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작업증명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7번째 줄: 27번째 줄:
 
* 채굴장을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우측 그림과 같은 로직으로 구성한다면 채굴 풀을 나눠버릴 것이다. A라는 채굴풀을 A-1, A-2로 나눠 결과적으로 모든 것을 다 받아먹으려고 할 것이다. 우측의 Time Windows를 보면 노드당 한 번의 블록을 채굴하게 되면 3번 정도는 채굴을 할 수 없게 되는데 이럴 경우 채굴을 4개로 나눠 하면 큰 문제 없이 채굴을 할 수 있다. 결국 균형작업증명 방식에 큰 효용 없이 변칙으로 채굴을 할 수 있는 함정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 채굴장을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우측 그림과 같은 로직으로 구성한다면 채굴 풀을 나눠버릴 것이다. A라는 채굴풀을 A-1, A-2로 나눠 결과적으로 모든 것을 다 받아먹으려고 할 것이다. 우측의 Time Windows를 보면 노드당 한 번의 블록을 채굴하게 되면 3번 정도는 채굴을 할 수 없게 되는데 이럴 경우 채굴을 4개로 나눠 하면 큰 문제 없이 채굴을 할 수 있다. 결국 균형작업증명 방식에 큰 효용 없이 변칙으로 채굴을 할 수 있는 함정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 가장 큰 문제는 균형작업증명 방식으로 인해서 해시파워가 떨어지게 될 경우 채굴 세력도 어찌하지 못할 수준의 공격이다. 즉, 두 번째 문제점과 같이 채굴세력이 노드를 분할하여 해시파워를 유지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이럴 경우 균형작업증명 방식이라는 것이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것이고, 균형작업증명 방식으로 인해서 채굴 세력들이 단가가 나오지 않아 해시파워의 제공을 줄인다면, 그 틈을 공격하는 다른 [[해커]] 세력이 나타날 수 있다.
+
* 가장 큰 문제는 균형작업증명 방식으로 인해서 해시파워가 떨어지게 될 경우 채굴 세력도 어찌하지 못할 수준의 공격이다. 즉, 두 번째 문제점과 같이 채굴세력이 노드를 분할하여 해시파워를 유지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이럴 경우 균형작업증명 방식이라는 것이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것이고, 균형작업증명 방식으로 인해서 채굴 세력들이 단가가 나오지 않아 해시파워의 제공을 줄인다면, 그 틈을 공격하는 다른 [[해커]] 세력이 나타날 수 있다.<ref name="자비스"></ref>
 
 
이미 시가총액이 낮은 작업증명 방식 기반의 [[암호화폐]]들이 해킹을 당한 사례는 너무나도 많다. [[비트코인골드]](BTG)도 당했고, [[이더리움클래식]](ETC)도 [[51% 공격]]을 허무하게 당했을 정도이니, 균형작업증명 방식 기반의 암호화폐 역시 [[해킹]]에 매우 취약할 수 있다.<ref name="자비스"></ref>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