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우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고우균.jpg|썸네일|300픽셀|'''고우균''' 메디블록 공동대표]]
+
[[파일:고우균.jpg|썸네일|300픽셀|'''고우균''']]
 
 
[[파일:메디블록 글자.png|썸네일|300픽셀|'''[[메디블록]]'''(Medibloc)]]
 
  
 
'''고우균'''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개인 의료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메디블록]]'''(Mediblock)의 공동 창시자이다. 서울과학고등학교 친구이자 현직 의사인 [[이은솔]]과 함께 공동 개발했다.
 
'''고우균'''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개인 의료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메디블록]]'''(Mediblock)의 공동 창시자이다. 서울과학고등학교 친구이자 현직 의사인 [[이은솔]]과 함께 공동 개발했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고우균 대표가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발표했습니다.}}
 
  
 
== 학력 ==
 
== 학력 ==
* 2002년 [[서울과학고등학교]] 졸업
+
* 2002년 서울과학고등학교 졸업
* 2006년 [[카이스트]](KAIST) 전산학과 학사 졸업  
+
* 2006년 KAIST 전산학과 학사 졸업  
* 2006년 ~ 2008년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석사 졸업  
+
* 2006년 ~ 2008년 컬럼비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석사 졸업  
* 2012년 ~ 2016년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졸업
+
* 2012년 ~ 2016년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졸업
  
 
== 약력 ==
 
== 약력 ==
 
* 2002년 ~ 2006년 한국 과학 기술 연구원
 
* 2002년 ~ 2006년 한국 과학 기술 연구원
* 2008년 ~ 2012년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엔지니어  
+
* 2008년 ~ 2012년 삼성전자 소프트웨어엔지니어  
 
* 2016년 ~ 2017년 치과의사  
 
* 2016년 ~ 2017년 치과의사  
* 2017년 ~ 현재 [[메디블록]] 공동 대표이사(CEO)
+
* 2017년 ~ 현재 메디블록 CEO
  
 
== 생애 ==
 
== 생애 ==
고우균은 [[카이스트]] 전산학과를 나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석사를 졸업했다. 이후에는 삼성전자에서 소프트엔지니어로서 일을 했다. 당시에 스마트폰인 갤럭시 S에 들어가는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 팀에서 3년 반 정도 일을 했다. 이후 삼성전자를 나와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한 후 치과의사가 됐다. 치의학전문대학원에 있을 때부터 치과에서 쓰이는 [[소프트웨어]] 관련 업체와 협력 관련해 얘기를 자주 했다. 졸업 후 [[스타트업]]을 설립할 계획을 가진 친구들을 도와주고 해외에서도 [[스타트업]]에서 같이 일해보지 않겠냐는 제의를 많이 받았다. 전공과 관련해서 [[CTO]] 오퍼를 많이 받았었다.
+
고우균은 카이스트 전산학과를 나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 석사를 졸업했다. 이후에는 삼성전자에서 소프트엔지니어로서 일을 했다. 당시에 스마트폰인 갤럭시 S에 들어가는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 팀에서 3년 반 정도 일을 했다. 이후 삼성전자를 나와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한 후 치과의사가 됐다. 치의학전문대학원에 있을 때부터 치과에서 쓰이는 [[소프트웨어]] 관련 업체와 협력 관련해 얘기를 자주 했다. 졸업 후 [[스타트업]]을 설립할 계획을 가진 친구들을 도와주고 해외에서도 [[스타트업]]에서 같이 일해보지 않겠냐는 제의를 많이 받았다. 전공과 관련해서 [[CTO]] 오퍼를 많이 받았었다.
  
