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작업증명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 에이치닥은 [[현대BS&C㈜]]<!--현대BS&C-->가 개발한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암호화폐]]이다.  에이치닥은 현대BS&C㈜의 [[정대선]] 회장이 블록체인 전문기업인 [[㈜더블체인]]<!--더블체인-->의 [[전삼구]] 대표와 협력하여 개발했다. 스위츠 [[추크]](Zug)에서 [[ICO]]를 진행하여 약 3,000억원에 이르는 투자자금을 확보했다. 이 금액은 2018년 기준으로 역대 [[ICO]] 투자 자금 규모 중 세계 5위에 해당한다.<ref>땜문, 〈[https://blog.naver.com/kitepc/221366815573 역대 최대 규모 ICO는 '40억 달러의 EOS']〉, 《네이버 블로그》, 2018-09-28</ref> 에이치닥 블록체인은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연결하기 위한 합의 알고리즘으로 균형작업증명 방식을 사용한다. 균형작업증명 방식은 평등한 기회와 에너지 절약에 기반한 작업증명 방식을 의미한다. 균형작업증명 합의 알고리즘은 작업증명에 참여하는 노드의 개채 수 감소를 방지하고, 다수의 [[채굴노드]]가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채굴 경쟁을 위한 과도한 컴퓨팅 파워 투입에 따른 에너지 낭비 방지와 채굴 기회의 공정한 기회 분배를 도모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 에이치닥은 [[현대BS&C㈜]]<!--현대BS&C-->가 개발한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암호화폐]]이다.  에이치닥은 현대BS&C㈜의 [[정대선]] 회장이 블록체인 전문기업인 [[㈜더블체인]]<!--더블체인-->의 [[전삼구]] 대표와 협력하여 개발했다. 스위츠 [[추크]](Zug)에서 [[ICO]]를 진행하여 약 3,000억원에 이르는 투자자금을 확보했다. 이 금액은 2018년 기준으로 역대 [[ICO]] 투자 자금 규모 중 세계 5위에 해당한다.<ref>땜문, 〈[https://blog.naver.com/kitepc/221366815573 역대 최대 규모 ICO는 '40억 달러의 EOS']〉, 《네이버 블로그》, 2018-09-28</ref> 에이치닥 블록체인은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체인에 연결하기 위한 합의 알고리즘으로 균형작업증명 방식을 사용한다. 균형작업증명 방식은 평등한 기회와 에너지 절약에 기반한 작업증명 방식을 의미한다. 균형작업증명 합의 알고리즘은 작업증명에 참여하는 노드의 개채 수 감소를 방지하고, 다수의 [[채굴노드]]가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채굴 경쟁을 위한 과도한 컴퓨팅 파워 투입에 따른 에너지 낭비 방지와 채굴 기회의 공정한 기회 분배를 도모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했다.
  
