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가공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ISO국제규격에선 공작기계를 한 운동원에 의해서 작동하고 물리적 화학적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성형해서 공작물을 생산하는 수작업을 하지 않는 기계로 정의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금속가공기계를 절삭기계와 성형기계로 분류하여 이 둘을 합한 것을 공작기계라고 칭한다. 한국산업규격에서는 주로 금속 공작물을 절삭, 연삭 등에 의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 내어 필요한 형상을 만드는 기계로 공장기계를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계 관련 분야에서 공작기계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KS의 정의에 따르고 그중에서도 특히 금속절삭기계를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다.<ref>기공사 매니저, 〈[https://ldg851.tistory.com/134 공작기계란 무엇인가? 공작기계의 역사]〉, 《티스토리》, 2020-09-28</ref>
 
ISO국제규격에선 공작기계를 한 운동원에 의해서 작동하고 물리적 화학적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성형해서 공작물을 생산하는 수작업을 하지 않는 기계로 정의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금속가공기계를 절삭기계와 성형기계로 분류하여 이 둘을 합한 것을 공작기계라고 칭한다. 한국산업규격에서는 주로 금속 공작물을 절삭, 연삭 등에 의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 내어 필요한 형상을 만드는 기계로 공장기계를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계 관련 분야에서 공작기계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KS의 정의에 따르고 그중에서도 특히 금속절삭기계를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다.<ref>기공사 매니저, 〈[https://ldg851.tistory.com/134 공작기계란 무엇인가? 공작기계의 역사]〉, 《티스토리》, 2020-09-28</ref>
 
===성능과 진보===
 
===성능과 진보===
좋은 제품은 형상, 치수가 정확하고 표면의 요철이 적은 것을 말한다. 실린더의 구멍이 부정확하면 피스톤의 형태가 정확한 원일지라도 조립했을 때 틈새가 생겨 성능이 불량해진다. 또한 실린더가 정확한 원일지라도 길이의 방향으로 직경이 고르지 못하고 호리병박 같은 형상을 하고 있어도 곤란하다. 둥글어야 할 것은 둥글게 똑바라야 할 것은 똑바르게 가공되지 않아서는 성능이 좋을 리 없다. 그러므로 공작기계 자체의 운동이 정확하게 진행되지 않아서는 안 된다. 그러나 공작기계도 부분품의 조립으로 이루어진 것인 이상 완전한 것일 수는 없으며, 조금씩 개량하면서 일보 일보 끈기 있게 완전한 원이라든가 직선적인 것을 만들 수 있는 단계로 발전을 계속해 왔다. 오늘에 와서는 0.001mm(마이크론) 단위로 제품의 양부(良否)를 논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생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작기계가 일정 시간 안에 처리하는 공작물의 수를 늘리지 않으면 안 된다. 우선 동일 시간 내에 될수록 많이 절삭(切削)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고속화하기도 하고, 한번에 많은 양을 깎아낼 수 있도록 강력한 것으로 한다. 고속화하면 다듬질면(面)이 고와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공작물이나 공구를 붙이고 떼는 조작을 짧은 시간 내에 할 수 있도록 하고 기계의 조작에서 실수가 생기지 않도록 간편하게 해 준다. 동일 종류의 공작물을 계속해서 가공할 때에는 공작물이라든가 공구를 이리저리 움직이는 일과 공구를 부착하고 떼어내는 조작을 자동화한다. 이처럼 능률을 높이는 여러 가지 조건에 맞추어 만들어진 튼튼하고 좋은 장비의 공작기계는 당연히 값이 비싸지만 가격이 높은 기계를 사용하더라도 능률이 향상되고 좋은 질의 제품을 생산해 낼 수만 있다면 도리어 유리한 것이다. 한마디로 공작물이라고 하지만 큰 것과 작은 것, 생김새가 간단한 것과 복잡한 것, 한 종류의 것을 몇 개밖에 만들지 않는 것과 대량으로 만들 필요가 있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자동차라든가 전화처럼 동일 부품을 수만 개나 만들 경우에는 부품 전용의 공작기계를 사용이 경제적이고 능률적이다. 이를 전용 공작기계라고 하는데 이와는 반대로 다종 소량생산을 하기에 알맞은 용도가 넓은 공작기계는 범용 공작기계라고 한다.
 
 
전용 공작기계는 작업 내용이 정해져 있으므로 자동화하기 쉽고, 또 자동화해서 능률을 올리는 편이 유리하다. 범용 공작기계로 다루는 공작물은 자주 변동되므로 자동화하기는 어려우며, 숙련 작업자의 솜씨 여하에 따라 공작물의 질과 가공시간이 좌우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자 장치를 도입하여 기계를 지령대로 가동(稼動)시킬 수 있는 수치제어 방식이 실현되었다. 이것을 이용하면 다종 소량생산이라도 지령 테이프를 바꾸는 것만으로써 각종 작업을 자동적으로 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미숙련자라도 차질이 없게 되었다.
 
  
 
==공작기계 종류==
 
==공작기계 종류==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