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1번째 줄: 21번째 줄:
 
===블록체인===
 
===블록체인===
 
; 블록체인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 선도사업 본격 추진
 
; 블록체인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 선도사업 본격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의 초기시장 창출을 위해 2019년 처음으로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기술은 [[네트워크]] 참여자가 공동으로 거래내역 등의 정보를 기록·검증·보관하는 기술로,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는 제3자가 임의로 내용을 변경할 수 없어 [[데이터]]의 안전성과 거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의 초기시장 창출을 위해 2019년 처음으로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기술은 네트워크 참여자가 공동으로 거래내역 등의 정보를 기록·검증·보관하는 기술로,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는 제3자가 임의로 내용을 변경할 수 없어 데이터의 안전성과 거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과기정통부의 블록체인 발전전략(2018)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민간주도 국민프로젝트는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이용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과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2018년 12월 6일부터 2019년 1월 31일까지 자유공모를 실시했으며, 제조, 통신, 금융 등 분야별 대표기업과 블록체인 관련 벤처 및 [[스타트업]] 등으로 구성된 24개 컨소시엄(80개 기업)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실현가능성, 블록체인 적용에 따른 개선 정도 등을 면밀히 평가하여 이 중 3개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기술 협상을 거쳐 3월 중순 협약 체결을 거쳐 총 87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가 시작될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의 블록체인 발전전략(2018)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민간주도 국민프로젝트는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이용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과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2018년 12월 6일부터 2019년 1월 31일까지 자유공모를 실시했으며, 제조, 통신, 금융 등 분야별 대표기업과 블록체인 관련 벤처 및 스타트업 등으로 구성된 24개 컨소시엄(80개 기업)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실현가능성, 블록체인 적용에 따른 개선 정도 등을 면밀히 평가하여 이 중 3개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기술 협상을 거쳐 3월 중순 협약 체결을 거쳐 총 87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가 시작될 예정이다.
  
 
:{| class="wikitable" width=1000 style="color:balck; 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8F9FA;"
 
:{| class="wikitable" width=1000 style="color:balck; 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8F9FA;"
38번째 줄: 38번째 줄:
  
 
;* ㈜이포넷
 
;* ㈜이포넷
: [[이포넷은]] 탈중앙화 기부 플랫폼이다. 우리나라는 기부 단체의 자금운용 및 기부내역의 투명성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 기부문화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포넷은 저장된 데이터의 위변조가 어려운 속성을 가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기부금 모금, 집행, 결과 등의 데이터를 분산 및 저장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는 기부 플랫폼을 구현한다. 2019년 말부터 어린이재단이 동 기부 플랫폼을 활용하여 기부 캠페인을 시범 실시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기부사업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누구나 다양한 기부캠페인에 참여하고 많은 사람들이 혜택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이포넷은 탈중앙화 기부 플랫폼이다. 우리나라는 기부 단체의 자금운용 및 기부내역의 투명성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 기부문화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포넷은 저장된 데이터의 위변조가 어려운 속성을 가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기부금 모금, 집행, 결과 등의 데이터를 분산 및 저장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는 기부 플랫폼을 구현한다. 2019년 말부터 어린이재단이 동 기부 플랫폼을 활용하여 기부 캠페인을 시범 실시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기부사업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누구나 다양한 기부캠페인에 참여하고 많은 사람들이 혜택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현대오토에버
 
;* 현대오토에버
44번째 줄: 44번째 줄:
  
 
;* SK텔레콤
 
;* SK텔레콤
: SK텔레콤은 블록체인 아이디 및 인증 네트워크 기반의 금융, 통신, 고육 분야의 서비스 개발 및 응용확산에 힘쓰고 있다. 최근 [[인터넷]] 기업의 중앙화된 [[아이디]](ID) 관리체계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및 남용 사례가 발생하고 공인인증 폐지로 인해 새로운 인증 수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SK텔레콤의 서비스를 통해 아이디 및 인증 플랫폼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면 중개자를 거치지 않고, 개인정보를 노출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아이디 및 인증 플랫폼은 다양한 분야의 인증 네트워크와 연동되어 자격증 검증, 증명서 발급 등 제증명 발급 서비스 등에 이용된다. 2019년에는 아이디 및 인증 기반 금융(스타트업 투자), 통신(모바일 신분증), 교육(대학/협단체 제증명)분야 서비스를 개시하고 3개 대학 제증명 발행을 파일럿으로 실행할 계획이다.<ref>네트워크진흥팀, 〈[https://www.msit.go.kr/SYNAP/skin/doc.html?fn=1f491052422b3bd162b90d91dfa2ad9d&rs=/SYNAP/sn3hcv/result/201910/ 민간의 혁신 아이디어, 블록체인 기술로 실현한다. - 과기정통부, 2019년 블록체인 민간주도 국민프로젝트 본격 추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02-28</ref>
+
: SK텔레콤은 블록체인 아이디 및 인증 네트워크 기반의 금융, 통신, 고육 분야의 서비스 개발 및 응용확산에 힘쓰고 있다. 최근 인터넷 기업의 중앙화된 아이디 관리체계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및 남용 사례가 발생하고 공인인증 폐지로 인해 새로운 인증 수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SK텔레콤의 서비스를 통해 아이디 및 인증 플랫폼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면 중개자를 거치지 않고, 개인정보를 노출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아이디 및 인증 플랫폼은 다양한 분야의 인증 네트워크와 연동되어 자격증 검증, 증명서 발급 등 제증명 발급 서비스 등에 이용된다. 2019년에는 아이디 및 인증 기반 금융(스타트업 투자), 통신(모바일 신분증), 교육(대학/협단체 제증명)분야 서비스를 개시하고 3개 대학 제증명 발행을 파일럿으로 실행할 계획이다.<ref>네트워크진흥팀, 〈[https://www.msit.go.kr/SYNAP/skin/doc.html?fn=1f491052422b3bd162b90d91dfa2ad9d&rs=/SYNAP/sn3hcv/result/201910/ 민간의 혁신 아이디어, 블록체인 기술로 실현한다. - 과기정통부, 2019년 블록체인 민간주도 국민프로젝트 본격 추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02-28</ref>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