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성모멘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어떤 계에 힘을 주면, 그 계는 어떤 식으로 반응을 한다. 만약 이 계가 선형적이라면, '''F=''ma''''' 로 나타낼 수 있다.
 
어떤 계에 힘을 주면, 그 계는 어떤 식으로 반응을 한다. 만약 이 계가 선형적이라면, '''F=''ma''''' 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힘 '''F'''가 주어지면, 계는 가속도 '''a'''로 반응을 한다는 것인데, 여기서 해석을 달리하면 질량 '''''m'''''은 물체가 힘에 '저항'하는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저항 개념을 회전계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데, 문제는 회전계에서는 단순질량만으론 저항을 나타낼 수 없다는 것이다. 가령, 어떤 막대를 두고 돌릴 때, 막대의 중심에서 돌리는 것과 막대의 가장자리에서 돌리는 것에는 차이가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
이는 힘 '''F'''가 주어지면, 계는 가속도 '''a'''로 반응을 한다는 것인데, 여기서 해석을 달리하면 질량 ''''''m'''''은 물체가 힘에 '저항'하는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저항 개념을 회전계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데, 문제는 회전계에서는 단순질량만으론 저항을 나타낼 수 없다는 것이다. 가령, 어떤 막대를 두고 돌릴 때, 막대의 중심에서 돌리는 것과 막대의 가장자리에서 돌리는 것에는 차이가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회전계에서는 힘에 저항하는 요소가 단순히 질량뿐만 아니라 돌리는 지점의 위치, 나아가서는 '질량중심과 회전축간의 거리'도 포함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회전계에서 외부 힘에 저항하는 요소들'을 묶어서 나타낸 것이 바로 이 관성모멘트이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회전계에서는 힘에 저항하는 요소가 단순히 질량뿐만 아니라 돌리는 지점의 위치, 나아가서는 '질량중심과 회전축간의 거리'도 포함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회전계에서 외부 힘에 저항하는 요소들'을 묶어서 나타낸 것이 바로 이 관성모멘트이다.
20번째 줄: 20번째 줄:
 
관성 모멘트는 회전 운동 에너지를 논의하면서 처음 보게 된다.
 
관성 모멘트는 회전 운동 에너지를 논의하면서 처음 보게 된다.
  
'''''n''''' 개의 질점이 있는 질점계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속도 '''''ω''''' 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를 고려해보자. 이때, 물체의 회전 운동 에너지 '''''Tr''''' 는 각 질점의 운동 에너지의 합과 같다. 이때, '''''i''''' 번째 질점의 선속도를 '''''Vi''''' 라 놓으면,
+
'''''n''''' 개의 질점이 있는 질점계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속도 '''''ω'''''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를 고려해보자. 이때, 물체의 회전 운동 에너지 '''''Tr'''''는 각 질점의 운동 에너지의 합과 같다. 이때, '''''i'''''번째 질점의 선속도를 '''''Vi''''' 라 놓으면,
 
[[파일:회전운동 에너지.png|썸네일|200픽셀|가운데|]]
 
[[파일:회전운동 에너지.png|썸네일|200픽셀|가운데|]]
  
그런데 '''''Vi ∙ Vi = vi²= (ri⍵)²''''' 이므로
+
그런데 '''''Vi ∙ Vi = vi²= (ri⍵)²'''''이므로
 
[[파일:Tr.png|썸네일|200픽셀|가운데|]]
 
[[파일:Tr.png|썸네일|200픽셀|가운데|]]
  
34번째 줄: 34번째 줄:
 
=== 종합 ===
 
=== 종합 ===
 
[[파일:연속체 관성 모멘트 설명도.png|썸네일|300픽셀|관성모멘트]]
 
[[파일:연속체 관성 모멘트 설명도.png|썸네일|300픽셀|관성모멘트]]
회전축으로 부터 떨어진 거리가 '''''r''''' 인 점질량 '''''m''''' 이 있을 때, 이 계의 관성 모멘트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
회전축으로 부터 떨어진 거리가 '''''r'''''인 점질량 '''''m'''''이 있을 때, 이 계의 관성 모멘트는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I = mr²'''''
 
'''''I = mr²'''''
  
이때, 같은 축으로부터 '''''n''''' 개의 입자가 있을 때, 계의 관성 모멘트는 각 입자의 관성 모멘트를 모두 합해준 값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이때, 같은 축으로부터 '''''n'''''개의 입자가 있을 때, 계의 관성 모멘트는 각 입자의 관성 모멘트를 모두 합해준 값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파일:계의 관성 모멘트.png|썸네일|200픽셀|가운데|]]
 
[[파일:계의 관성 모멘트.png|썸네일|200픽셀|가운데|]]
  
