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국세청 로고.png|썸네일|200픽셀|'''국세청'''(國稅廳) 로고]]
+
'''국세청'''(國稅廳, National Tax Service)은 내국세를 부과, 징수하는 대한미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파일:국세청 글자.png|썸네일|300픽셀|'''국세청'''(國稅廳) 로고와 글자]]
 
 
 
'''국세청'''(國稅廳, National Tax Service)은 내국세를 부과, 징수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개요==
 
==개요==
 
* 설립일: 1966년 2월 28일
 
* 설립일: 1966년 2월 28일
* 소재지: [[세종특별자치시]] 국세청로 8-14
+
* 소재지: 세종특별자치시 국세청로 8-14
* 청장: 김현준 <ref>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D%98%84%EC%A4%80_(1968%EB%85%84) 김현준(1968)]〉, 《위키백과》 </ref>
+
* 청장: 김현준  
* 웹사이트 - http://www.mpm.go.kr/mpm/
+
* 상급기관: 기획재정부
* 상급기관: [[기획재정부]]
 
 
* 산하기관: 소속기관 10개
 
* 산하기관: 소속기관 10개
* 웹사이트 - https://www.nts.go.kr/  
+
* 웹사이트: <[https://www.nts.go.kr/ 대한민국 국세청]>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상속세 등 내국세의 부과·감면·징수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장관 소속 하에 설치되었다. 국가 재원의 조달이라는 역할을 수행하는 국세청은 세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세금을 부과, 징수하게 되는데 이는 국가재정의 90% 이상을 충당하는 가장 근원적인 재원이 된다. 내국세 이외에, 관세는 관세청이, 지방세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징수와 관련 된 일을 한다.
 
  
 +
소득세,법인세,부가가치세,상속세 등 내국세의 부과·감면·징수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기획재정부장관 소속 하에 설치되었다. 국가 재원의 조달이라는 역할을 수행하는 국세청은 세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세금을 부과, 징수하게 되는데 이는 국가재정의 90% 이상을 충당하는 가장 근원적인 재원이 된다. 내국세 이외에, 관세는 관세청이 지방세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징수와 관련 된 일을 한다.
 
==업무==
 
==업무==
* 납세자가 세법의 규정에 따라 자신의 납세의무를 제대로 이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도와주는 서비스 기능으로, 이를 위하여 국세청은 법령해석, 세금신고안내, 세금해설책자 제작·배부, 세무상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 납세자가 세법의 규정에 따라 자신의 납세의무를 제대로 이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도와주는 서비스 기능으로,이를 위하여 국세청은 법령해석, 세금신고안내, 세금해설책자 제작·배부, 세무상담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 둘째는 모든 납세자가 세법이 정하는 바에 따른 납세의무를 제대로 이행토록 하기 위하여 세금신고·납부자료의 관리·분석, 불성실납세자 선정·조사, 체납자에 대한 세금 강제징수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 둘째는 모든 납세자가 세법이 정하는 바에 따른 납세의무를 제대로 이행토록 하기 위하여 세금신고·납부자료의 관리·분석, 불성실납세자 선정·조사,체납자에 대한 세금 강제징수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연혁==
 
==연혁==
* 1948년 07월 17일 재무부의 하부조직으로 사세국을 설치
+
* 1948년 07월 17일 재무부의 하부조직으로 사세국을 설치.
* 1966년 03월 3일 재무부외청으로 국세청으로 발족
+
* 1966년 03월 3일 재무부외청으로 국세청으로 발족.
* 1976년 12월 22일 간접국세 8개세목(영업세, 통행세, 물품세, 직물류세, 석유류세, 전기가스세, 입장세, 유흥음식세)을 페지하고 부가가치세와 특별소비세 신설(1977.1.1 시행)
+
* 1976년 12월 22일 간접국세 8개세목(영업세, 통행세, 물품세, 직물류세, 석유류세, 전기가스세, 입장세, 유흥음식세)을 페지하고 부가가치세와 특별소비세 신설(1977.1.1 시행).
* 1999년 09월 01일 국세청 청사를 이전
+
* 1999년 09월 01일: 국세청 청사를 이전.
* 2014년 12월 22일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으로 이전
+
* 2014년 12월 22일: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으로 이전
 
+
==조직==
==조직도==
+
* 청장
[[파일:국세청 조직도.png|썸네일|700픽셀|가운데|국세청 조직도]] 
+
:* 대변인실
 
+
*차장
==소속기관==
+
:* 대변인
 +
:* 운영지원과
 +
::* 기획조정관
 +
::* 전산정보관리관
 +
::* 납세자보호관
 +
::* 국제조세관리관
 +
::* 징세법무국
 +
::* 개인납세국
 +
::* 법인납세국
 +
::* 자산과세국
 +
::* 조사국
 +
::* 소득지원국
 +
===소속기관===
 
* 국세공무원교육원
 
* 국세공무원교육원
 
* 국세청주류먼허지원센터
 
* 국세청주류먼허지원센터
42번째 줄: 47번째 줄:
 
:* 부산지방국세청
 
:* 부산지방국세청
 
* 국제상담센터
 
* 국제상담센터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https://www.nts.go.kr/about/about_01_01.asp 국세청 소개]〉, 《국세청》
+
* <[https://www.nts.go.kr/about/about_01_01.asp 국세청 소개]> <<국세청>>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A%B5%AD%EC%84%B8%EC%B2%AD 대한민국 국세청]〉, 《위키백과》
+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A%B5%AD%EC%84%B8%EC%B2%AD 대한민국 국세청]> <<위키백과>>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 [[관세]]
 
* [[증여세]]
 
* [[증여세]]
 
* [[상속세]]
 
* [[상속세]]
 
* [[부가가치세]]
 
* [[부가가치세]]
* [[기획재정부]]
 
 
 
{{공공기관|검토 필요}}
 
{{공공기관|검토 필요}}
{{세금}}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