
189번째 줄: 189번째 줄:
 
|}
 
|}
  
: 산출한 축단 하중치가 허용치를 초과하면, 축수의 단기 파손, 출력축의 휨, 반복 하중에 의한 피로 파손을 가져오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축단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해야 한다. 또한 출력축에 직접 부하를 취부하는 경우에는 편단 하중 때문에 GEAR HEAD에 가깝게 부하를 취부하는 것이 좋다. 전달 기구에 헬리컬 기어, 웜 기어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축단 하중과 동시에 쓰러스트 하중이 작용하므로 쓰러스트 하중도의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하여야 한다.<ref name="엑셈"></ref>
+
: 산출한 축단 하중치가 허용치를 초과하면, 축수의 단기 파손, 출력축의 휨, 반복 하중에 의한 피로 파손을 가져오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축단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해야 한다. 또한 출력축에 직접 부하를 취부하는 경우에는 편단 하중 때문에 GEAR HEAD에 가깝게 부하를 취부하는 것이 좋다. 전달 기구에 헬리컬 기어, 웜 기어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축단 하중과 동시에 쓰러스트 하중이 작용하므로 쓰러스트 하중도의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하여야 한다.
  
* '''쓰러스트 하중'''(thrust load) : 기어 헤드 출력축에 축 방향으로 걸리는 하중으로 기어 헤드 출력축에 걸릴 수 있는 쓰러스트 하중의 최대치를 허용 쓰러스트 하중이라고 하고 기어 헤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ref name="엑셈"></ref>
+
* '''쓰러스트 하중'''(thrust load) : 기어 헤드 출력축에 축 방향으로 걸리는 하중으로 기어 헤드 출력축에 걸릴 수 있는 쓰러스트 하중의 최대치를 허용 쓰러스트 하중이라고 하고 기어 헤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class=wikitable width=700 style="background-color:#ffffee"
+
:{|class=wikitable width=600 style="background-color:#ffffee"
 
|+축단 하중 및 쓰러스트 하중
 
|+축단 하중 및 쓰러스트 하중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크기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크기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기어비<br>(gear ratio)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기어비(gear ratio)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최대허용 회전력<br>(maximum permissible torque)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최대허용 회전력(maximum permissible torque)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허용 축단 하중<br>(kg)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허용 축단 하중(kg)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허용 쓰러스트 하중<br>(kg)
+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허용 쓰러스트 하중(kg)
 
|-
 
|-
 
|align=center rowspan=2|60mm
 
|align=center rowspan=2|60mm
226번째 줄: 226번째 줄:
 
|align=center|20 ~ 180
 
|align=center|20 ~ 180
 
|align=center|40 ~ 100
 
|align=center|40 ~ 100
|-
 
|align=center rowspan=4|강력형
 
|align=center|3 ~ 10
 
|align=center|8~40
 
|align=center rowspan=5|60
 
|align=center rowspan=5|15
 
|-
 
|align=center|12.5 ~ 20
 
|align=center|40 ~ 80
 
|-
 
|align=center|25 ~ 60
 
|align=center rowspan=2|50 ~ 200
 
|-
 
|align=center|75 ~ 180
 
|-
 
|align=center|초강력형
 
|align=center|3 ~ 200
 
|align=center|18 ~ 300
 
 
|}
 
|}
 +
<ref>〈[http://www.daehwagm.co.kr/new3/sub_4/4_3_1.php?cate=0005_0058_0062_&what=2 02. 감속기]〉, 《엑셈》</ref>
  
 
==동향==
 
==동향==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