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용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72번째 줄: 172번째 줄:
  
 
== 현황 ==
 
== 현황 ==
[[파일:신형군용차.png|썸네일|300픽셀|'''신형 군용차''']]
+
[[파일:신형군용차.jpg|썸네일|300픽셀|'''신형 군용차''']]
 
[[기아자동차㈜]]는 2020년 10월 20일 화요일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차세대 군용 표준 플랫폼이 적용되는 2.5톤 및 5톤 중형 표준차량에 대한 상세설계검토(CDR, Critical Design Review) 회의를 개최했다. 이 중형 표준차량 개발 사업은 군과 기아자동차가 5년간 공동 투자하여 현재 운용 중인 2.5톤과 5톤 군용 표준차량을 대체하고 5톤 방탄킷 차량을 신규 개발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기아자동차는 육군과 본 사업에 대한 계약을 체결한 뒤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다. 중형 표준차량은 7리터급 디젤 엔진 및 자동변속기, ABS 및 ASR(Anti Spin Regulator), 후방주차 보조, 어라운드 뷰, 내비게이션, 열선 시트를 비롯한 각종 안전/편의 장치 등 최신 상용 기술이 대거 탑재된다. 기아자동차는 신규 차량을 모듈화해 각종 무기 체계 탑재 등 후속 파생차 개발에 대비하고 군용 특수 사양과 기술도 적용한다. 기아자동차의 SUV 개발 및 제작 기술은 군용차의 품질 및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 있다. 대형 SUV [[모하비]]의 베어샤시를 활용해 차량 위쪽이 개방된 오픈 탑 구조의 경량 고기동 차량(ATV)을 개발하고 있다. 새 경량 고기동 차량 콘셉트 수립을 완료한 기아자동차는 2021년 초 [[콘셉트카]]도 선보였다.<ref name="문화뉴스"></ref> 이번에 선보인 콘셉트카 2종은 기아자동차㈜가 운영중인 소형전술차량을 기반으로 7톤급 차량 수준의 프레임 강성을 확보하고 225 마력의 엔진, 8단 자동변속기 등을 장착해 동급 최고 수준의 성능을 갖췄다.<ref> 박용환 기자, 〈[https://www.ebn.co.kr/news/view/1472892 기아, 소형전술차량 콘셉트카 2종 세계 최초 공개]〉, 《이비뉴스》, 2021-02-22 </ref> 개발이 완료된 경량 고기동 차량은 군용으로 쓰이는 것은 물론이고 산업용, 레저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러한 군용차 개발 및 생산 기술과 노하우를 자사 SUV의 내구성 향상에 적용하는 등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기아자동차는 최신 자동차 기술을 군용차에 접목하는 선행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기아자동차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및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해 공군 비행장 등 군 기지 내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량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 중이다. 자율주행 기술은 다양한 물자를 보급하는 무인 수송 차량 개발로 이어질 전망이다. 또한, 기아자동차는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활용한 군용차량 개발 및 비상 발전기 보급을 검토 중이다. 수소연료전지는 대용량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미래 군용차에 적합한 기술로 꼽히고 있다. 기아자동차는 먼저 군수 차량용 발전기를 개발 공급하고, 첨단 무기 체계가 탑재된 미래형 군용차에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ref name="문화뉴스"> 권성준 기자, 〈[https://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0058 '구형 두돈반' 이젠 안녕, 기아자동차에서 발표한 신형 군용차는?]〉, 《문화뉴스》, 2020-10-28 </ref>
 
[[기아자동차㈜]]는 2020년 10월 20일 화요일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차세대 군용 표준 플랫폼이 적용되는 2.5톤 및 5톤 중형 표준차량에 대한 상세설계검토(CDR, Critical Design Review) 회의를 개최했다. 이 중형 표준차량 개발 사업은 군과 기아자동차가 5년간 공동 투자하여 현재 운용 중인 2.5톤과 5톤 군용 표준차량을 대체하고 5톤 방탄킷 차량을 신규 개발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기아자동차는 육군과 본 사업에 대한 계약을 체결한 뒤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다. 중형 표준차량은 7리터급 디젤 엔진 및 자동변속기, ABS 및 ASR(Anti Spin Regulator), 후방주차 보조, 어라운드 뷰, 내비게이션, 열선 시트를 비롯한 각종 안전/편의 장치 등 최신 상용 기술이 대거 탑재된다. 기아자동차는 신규 차량을 모듈화해 각종 무기 체계 탑재 등 후속 파생차 개발에 대비하고 군용 특수 사양과 기술도 적용한다. 기아자동차의 SUV 개발 및 제작 기술은 군용차의 품질 및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 있다. 대형 SUV [[모하비]]의 베어샤시를 활용해 차량 위쪽이 개방된 오픈 탑 구조의 경량 고기동 차량(ATV)을 개발하고 있다. 새 경량 고기동 차량 콘셉트 수립을 완료한 기아자동차는 2021년 초 [[콘셉트카]]도 선보였다.<ref name="문화뉴스"></ref> 이번에 선보인 콘셉트카 2종은 기아자동차㈜가 운영중인 소형전술차량을 기반으로 7톤급 차량 수준의 프레임 강성을 확보하고 225 마력의 엔진, 8단 자동변속기 등을 장착해 동급 최고 수준의 성능을 갖췄다.<ref> 박용환 기자, 〈[https://www.ebn.co.kr/news/view/1472892 기아, 소형전술차량 콘셉트카 2종 세계 최초 공개]〉, 《이비뉴스》, 2021-02-22 </ref> 개발이 완료된 경량 고기동 차량은 군용으로 쓰이는 것은 물론이고 산업용, 레저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러한 군용차 개발 및 생산 기술과 노하우를 자사 SUV의 내구성 향상에 적용하는 등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기아자동차는 최신 자동차 기술을 군용차에 접목하는 선행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 기아자동차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및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해 공군 비행장 등 군 기지 내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량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 중이다. 자율주행 기술은 다양한 물자를 보급하는 무인 수송 차량 개발로 이어질 전망이다. 또한, 기아자동차는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활용한 군용차량 개발 및 비상 발전기 보급을 검토 중이다. 수소연료전지는 대용량의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미래 군용차에 적합한 기술로 꼽히고 있다. 기아자동차는 먼저 군수 차량용 발전기를 개발 공급하고, 첨단 무기 체계가 탑재된 미래형 군용차에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ref name="문화뉴스"> 권성준 기자, 〈[https://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0058 '구형 두돈반' 이젠 안녕, 기아자동차에서 발표한 신형 군용차는?]〉, 《문화뉴스》, 2020-10-28 </ref>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