: 에이치닥 블록체인의 균형작업증명 방식은 [[블록 윈도우]](block window) 개념을 적용하여 채굴 독과점을 줄이도록 했다. 또한 채굴 성공 후 블록 윈도우 적용 기간 동안은 자발적으로 채굴 시도를 하지 않도록 하여 해시 계산에 소모되는 낭비적 에너지를 줄이도록 했다. 어떤 노드가 채굴에 성공할 경우 블록 윈도우 적용 기간 동안은 새로운 블록을 채굴할 수 없다. 설사 욕심 많은 노드가 이러한 메커니즘을 무시하고 새로운 블록 채굴에 성공해도 에이치닥 블록체인 전체 [[네트워크]]에서 유효한 블록으로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에 채굴에 에너지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다. [[블록해시]]는 [[채굴 난이도]]에 따라 [[데이터]]의 규격을 만족해야 하며 또한 주어진 블록 윈도우 내에 있지 않아야 한다. 이 블록 윈도우 사이즈는 시간 함수, <math>Ws = f(t)</math>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math>f(t)</math>는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함수이며, 따라서 윈도우 사이즈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는 곧 초기 참여자에게는 큰 기회가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채굴노드가 채굴을 독점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더 공평한 분배가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
: 에이치닥 블록체인의 균형작업증명 방식은 [[블록 윈도우]](block window) 개념을 적용하여 채굴 독과점을 줄이도록 했다. 또한 채굴 성공 후 블록 윈도우 적용 기간 동안은 자발적으로 채굴 시도를 하지 않도록 하여 해시 계산에 소모되는 낭비적 에너지를 줄이도록 했다. 어떤 노드가 채굴에 성공할 경우 블록 윈도우 적용 기간 동안은 새로운 블록을 채굴할 수 없다. 설사 욕심 많은 노드가 이러한 메커니즘을 무시하고 새로운 블록 채굴에 성공해도 에이치닥 블록체인 전체 [[네트워크]]에서 유효한 블록으로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에 채굴에 에너지를 사용할 필요성이 없다. [[블록해시]]는 [[난이도]]에 따라 [[데이터]]의 규격을 만족해야 하며 또한 주어진 블록 윈도우 내에 있지 않아야 한다. 이 블록 윈도우 사이즈는 시간 함수, <math>Ws = f(t)</math>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math>f(t)</math>는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함수이며, 따라서 윈도우 사이즈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는 곧 초기 참여자에게는 큰 기회가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 채굴노드가 채굴을 독점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더 공평한 분배가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 균형작업증명의 블록 윈도우는 작업증명 주기 안에 채굴을 달성한 채굴노드에 대해 연속된 채굴 시도에 제약을 부여하기 위해 적용된다. 블록 윈도우 사이즈 <math>(Ws)</math>는, <math>f(t) = [(N*0.7)X(</math>현재까지의 누적 블록 수<math>(t))]/(</math>10년간 누적 블록 수<math>(tm))</math>로 정의되며, 노드인자<math>(N)</math>는 최근 채굴 성공 노드 목록에서 산정된다. 여기서 최대 블록 윈도우 사이즈<math>(Wm)</math> 도달 시점이 10년인 것은 총 발행량의 80% 이상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정했기 때문이다. [[제네시스 블록]]이 시작된 시점부터 블록 윈도우는 서서히 증가하고, 최대 블록 윈도우 사이즈에 도달한 시점<math>(tm)</math> 이후에는 노드 인자에 의해 크기가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에이치닥은 균형작업증명에 대한 개발을 완료했으며 건전한 채굴 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기술적인 방법을 지원할 것이고, 채굴노드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별도의 ASM(Advanced Security Module)을 개발 중이며 이것을 보안강화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ref>에이치닥 백서 - https://hos-forward.s3-accelerate.amazonaws.com/hos/download/Hdac_WhitePaper(KOR)_v1.0.2.pdf</ref> {{자세히|에이치닥}}
 
: 균형작업증명의 블록 윈도우는 작업증명 주기 안에 채굴을 달성한 채굴노드에 대해 연속된 채굴 시도에 제약을 부여하기 위해 적용된다. 블록 윈도우 사이즈 <math>(Ws)</math>는, <math>f(t) = [(N*0.7)X(</math>현재까지의 누적 블록 수<math>(t))]/(</math>10년간 누적 블록 수<math>(tm))</math>로 정의되며, 노드인자<math>(N)</math>는 최근 채굴 성공 노드 목록에서 산정된다. 여기서 최대 블록 윈도우 사이즈<math>(Wm)</math> 도달 시점이 10년인 것은 총 발행량의 80% 이상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정했기 때문이다. [[제네시스 블록]]이 시작된 시점부터 블록 윈도우는 서서히 증가하고, 최대 블록 윈도우 사이즈에 도달한 시점<math>(tm)</math> 이후에는 노드 인자에 의해 크기가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 에이치닥은 균형작업증명에 대한 개발을 완료했으며 건전한 채굴 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기술적인 방법을 지원할 것이고, 채굴노드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별도의 ASM(Advanced Security Module)을 개발 중이며 이것을 보안강화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ref>에이치닥 백서 - https://hos-forward.s3-accelerate.amazonaws.com/hos/download/Hdac_WhitePaper(KOR)_v1.0.2.pdf</ref> {{자세히|에이치닥}}
25번째 줄: 25번째 줄:
 
