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핀 배터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그래핀 배터리'''<!--그래핀배터리-->(graphene battery, graphene cell, 石墨烯电池)는 꿈의 물질로 불리는 '''[[그래핀 (물질)|그래핀]]'''(graphene)을 [[2차전지]] 소재로 사용한 [[배터리]]이다. 그래핀 배터리에 사용되는 소재인 [[그래핀]]은 2004년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 연구팀이 발견했다. [[흑연]]에서 벗겨낸 얇은 [[탄소]] 원자막인 그래핀은 강도가 [[강철]]보다 200배 강하고 전도성이 [[구리]]보다 100배 이상 뛰어나 배터리 충전 속도를 높이고 동력 배터리 기술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기술로 꼽힌다.
 
'''그래핀 배터리'''<!--그래핀배터리-->(graphene battery, graphene cell, 石墨烯电池)는 꿈의 물질로 불리는 '''[[그래핀 (물질)|그래핀]]'''(graphene)을 [[2차전지]] 소재로 사용한 [[배터리]]이다. 그래핀 배터리에 사용되는 소재인 [[그래핀]]은 2004년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 연구팀이 발견했다. [[흑연]]에서 벗겨낸 얇은 [[탄소]] 원자막인 그래핀은 강도가 [[강철]]보다 200배 강하고 전도성이 [[구리]]보다 100배 이상 뛰어나 배터리 충전 속도를 높이고 동력 배터리 기술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기술로 꼽힌다.
{{:자동차 배너|배터리}}
 
  
== 개요 ==
 
 
2021년 1월 15일, 중국 [[광저우자동차그룹]](GAC MOTOR)이 [[전고체 배터리]]와 함께 차세대 배터리로 꼽히는 그래핀 배터리(graphene battery) 양산 테스트에 돌입한다고 발표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GAC 모터 산하 전기차 브랜드 '''[[광치아이안]]'''(AION, 埃安)은 그래핀 배터리 양산 테스트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아이안은 그래핀 소재의 슈퍼 배터리 탑재한 차량이 8분 만에 배터리 용량 80%를 충전할 수 있으며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NEDC(New European Driving Cycle) 기준 1천km에 달한다고 밝혔다.<ref name="비아이">소여옥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5359  中 GAC 모터, ‘그래핀 배터리’ 양산 테스트 돌입]〉, 《비아이뉴스》, 2021-01-17</ref>
 
2021년 1월 15일, 중국 [[광저우자동차그룹]](GAC MOTOR)이 [[전고체 배터리]]와 함께 차세대 배터리로 꼽히는 그래핀 배터리(graphene battery) 양산 테스트에 돌입한다고 발표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GAC 모터 산하 전기차 브랜드 '''[[광치아이안]]'''(AION, 埃安)은 그래핀 배터리 양산 테스트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아이안은 그래핀 소재의 슈퍼 배터리 탑재한 차량이 8분 만에 배터리 용량 80%를 충전할 수 있으며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NEDC(New European Driving Cycle) 기준 1천km에 달한다고 밝혔다.<ref name="비아이">소여옥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5359  中 GAC 모터, ‘그래핀 배터리’ 양산 테스트 돌입]〉, 《비아이뉴스》, 2021-01-17</ref>
  