다만, [[연속체]](강체)에서는 질량이 연속적으로 분포함에 따라 위 식을 적분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미소 관성 모멘트는 미소 질량에 회전축으로 부터 떨어진 거리를 곱한 값이 되므로 '''''dI=r²dm''''' 이 된다. 이때, '''r''' 에서의 밀도 '''ρ(r)''' 를 도입하면, 미소 질량 '''''dm=ρ(r)dV'''''로 밀도와 미소 부피의 곱으로 쓸 수 있다. 따라서 '''''dI=ρ(r)r²dV''''' 로 쓸 수 있으므로 연속체에서 관성 모멘트는
+
다만, [[연속체]](강체)에서는 질량이 연속적으로 분포함에 따라 위 식을 적분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미소 관성 모멘트는 미소 질량에 회전축으로 부터 떨어진 거리를 곱한 값이 되므로 '''''dI=r²dm''''' 이 된다. 이때, '''r'''에서의 밀도 '''ρ(r)'''를 도입하면, 미소 질량 '''''dm=ρ(r)dV'''''로 밀도와 미소 부피의 곱으로 쓸 수 있다. 따라서 '''''dI=ρ(r)r²dV'''''로 쓸 수 있으므로 연속체에서 관성 모멘트는
 
[[파일:연속체 관성 모멘트.png|썸네일|200픽셀|가운데|]]
 
[[파일:연속체 관성 모멘트.png|썸네일|200픽셀|가운데|]]
  
 
로 쓸 수 있다. 오른쪽 그림을 참고하면 좋다.
 
로 쓸 수 있다. 오른쪽 그림을 참고하면 좋다.
  
그러나 매우 얇은 판 등 표면 밀도 '''''σ(r)''''' 나 얇은 줄 등 선밀도 '''''λ(r)''''' 를 이용하여도 관성 모멘트를 구할 수 있는데 이들을 각각 단면 2차 모멘트, 단면 1차 모멘트라 하고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그러나 매우 얇은 판 등 표면 밀도 '''''σ(r)'''''나 얇은 줄 등 선밀도 '''''λ(r)'''''를 이용하여도 관성 모멘트를 구할 수 있는데 이들을 각각 단면 2차 모멘트, 단면 1차 모멘트라 하고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파일:단면2차, 1차모멘트.png|썸네일|200픽셀|가운데|]]
 
[[파일:단면2차, 1차모멘트.png|썸네일|200픽셀|가운데|]]
  
이때, '''''da, dl''''' 은 각각 미소 면적, 미소 길이이다.
+
이때, '''''da, dl'''''은 각각 미소 면적, 미소 길이이다.
  
 
단위는 차원 분석 시 [Mass][Length]²가 나오므로 kg⋅m²가 된다.
 
단위는 차원 분석 시 [Mass][Length]²가 나오므로 kg⋅m²가 된다.
56번째 줄: 56번째 줄:
 
매번 적분을 계산하기 힘들기 때문에, 물체의 강체의 모양 따른 관성 모멘트를 나타낸 목록이 존재한다. 이 문서에서는 자주 나오는 여섯 종류의 강체만 소개한다.
 
매번 적분을 계산하기 힘들기 때문에, 물체의 강체의 모양 따른 관성 모멘트를 나타낸 목록이 존재한다. 이 문서에서는 자주 나오는 여섯 종류의 강체만 소개한다.
  
아래의 모든 강체의 질량은 '''''M''''' 이며, 밀도는 균일하다.
+
아래의 모든 강체의 질량은 '''''M'''''이며, 밀도는 균일하다.
 
[[파일:회전축이 중심에 있는 길이 L인 얇은 막대.png|썸네일|500픽셀|가운데|]]
 
[[파일:회전축이 중심에 있는 길이 L인 얇은 막대.png|썸네일|500픽셀|가운데|]]
 
[[파일:회전축이 막대 끝에 있는 길이 L인 얇은 막대.png|썸네일|500픽셀|가운데|]]
 
[[파일:회전축이 막대 끝에 있는 길이 L인 얇은 막대.png|썸네일|500픽셀|가운데|]]
71번째 줄: 71번째 줄:
 
평행축 정리(parallel-axis theorem)는 한 물체의 서로 평행한 두 회전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의 관계이다.
 
평행축 정리(parallel-axis theorem)는 한 물체의 서로 평행한 두 회전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의 관계이다.
  
질량이 '''''M''''' 인 질점계의 질량중심을 '''CM'''이라 하고, 그 점에서 수직으로 지나가는 회전축 '''I''' 에서 측정된 계의 관성 모멘트를 '''Icm''' 이라 하자. 또, 계에서 ''i'' 번째 질점을 ''mi'' 라 놓고, 회전축 '''I'''를 기준으로 i번째 질점까지의 위치 벡터를 '''r′i''' 라 하면,
+
질량이 '''''M'''''인 질점계의 질량중심을 '''CM'''이라 하고, 그 점에서 수직으로 지나가는 회전축 '''I'''에서 측정된 계의 관성 모멘트를 '''Icm''' 이라 하자. 또, 계에서 ''i''번째 질점을 ''mi'' 라 놓고, 회전축 '''I'''를 기준으로 i번째 질점까지의 위치 벡터를 '''r′i''' 라 하면,
 
