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마르크스와 레닌의 관점==
 
==마르크스와 레닌의 관점==
* N.레닌은 '계급은 사람들의 집단이지만, 특정한 사회적·경제적 제도에서 그들의 지위가 다르기 때문에, 한쪽이 다른쪽의 노동을 독점할 수 있는 인간집단'이며, 또 '역사상 특정한 사회적 생산관계에서 지위를 달리하고 생산수단에 대한 관계를 달리하며, 사회적 노동조직에서의 역할, 즉 사회적 부(富) 중에서 그들이 처리할 몫의 취득방법과 양을 달리하는 인간의 대집단'이라고 규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계급은 전체 사회에서 계통(階統:hierarchy)을 형성하고 사회적 세력 분배의 불평등에 따라 상하관계, 지배·피지배의 관계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며, 그것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생기는 가를 밝히는 것이 그 규정의 내용이 된다.
+
* N.레닌은 ‘계급은 사람들의 집단이지만, 특정한 사회적·경제적 제도에서 그들의 지위가 다르기 때문에, 한쪽이 다른쪽의 노동을 독점할 수 있는 인간집단’이며, 또 ‘역사상 특정한 사회적 생산관계에서 지위를 달리하고 생산수단에 대한 관계를 달리하며, 사회적 노동조직에서의 역할, 즉 사회적 부(富) 중에서 그들이 처리할 몫의 취득방법과 양을 달리하는 인간의 대집단’이라고 규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계급은 전체 사회에서 계통(階統:hierarchy)을 형성하고 사회적 세력 분배의 불평등에 따라 상하관계, 지배·피지배의 관계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집단이며, 그것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생기는 가를 밝히는 것이 그 규정의 내용이 된다.
* 계급은 계급차를 낳는 사회적 생산관계의 본질에 입각하여 역사적인 생성과정과 내용을 추구하고 [[자본주의]]사회에서 갖는 의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K.마르크스는 공산당선언에서 자본주의사회를 포함한 인류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라고 규정하고, 《자본론》 등에서 역사법칙을 일관하는 물질적·사회적 토대와 계급의 존재 의의를 역사적 분석을 통하여 명확히 하였다. 마르크스주의에서 사회 발전은 그 특정단계의 생산력과 생산관계에 의하여 규정되며, 사회적 생산관계에서 생산수단의 소유·비소유에 따라 계급이 생기고 노동조직에서의 각자 역할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지배·피지배, 착취·피착취의 관계가 생기고 서로 대립하는 계급의 존재가 사회구조상의 기본적 특질로 규정된다.  
+
* 계급은 계급차를 낳는 사회적 생산관계의 본질에 입각하여 역사적인 생성과정과 내용을 추구하고 [[자본주의]]사회에서 갖는 의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K.마르크스는 공산당선언에서 자본주의사회를 포함한 인류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라고 규정하고, 《자본론》 등에서 역사법칙을 일관하는 물질적·사회적 토대와 계급의 존재 의의를 역사적 분석을 통하여 명확히 하였다. 마르크스주의에서 사회 발전은 그 특정단계의 생산력과 생산관계에 의하여 규정되며, 사회적 생산관계에서 생산수단의 소유·비소유에 따라 계급이 생기고 노동조직에서의 각자 역할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지배·피지배, 착취·피착취의 관계가 생기고 서로 대립하는 계급의 존재가 사회구조상의 기본적 특질로 규정된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에 따라 노동자(프롤레타리아트)는 부르주아지에게 자신의 노동력을 상품으로 팔아 스스로의 생활을 확보해야 하고, 자본가계급(부르주아지)은 대가를 치르고 노동력을 사서 상품생산에서 이윤을 올리고 착취를 계속해 간다. 이러한 양자의 관계는 화해할 수 없는 것이며 계급적 대립으로 남는다. 이를 지양(止揚)하여 [[사회주의]]·[[공산주의]]를 건설하는 것이 곧 계급 없는 사회에 이르는 길이며 프롤레타리아트의 역사적 사명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계급 → 계급적 모순·대립 → 계급투쟁 → 계급지양의 전개(展開)를 역사 발전의 법칙으로 규정하였다.<ref name="두산백과"></ref>
 
*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에 따라 노동자(프롤레타리아트)는 부르주아지에게 자신의 노동력을 상품으로 팔아 스스로의 생활을 확보해야 하고, 자본가계급(부르주아지)은 대가를 치르고 노동력을 사서 상품생산에서 이윤을 올리고 착취를 계속해 간다. 이러한 양자의 관계는 화해할 수 없는 것이며 계급적 대립으로 남는다. 이를 지양(止揚)하여 [[사회주의]]·[[공산주의]]를 건설하는 것이 곧 계급 없는 사회에 이르는 길이며 프롤레타리아트의 역사적 사명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계급 → 계급적 모순·대립 → 계급투쟁 → 계급지양의 전개(展開)를 역사 발전의 법칙으로 규정하였다.<ref name="두산백과"></ref>
  
23번째 줄: 23번째 줄:
 
* [[재산]]
 
* [[재산]]
 
* [[신분]]
 
* [[신분]]
* [[계층]]
 
 
* [[혁명]]
 
* [[혁명]]
 
* [[투쟁]]
 
* [[투쟁]]
 
* [[공산주의]]
 
* [[공산주의]]
 
* [[자본주의]]
 
* [[자본주의]]
* [[카를 마르크스]]
 
* [[블라디미르 레닌]]
 
  
 
{{정치|검토 필요}}
 
{{정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