미국의 전기자동차 업체인 '''[[피스커]]'''(Fisker)도  부드럽게 휘어지는 그래핀 배터리를 장착해 한번 충전에 최대 640km 이상을 달릴 수 있는 전기자동차 '''[[피스커 이모션]]'''을 출시하겠다고 발표했다. 시속 260km의 최고 속도를 자랑하는 피스커 이모션이 예정대로 출시된다면 세계 최초로 그래핀 배터리를 탑재한 상용차로 기록될 것이다. 피스커 이모션에 들어갈 그래핀 배터리는 미국의 스타트업 기업인 [[나노테크에너지]] 회사의 제품으로, [[레이저]]로 [[그래핀]]을 가공해 부드럽게 휘어지도록 만든 [[슈퍼커패시터]]가 핵심이다. 슈퍼커패시터는 전기에너지를 빠르게 대량으로 저장해, 높은 전류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다. [[그래핀 슈퍼커패시터]]가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와 가속능력을 어디까지 끌어올릴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ref>장익준 과학칼럼니스트, 〈[http://dj.breaknews.com/sub_read.html?uid=202327 (나노과학) 전기자동차의 힘, 그래핀 배터리가 책임진다]〉, 《브레이크뉴스》, 2017-03-20</ref> 현재는 [[LG화학]]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
미국의 전기자동차 업체인 '''[[피스커]]'''(Fisker)도  부드럽게 휘어지는 그래핀 배터리를 장착해 한번 충전에 최대 640km 이상을 달릴 수 있는 전기자동차 '''[[이모션]]'''을 출시하겠다고 발표했다. 시속 260km의 최고 속도를 자랑하는 이모션이 예정대로 출시된다면 세계 최초로 그래핀 배터리를 탑재한 상용차로 기록될 것이다. 이모션에 들어갈 그래핀 배터리는 미국의 스타트업 기업인 [[나노테크에너지]] 회사의 제품으로, [[레이저]]로 [[그래핀]]을 가공해 부드럽게 휘어지도록 만든 [[슈퍼커패시터]]가 핵심이다. 슈퍼커패시터는 전기에너지를 빠르게 대량으로 저장해, 높은 전류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다. [[그래핀 슈퍼커패시터]]가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와 가속능력을 어디까지 끌어올릴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ref>장익준 과학칼럼니스트, 〈[http://dj.breaknews.com/sub_read.html?uid=202327 (나노과학) 전기자동차의 힘, 그래핀 배터리가 책임진다]〉, 《브레이크뉴스》, 2017-03-20</ref> 현재는 [[LG화학]]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 발견 ==
 
== 발견 ==
45번째 줄: 43번째 줄:
 
[[파일:리얼 그래핀 배터리.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리얼 그래핀 배터리]]
 
[[파일:리얼 그래핀 배터리.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리얼 그래핀 배터리]]
  
* '''[[삼성전자]]''' : 2017년 11월 [[삼성전자]]와 [[삼성종합기술원]](SAIT), [[삼성SDI]],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가 저렴한 [[실리카]](SiO2)를 활용해 [[그래핀볼]] 형태로 개발에 성공하면서 2차 배터리 소재로 떠올랐다. 국내에서는 삼성이 그래핀 배터리 기술에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2020년 또는 2021년에 그래핀 배터리를 탑재한 스마트폰 모델을 최소 한 개 이상 출시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는다.<ref>박효정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VS9YDH8RB 해프닝으로 끝난 中 화웨이 '그래핀 배터리 탑재']〉, 《서울경제》, 2019-12-30</ref><ref>박흥순 기자,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9093015158049070 전고체 vs 그래핀, ‘꿈의 배터리’ 승자는?]〉, 《머니S》, 2019-10-10</ref>
+
* '''[[삼성전자]]''' : 2017년 11월 삼성전자와 삼성종합기술원(SAIT), 삼성SDI, 서울대화학생물공학부가 저렴한 실리카(SiO2)를 활용해 '''그래핀볼''' 형태로 개발에 성공하면서 2차배터리 소재로 떠올랐다. 국내에서는 삼성이 그래핀 배터리 기술에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내년 또는 2021년에 그래핀 배터리를 탑재한 스마트폰 모델을 최소 한 개 이상 출시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는다.<ref>박효정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VS9YDH8RB 해프닝으로 끝난 中 화웨이 '그래핀 배터리 탑재']〉, 《서울경제》, 2019-12-30</ref><ref>박흥순 기자,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19093015158049070 전고체 vs 그래핀, ‘꿈의 배터리’ 승자는?]〉, 《머니S》, 2019-10-10</ref>
  