[[파일:회전축I에서 측정된 계의 관성모멘트.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
 
[[파일:회전축I에서 측정된 계의 관성모멘트.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
  
이때, 축을 '''CM'''으로부터 '''a'''만큼 평행이동한 회전축 '''II''' 에서 측정된 관성 모멘트를 '''''I''p''' 라 하자. 이때, 축으로부터 질점까지의 거리 벡터는''' R′i = r′i −a ''' 가 된다. 따라서
+
이때, 축을 '''CM'''으로부터 '''a'''만큼 평행이동한 회전축 '''II'''에서 측정된 관성 모멘트를 '''''I''p''' 라 하자. 이때, 축으로부터 질점까지의 거리 벡터는''' R′i = r′i −a '''가 된다. 따라서
 
[[파일:회전축 II에서 측정된 관성 모멘트를 Ip.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
 
[[파일:회전축 II에서 측정된 관성 모멘트를 Ip.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
  
80번째 줄: 80번째 줄:
 
[[파일:Ip 모든 항 전개.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
 
[[파일:Ip 모든 항 전개.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
  
'''a''' 는 constant vector이므로 시그마를 벗고 나올 수 있고, 제 33항은 질량중심을 나타내는 벡터와 관련된 것인데, '''r ′i''' 이 질량중심으로부터 측정된 벡터이기 때문에 제3항은 00이 된다. 따라서
+
'''a'''는 constant vector이므로 시그마를 벗고 나올 수 있고, 제 33항은 질량중심을 나타내는 벡터와 관련된 것인데, '''r ′i''' 이 질량중심으로부터 측정된 벡터이기 때문에 제 33항은 00이 된다. 따라서
 
[[파일:제3항 0일때 Ip.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
 
[[파일:제3항 0일때 Ip.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
  
89번째 줄: 89번째 줄:
  
 
=== 수직축 정리 ===
 
=== 수직축 정리 ===
[[파일:수직축 정리.png|썸네일|300픽셀|]]
+
수직축 정리는 서로 수직한 세 회전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의 관계이다. '''''xy'''''평면 위에 놓인 판 모양의 물체에 대해, 서로 수직한 세개의 축을 각각 '''''x, y, z'''''축이라 하고, 각각의 축에서 측정된 관성 모멘트를 각각 '''''Iₓ, Iy, Iz''''' 라 하자. 이때, 각 축에 대한 '''''i'''''번째 질점까지의 거리를 '''''rix, riy, riz''''' 라 놓으면, n개의 질점계에 대해
수직축 정리는 서로 수직한 세 회전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의 관계이다. '''''xy''''' 평면 위에 놓인 판 모양의 물체에 대해, 서로 수직한 세개의 축을 각각 '''''x, y, z''''' 축이라 하고, 각각의 축에서 측정된 관성 모멘트를 각각 '''''Iₓ, Iy, Iz''''' 라 하자. 이때, 각 축에 대한 '''''i''''' 번째 질점까지의 거리를 '''''rix, riy, riz''''' 라 놓으면, n개의 질점계에 대해
 
 
[[파일:Iz.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설명]] 
 
[[파일:Iz.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설명]] 
  
103번째 줄: 102번째 줄:
  
 
== 관성 텐서 ==
 
== 관성 텐서 ==
어떤 물체에 대한 스칼라 관성 모멘트는 회전축에 관계되는 값이다. 때문에 같은 물체일지라 하더라도 회전축이 달라지면 관성 모멘트의 값이 바뀌게 된다. 게다가 회전축이 계속 변하면 이를 기술하기 더욱 어렵게 된다. 일반적으로, 모든 경우에 대해 전부 관성 모멘트의 값이 같으려면, 모든 축에 대해 물체가 대칭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관성 모멘트 텐서 (또는 관성 텐서)를 사용하면 이를 하나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관성 텐서는 아무 기준점에 대해서나 계산할 수 있지만, 주로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해서 계산된 것이 주로 쓰인다.
 
 
=== 정의 ===
 
관성 텐서 '''I''' 는 계수가 2인 대칭 텐서, 즉, 2차 대칭 텐서로 점질량 '''''mk''''' 들로 구성된 강체의 경우 관성 텐서의 직교좌표계에서의 성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파일:관성 텐서 정의.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
 
여기서
 
 
'''''i, j : x, y, ''''' 또는 z좌표를 나타내는 지표, 순서대로 1, 2, 3에 대응된다.
 
 
'''''rk''''' : 어떤 기준점으로부터 k번째 점질량까지의 방향 벡터.
 
 
'''''δij''''' : 크로네커 델타
 
 
이다. 대각항은 아래와 같이 간단히 쓸 수도 있다.
 
 
[[파일:대항각.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
 
 
'''관성의 곱'''(products of inertia)이라 불리기도 하는 비대각항들은 아래와 같이 쓰기도 한다.
 
[[파일:비대항각.png|썸네일|300픽셀|가운데|]]
 
 
여기서 '''''Ixx''''' 는 x축을 기준으로 하며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관성 모멘트, '''''Ixy''''' 는 y축을 기준으로 하며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관성 모멘트 등등을 말한다.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