 
=== 치의학 공부 ===
 
=== 치의학 공부 ===
35번째 줄: 31번째 줄:
 
메디블록은 탈중앙화된 의료정보 시스템이다. 고우균은 블록체인 기술 특성상 데이터의 위변조가 어렵기 때문에 데이터가 정확하다는 특성을 의료정보에 활용할 생각을 했다. 블록체인에 데이터 스냅샷에 해당하는 [[해시값]]을 기록해 병원에서 만들어진 [[데이터]]가 정확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환자, 의료 공급자, 데이터 연구자에게 의료정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잘 작동하는 서비스가 있으면 의료 정보의 위변조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도 [[블록체인]]이 아니여도 구현 가능하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블록체인 기반이라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의료 정보의 이력까지 증명하려면 디지털 사인 등 기존 기술로는 어렵다. 의료기록은 바뀌면 안 되는 게 아니라 어떻게 바뀌었는지 기록이 남아야 한다. 고우균은 [[데이터]] 이력을 증명하는데 블록체인이 가장 적합한 기술이라고 생각했다. [[메디블록]]은 [[해시값]]을 [[퍼블릭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구조이다.  
 
메디블록은 탈중앙화된 의료정보 시스템이다. 고우균은 블록체인 기술 특성상 데이터의 위변조가 어렵기 때문에 데이터가 정확하다는 특성을 의료정보에 활용할 생각을 했다. 블록체인에 데이터 스냅샷에 해당하는 [[해시값]]을 기록해 병원에서 만들어진 [[데이터]]가 정확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환자, 의료 공급자, 데이터 연구자에게 의료정보 시스템을 제공한다. 잘 작동하는 서비스가 있으면 의료 정보의 위변조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도 [[블록체인]]이 아니여도 구현 가능하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블록체인 기반이라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의료 정보의 이력까지 증명하려면 디지털 사인 등 기존 기술로는 어렵다. 의료기록은 바뀌면 안 되는 게 아니라 어떻게 바뀌었는지 기록이 남아야 한다. 고우균은 [[데이터]] 이력을 증명하는데 블록체인이 가장 적합한 기술이라고 생각했다. [[메디블록]]은 [[해시값]]을 [[퍼블릭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구조이다.  
  
[[메디블록]]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의료정보 공유 모델을 내세웠고, [[ICO]]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기 때문이다. 메디블록은 비즈니스 모델이 ICO에 적합하다며 호평을 받았다. 보안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개인과 병원은 메디블록 서비스에 참여하면 보상을 받도록 설계했다. 사용자가 글을 쓰면 [[암호화폐]]로 보상하는 스팀잇같은 블록체인 기반 블로깅 서비스를 벤치마킹했다. 고우균과 [[이은솔]]은 세계 최초로 의료분야 암호화폐인 [[메디토큰]]을 [[개발]]한 것이다. 국내에서 [[ICO]]를 허용하지 않아 영국령 지브롤터에서 [[ICO]]를 단행해 300억 원 자금을 조달했다. 메디블록 성공 가능성에 총 70개 국가에서 6,500명이 투자했다.{{자세히|메디블록}}
+
[[메디블록]]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의료정보 공유 모델을 내세웠고, [[ICO]]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기 때문이다. 메디블록은 비즈니스 모델이 ICO에 적합하다며 호평을 받았다. 보안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개인과 병원은 메디블록 서비스에 참여하면 보상을 받도록 설계했다. 사용자가 글을 쓰면 [[암호화폐]]로 보상하는 스팀잇같은 블록체인 기반 블로깅 서비스를 벤치마킹했다. 고우균과 [[이은솔]]은 세계 최초로 의료분야 암호화폐인 [[메디토큰]]을 [[개발]]한 것이다. 국내에서 [[ICO]]를 허용하지 않아 영국령 지브롤터에서 [[ICO]]를 단행해 300억 원 자금을 조달했다. 메디블록 성공 가능성에 총 70개 국가에서 6,500명이 투자했다.
  
{{각주}}
+
{{자세히|메디블록}}
 +
{{ 각주 }}
  
 
==참고자료==
 
==참고자료==
48번째 줄: 45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암호화폐]]
 
* [[메디블록]]
 
* [[메디블록]]
 +
* [[암호화폐 창시자]]
 
* [[이은솔]]
 
* [[이은솔]]
*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19]]
 
*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18]]
 
  
 
{{암호화폐 창시자|검토 필요}}
 
{{암호화폐 창시자|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