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공개키 암호는 대칭키 암호의 키 전달에 있어서 취약점을 해결하고자 한 노력의 결과로 탄생했다. 한 쌍의 키가 존재하며, 하나는 특정 사람만이 가지는 개인키(또는 비밀키)이고 다른 하나는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공개키이다.<ref name = "불곰"> 불곰, 〈[https://brownbears.tistory.com/332 암호(대팅키 암호, 공개키 암호)]〉, 《티스토리》, 2017-03-14 </ref>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학적으로 연관된 두 개의 키를 만들어서 하나는 자기가 안전하게 보관하고 다른 하나는 상대방에게 공개한다.<ref name = "깃북스"> 〈[https://lesstif.gitbooks.io/web-service-hardening/content/public-key-encryption.html 공개키 암호화]〉, 《깃북스》</ref> 개인키로 암호화 한 정보는 그 쌍이 되는 공개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하고, 공개키로 암호화한 정보는 그 쌍이 되는 개인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하다. 개인이 비밀통신을 할 경우엔 [[대칭키 암호]]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수가 통신을 할 때에는 키의 개수가 급증하게 되어 큰 어려움이 따른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나타난 것이 공개키 암호이다. 공개키 암호는 다른 유저와 키를 공유하지 않더라도 암호를 통한 안전한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f name = "불곰"></ref>
+
공개키 암호는 대칭키 암호의 키 전달에 있어서 취약점을 해결하고자 한 노력의 결과로 탄생했다. 한 쌍의 키가 존재하며, 하나는 특정 사람만이 가지는 개인키(또는 비밀키)이고 다른 하나는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공개키이다.<ref name = "불곰"> 불곰, 〈[https://brownbears.tistory.com/332 암호(대팅키 암호, 공개키 암호)]〉, 《티스토리》, 2017-03-14 </ref>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학적으로 연관된 두 개의 키를 만들어서 하나는 자기가 안전하게 보관하고 다른 하나는 상대방에게 공개한다.<ref name = "깃북스"> 〈[https://lesstif.gitbooks.io/web-service-hardening/content/public-key-encryption.html 공개키 암호화]〉, 《깃북스》</ref> 개인키로 암호화 한 정보는 그 쌍이 되는 공개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하고, 공개키로 암호화한 정보는 그 쌍이 되는 개인키로만 복호화가 가능하다. 개인이 비밀통신을 할 경우엔 [[대칭키 암호]]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수가 통신을 할 때에는 키의 개수가 급증하게 되어 큰 어려움이 따른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나타난 것이 공개키 암호이다. 공개키 암호는 다른 유저와 키를 공유하지 않더라도 암호를 통한 안전한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있다.<ref name = "불곰"></ref>
  
 
== 배경 ==
 
== 배경 ==
28번째 줄: 28번째 줄:
  
 
===전자서명(Digital signature)===
 
===전자서명(Digital signature)===
전자 서명(Digital signature)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신원을 확인하거나 거래를 하려고 할 때 주민등록증이나 인감 날인 또는 서명 등이 필요하듯이, 인터넷상에서도 이를 확실히 보장해 줄 수 있는 수단이 전자 서명이다. 한마디로 전자 서명은 이 증서 형태로 발급되는 자신만의 디지털 인감이며 서명인 것이다. 결국 전자 서명은 어떠한 사람이 그 문서를 작성했는지 증명하는 법이므로 전자 서명을 하기 위해선 어떤 문서에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해서 첨부하는 것이다.
+
전자 서명(Digital signature)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신원을 확인하거나 거래를 하려고 할 때 주민등록증이나 인김 날인 또는 서명 등이 필요하듯이, 인터넷상에서도 이를 확실히 보장해 줄 수 있는 수단이 전자 서명이다. 한마디로 전자 서명은 이 증서 형태로 발급되는 자신만의 디지털 인감이며 서명인 것이다. 결국 전자 서명은 어떠한 사람이 그 문서를 작성했는지 증명하는 법이므로 전자 서명을 하기 위해선 어떤 문서에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해서 첨부하는 것이다.
  