:'보상이 작다'라는 말은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해당 [[코인]]을 채굴하는데 불필요한 전기세를 내고 있다'라는 말과 같으며, 결국 '전체 컴퓨팅 파워가 작아질 수 있다'라는 말이 된다. 채굴자가 충분한 컴퓨팅 파워를 제공했는데도 채굴되는 코인이 적거나 확률이 낮아진다면 당연히 컴퓨팅 파워를 낮추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전체 컴퓨팅 파워의 30%를 가지고 있는 곳에서 1/4마다 코인을 보상받게 된다면 당연히 손해를 보는 느낌이 들 것이다.
 
:'보상이 작다'라는 말은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해당 [[코인]]을 채굴하는데 불필요한 전기세를 내고 있다'라는 말과 같으며, 결국 '전체 컴퓨팅 파워가 작아질 수 있다'라는 말이 된다. 채굴자가 충분한 컴퓨팅 파워를 제공했는데도 채굴되는 코인이 적거나 확률이 낮아진다면 당연히 컴퓨팅 파워를 낮추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전체 컴퓨팅 파워의 30%를 가지고 있는 곳에서 1/4마다 코인을 보상받게 된다면 당연히 손해를 보는 느낌이 들 것이다.
  
* 채굴장을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우측 그림과 같은 로직으로 구성한다면 채굴 풀을 나눠버릴 것이다. A라는 채굴풀을 A-1, A-2로 나눠 결과적으로 모든 것을 다 받아먹으려고 할 것이다. 우측의 Time Windows를 보면 노드당 한 번의 블록을 채굴하게 되면 3번 정도는 채굴을 할 수 없게 되는데 이럴 경우 채굴을 4개로 나눠 하면 큰 문제 없이 채굴을 할 수 있다. 결국 균형작업증명 방식에 큰 효용 없이 변칙으로 채굴을 할 수 있는 함정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
* 채굴장을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그림과 같은 로직으로 구성한다면 채굴 풀을 나눠버릴 것이다. A라는 채굴풀을 A-1, A-2로 나눠 결과적으로 모든 것을 다 받아먹으려고 할 것이다. 우측의 Time Windows를 보면 노드당 한 번의 블록을 채굴하게 되면 3번 정도는 채굴을 할 수 없게 되는데 이럴 경우 채굴을 4개로 나눠 하면 큰 문제 없이 채굴을 할 수 있다. 결국 균형작업증명 방식에 큰 효용 없이 변칙으로 채굴을 할 수 있는 함정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 가장 큰 문제는 균형작업증명 방식으로 인해서 해시파워가 떨어지게 될 경우 채굴 세력도 어찌하지 못할 수준의 공격이다. 즉, 두 번째 문제점과 같이 채굴세력이 노드를 분할하여 해시파워를 유지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이럴 경우 균형작업증명 방식이라는 것이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것이고, 균형작업증명 방식으로 인해서 채굴 세력들이 단가가 나오지 않아 해시파워의 제공을 줄인다면, 그 틈을 공격하는 다른 [[해커]] 세력이 나타날 수 있다.
 
* 가장 큰 문제는 균형작업증명 방식으로 인해서 해시파워가 떨어지게 될 경우 채굴 세력도 어찌하지 못할 수준의 공격이다. 즉, 두 번째 문제점과 같이 채굴세력이 노드를 분할하여 해시파워를 유지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이럴 경우 균형작업증명 방식이라는 것이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것이고, 균형작업증명 방식으로 인해서 채굴 세력들이 단가가 나오지 않아 해시파워의 제공을 줄인다면, 그 틈을 공격하는 다른 [[해커]] 세력이 나타날 수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