:[[그래핀볼]]은 그래핀의 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키는 성질을 이용하여 [[급속충전]]을 구현한다. 기존 [[고속충전]] 기술을 사용한 배터리는 완충까지 1시간 정도 걸렸지만, 그래핀볼 소재의 배터리는 12분 만에 완충할 수 있다. 그래핀볼 배터리는 저렴한 실리카(SiO2)를 이용해 그래핀을 팝콘과 같이 3차원 입체 형태로 대량 합성하여 그래핀볼을 만든 후, 리튬이온 전지의 양극 보호막과 음극 소재로 그래핀볼을 활용한다. 전자가 기존의 5배나 빠르게 이동하면 그만큼 배터리의 온도가 올라가 [[폭발]]의 위험이 있지는 않을지 의문점이 들 수도 있다. 그러나 그래핀볼 배터리는 전기차용 배터리가 요구하는 온도기준(60℃)까지 안정성이 유지되어 안전하며 충전시간 단축은 물론 충전 용량도 늘어났다.<ref>이예닮, 〈[https://renewableenergyfollowers.org/2445 5G를 맞이하는 배터리시장]〉,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18-03-16</ref>
+
:'그래핀 볼'은 그래핀의 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키는 성질을 이용하여 [[급속충전]]을 구현한다. 기존 [[고속 충전]] 기술을 사용한 배터리는 완충까지 1시간 정도 걸렸지만, 그래핀 볼 소재의 배터리는 12분 만에 완충할 수 있다. 그래핀 볼 배터리는 저렴한 실리카(SiO2)를 이용해 그래핀을 팝콘과 같이 3차원 입체 형태로 대량 합성하여 그래핀 볼을 만든 후, 리튬이온 전지의 양극 보호막과 음극 소재로써 그래핀 볼을 활용한다. 전자가 기존의 5배나 빠르게 이동하면 그만큼 배터리의 온도가 올라가 폭발의 위험이 있지는 않을지 의문점이 들 수도 있다. 그러나 그래핀 볼 배터리는 전기차용 배터리가 요구하는 온도기준(60℃)까지 안정성이 유지되어 안전하며 충전시간 단축은 물론 충전 용량도 늘어났다.<ref>이예닮, 〈[https://renewableenergyfollowers.org/2445 5G를 맞이하는 배터리시장]〉,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18-03-16</ref>
  
 
* '''[[스켈레톤 테크놀로지]]'''(Skeleton Technologies) : 에스토니아의 전기차량용 EV 배터리 스타트업이다. 스켈레톤은 독일 카를스루에 공대(KIT : 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와 협약을 맺고 전기차량용 EV 배터리를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놀랍게도 이들은 단 15초만에 충전이 완료되는 '그래핀' 소재의 슈퍼배터리(SuperBattery)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스켈레톤은 빠르게 충전하고 빠르게 에너지를 방출하는 [[슈퍼커패시터]](자체 제품)와 장기간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의 특성을 결합한 그래핀 기반의 슈퍼배터리를 개발해 기존 배터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최근 스켈레톤은 시리즈 D 단계의 4,130만 유로(약 553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한 바 있으며, 약 45명의 신규 직원을 고용해 슈퍼배터리 개발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f>
 
* '''[[스켈레톤 테크놀로지]]'''(Skeleton Technologies) : 에스토니아의 전기차량용 EV 배터리 스타트업이다. 스켈레톤은 독일 카를스루에 공대(KIT : 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와 협약을 맺고 전기차량용 EV 배터리를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놀랍게도 이들은 단 15초만에 충전이 완료되는 '그래핀' 소재의 슈퍼배터리(SuperBattery)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스켈레톤은 빠르게 충전하고 빠르게 에너지를 방출하는 [[슈퍼커패시터]](자체 제품)와 장기간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의 특성을 결합한 그래핀 기반의 슈퍼배터리를 개발해 기존 배터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최근 스켈레톤은 시리즈 D 단계의 4,130만 유로(약 553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한 바 있으며, 약 45명의 신규 직원을 고용해 슈퍼배터리 개발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f>
 