 
:{|border=2 width=600
 
:{|border=2 width=600
59번째 줄: 59번째 줄:
  
 
== 활용 ==
 
== 활용 ==
공개키 암호 방식은 다수의 최신 컴퓨터 시스템에서 민감한 정보에 대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공개키 암호 방식  기술을 통해 이메일 내용을 기밀로 유지할 수 있다. 웹 사이트에 대한 보안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SSL 프로토콜도 비대칭 암호화 기능을 사용한다. 공개키 암호 방식 시스템은 유권자들이 가정용 컴퓨터를 통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한 전자식 투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 되었다. 공개키 암호 방식은 또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기술에서도 사용한다. 새로운 [[암호화폐 지갑]]이 설정될 때, 한 쌍의 키(공개 키, 개인 키)가 생성된다. 공개 주소는 공용 키를 통해 생성되며 다른 사람들과 안전하게 공유된다. 반면, 개인키는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고 트랜잭션을 검증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보장되어야 한다. 디지털 서명에 포함된 서명을 확인하여 트랜잭션이 검증된 다음에는, 블록체인 원장에 트랜잭션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런 디지털 서명 확인 시스템은 해당 암호화폐 지갑과 상응하는 개인키를 가진 사람만이 자금을 사용할 수 있다. 암호화폐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비대칭 암호들은 컴퓨터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암호화 다르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트랜잭션을 검증하기 위해 ECDSA(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라 알려진 특별한 암호를 사용한다. 컴퓨터 보안부터 암호화폐 트랜잭션을 검증하기까지 공용키 암호 방식은 현재 디지털 시스템 보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연동된 공개 키와 개인키를 통해, 비대칭 암호 방식 알고리즘은 대칭 암호에서 발생하는 근본적인 보안 문제를 해결한다. 공개키 암호 방식이 수년간 사용되어 오긴 했지만, 특별히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공간에서 새로운 용도와 응용 프로그램들이 정기적으로 개발되고있다. <ref name = "binance"></ref>
+
공개키 암호 방식은 다수의 최신 컴퓨터 시스템에서 민감한 정보에 대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공개키 암호 방식  기술을 통해 이메일 내용을 기밀로 유지할 수 있다. 웹 사이트에 대한 보안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SSL 프로토콜도 비대칭 암호화 기능을 사용한다. 공개키 암호 방식 시스템은 유권자들이 가정용 컴퓨터를 통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한 전자식 투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 되었다. 공개키 암호 방식은 또한 블록체인 및 암호 화폐 기술에서도 사용한다. 새로운 암호 화폐 지갑이 설정될 때, 한 쌍의 키(공개 키, 개인 키)가 생성된다. 공개 주소는 공용 키를 통해 생성되며 다른 사람들과 안전하게 공유된다. 반면, 개인키는 디지털 서명을 생성하고 트랜잭션을 검증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보장되어야 한다. 디지털 서명에 포함된 서명을 확인하여 트랜잭션이 검증된 다음에는, 블록체인 원장에 트랜잭션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런 디지털 서명 확인 시스템은 해당 암호화폐 지갑과 상응하는 개인키를 가진 사람만이 자금을 사용할 수 있다. 암호화폐 응용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비대칭 암호들은 컴퓨터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암호화 다르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트랜잭션을 검증하기 위해 ECDSA(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라 알려진 특별한 암호를 사용한다. 컴퓨터 보안부터 암호 화폐 트랜잭션을 검증하기까지 공용키 암호 방식은 현재 디지털 시스템 보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연동된 공개 키와 개인키를 통해, 비대칭 암호 방식 알고리즘은 대칭 암호에서 발생하는 근본적인 보안 문제를 해결한다. 공개키 암호 방식이 수년간 사용되어 오긴 했지만, 특별히 블록체인과 암호 화폐 공간에서 새로운 용도와 응용 프로그램들이 정기적으로 개발되고있다. <ref name = "binance"></ref>
  
 
== 한계점 ==
 
== 한계점 ==
67번째 줄: 67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불곰, 〈[https://brownbears.tistory.com/332 암호(대칭키 암호, 공개키 암호)]〉, 《티스토리》, 2017-03-14
+
* 불곰, 〈[https://brownbears.tistory.com/332 암호(대팅키 암호, 공개키 암호)]〉, 《티스토리》, 2017-03-14
 
* 〈[https://lesstif.gitbooks.io/web-service-hardening/content/public-key-encryption.html 공개키 암호화]〉, 《깃북스》
 
* 〈[https://lesstif.gitbooks.io/web-service-hardening/content/public-key-encryption.html 공개키 암호화]〉, 《깃북스》
 
* 〈[https://www.binance.vision/ko/security/what-is-public-key-cryptography 공개 키 암호 방식이란 무엇인가요?]〉, 《BINANCE ACADEMY》, 2019-010-31
 
* 〈[https://www.binance.vision/ko/security/what-is-public-key-cryptography 공개 키 암호 방식이란 무엇인가요?]〉, 《BINANCE ACADEMY》, 2019-010-31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