MoonYoung, 〈[http://www.bizion.com/bbs/board.php?bo_table=tech&wr_id=449 15초만에 급속 충전이 가능한 '그래핀 배터리' ]〉, ''BIZION'', 2020-12-18</ref>  
 
MoonYoung, 〈[http://www.bizion.com/bbs/board.php?bo_table=tech&wr_id=449 15초만에 급속 충전이 가능한 '그래핀 배터리' ]〉, ''BIZION'', 2020-12-18</ref>  
  
* '''[[리얼그래핀]]'''(Real Graphene) : 2020년 1월 17일, 미국에 본사를 둔 리얼그래핀은 그래핀 배터리셀의 개발이 거의 끝났다고 발표했다. 일반 배터리는 3000mAh를 충전하는데 90분이 걸리지만, 그래핀은 20분만에 끝난다고 한다. 충전 출력은 60W이다. 또 일반적인 배터리의 충전 사이클은 300~500번이나, 리얼그래핀의 배터리는 1,500번에 달한다고 한다. 배터리셀의 발열도 낮아 안전하다고 한다. [[아마존]]에도 등록된 상태이다.<ref>Jeet, "[https://www.gizmochina.com/2020/01/17/graphene-battery-now-in-market/ Graphene battery that recharges blazingly fast is already in the market]", ''Gizmochina'', 2020-01-17</ref>
+
* '''[[리얼 그래핀]]'''(Real Graphene) : 2020년 1월 17일, 미국에 본사를 둔 리얼 그래핀은 그래핀 배터리 셀의 개발이 거의 끝났다고 발표했다. 일반 배터리는 3000mAh를 충전하는데 90분이 걸리지만, 그래핀은 20분만에 끝난다고 한다. 충전 출력은 60W이다. 또 일반적인 배터리의 충전 사이클은 300~500번이나, 리얼 그래핀의 배터리는 1500번에 달한다고 한다. 셀의 발열도 낮아 안전하다고 한다. 아마존에도 등록된 상태다.<ref>Jeet, "[https://www.gizmochina.com/2020/01/17/graphene-battery-now-in-market/ Graphene battery that recharges blazingly fast is already in the market]", ''Gizmochina'', 2020-01-17</ref>
  
* '''[[나노그라프]]'''(NanoGraf) : 2012년에 설립된 나노그라프(이전 SiNode Systems)는 차세대 리튬이온 배터리용 실리콘 그래핀 소재를 개발하는 미국의 첨단 소재 회사이다.  
+
* '''[[나노 그라프]]'''(NanoGraf) : 2012년에 설립된 나노 그라프(이전 SiNode Systems)는 차세대 리튬 이온 배터리용 실리콘 그래핀 소재를 개발하는 첨단 소재 회사이다.  
  
 
* '''[[광저우자동차그룹]]'''(GAC MOTOR) : 2014년부터 그래핀 기술 개발을 시작했으며 현재 독자적인 지식재산권을 보유한 3DG(3차원 구조 그래핀) 소재의 제조와 응용 기술을 확보했다.
 
* '''[[광저우자동차그룹]]'''(GAC MOTOR) : 2014년부터 그래핀 기술 개발을 시작했으며 현재 독자적인 지식재산권을 보유한 3DG(3차원 구조 그래핀) 소재의 제조와 응용 기술을 확보했다.
  
* '''[[나노테크에너지]]'''(Nanotech Energy) : 미국에 기반을 둔 그래핀 및 산화그래핀 재료 및 잉크 공급 업체이며 스마트폰 및 생체 의료기기 용 그래핀 강화 배터리 및 미세 [[슈퍼커패시터]]를 개발하고 있다. 당초 미국 [[피스커]]사의 전기자동차 [[피스커 이모션]]에 그래핀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이었으나 개발을 완료할 수 없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연된 상태이다. 이에 대해 피스커 관계자는 "조만간 1회 충전에 640㎞를 달릴 수 있고, 최고 시속 257km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면서도 9분 내에 완전 충전이 가능한 그래핀 배터리 장착 전기자동차를 선보이겠다"라고 밝혔다.
+
* '''[[나노테크 에너지]]'''(Nanotech Energy) : 미국에 기반을 둔 그래핀 및 산화그래핀 재료 및 잉크 공급 업체이며 스마트 폰 및 생체 의료 기기 용 그래핀 강화 배터리 및 미세 슈퍼 커패시터를 개발 하고 있다. 당초 피스커사의 전기자동차 이모션에 그래핀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이었으나 개발을 완료할 수 없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연된 상태이다. 이에 대해 피스커社의 관계자는 "조만간 1회 충전에 640㎞를 달릴 수 있고, 최고 시속 257km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면서도 9분 내에 완전 충전이 가능한 그래핀 배터리 장착 전기자동차를 선보이겠다"라고 밝혔다.
  
 
== 여론 ==
 
== 여론 ==
 
관련 업계에서는 그래핀 배터리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태도다.
 
관련 업계에서는 그래핀 배터리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태도다.
  
[[왕쯔둥]](王子冬) 중국 자동차동력배터리산업혁신연맹(中国汽车动力电池产业创新联盟) 부비서장은 "이론상으로는 그래핀이 배터리 충전 수용 능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지만 다른 성능 향상에는 도임이 되지 않는다"면서 "신기술이 아닌 그래핀 배터리는 여러 해 동안 실험실에서 검증되어 왔지만 양산 차에 탑재하기에는 아직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왕쯔둥(王子冬) 중국 자동차동력배터리산업혁신연맹(中国汽车动力电池产业创新联盟) 부비서장은 "이론상으로는 그래핀이 배터리 충전 수용 능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지만 다른 성능 향상에는 도임이 되지 않는다"면서 "신기술이 아닌 그래핀 배터리는 여러 해 동안 실험실에서 검증되어 왔지만 양산 차에 탑재하기에는 아직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중국 전기차 100인회(中国电动汽车百人会) 부이상장 어우양밍가오(欧阳明高) 중국과학원 원사는 "1회 충전으로 1천km를 주행하고 몇 분 만에 완전 충전이 가능하며, 안전하고 비용도 낮다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전기차 100인회(中国电动汽车百人会) 부이상장 어우양밍가오(欧阳明高) 중국과학원 원사는 "1회 충전으로 1천km를 주행하고 몇 분 만에 완전 충전이 가능하며, 안전하고 비용도 낮다는 것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업계 내 분석가는 "현재 배터리 업계에서 그래핀을 전도성 [[첨가제]]나 배터리 음극 소재로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그래핀을 동력 배터리 음극 소재로 사용하면 전기차 제조 원가가 매우 높을 것이지만 전도성 첨가제로 사용한다면 업계에 그 원가를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표시했다.<ref name="비아이"></ref>
+
업계 내 분석가는 "현재 배터리 업계에서 그래핀을 전도성 첨가제나 음극 소재로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그래핀을 동력 배터리 음극 소재로 사용하면 전기차 제조 원가가 매우 높을 것이지만 전도성 첨가제로 사용한다면 업계에 그 원가를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표시했다.<ref name="비아이"></ref>
  
 
{{각주}}
 
{{각주}}
85번째 줄: 83번째 줄:
 
* [[배터리]]
 
* [[배터리]]
 
* [[리튬이온 배터리]]
 
* [[리튬이온 배터리]]
* [[전고체 배터리]]
 
 
* [[흑연]]
 
* [[흑연]]
 
* [[나노테크에너지]]
 
* [[나노테크에너지]]
 
* [[피스커]]
 
* [[피스커]]
* [[피스커 이모션]]
+
* [[이모션]]
 
* [[광치아이안]]
 
* [[광치아이안]]
  
 
{{배터리|검토 필요}}
 
{{배터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