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프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 개요 ==
 
== 개요 ==
 +
[[파일:기프토 01.jpg|썸네일|400픽셀|'''기프토'''(Gifto)]]
  
 
기프토는 탈중앙화된 통합 선물 프로토콜(UGP : Universal Gifting Protocol)을 통해 가상선물의 자유로운 창작과 교환이 가능하다. [[업라이브]] 내 사용자 사이의 선물 교환은 [[유튜브]](Youtube), [[인스타그램]](Instagram), [[페이스북]](Facebook) 등 글로벌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도 확장이 가능하다.<ref>김동호 기자, 〈[https://news.v.daum.net/v/20171218103341116 디지털 화폐 '기프토(Gifto)', 아시아 최단 시간 판매완료 기록 수립]〉, 《서울경제》, 2017-12-18</ref> 기프토는 콘텐츠 제작자들이 탈중앙화된 가상 경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대형 콘텐츠 플랫폼들의 수수료 및 광고 수익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으며, 광고 수익이 존재하지 않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나 신규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줄 수 있다.<ref>가을하늘별, 〈[https://blog.naver.com/bbj2052/221305655182 코인 추천 합니다 기프토(GIFTO) 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06-24</ref>
 
기프토는 탈중앙화된 통합 선물 프로토콜(UGP : Universal Gifting Protocol)을 통해 가상선물의 자유로운 창작과 교환이 가능하다. [[업라이브]] 내 사용자 사이의 선물 교환은 [[유튜브]](Youtube), [[인스타그램]](Instagram), [[페이스북]](Facebook) 등 글로벌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도 확장이 가능하다.<ref>김동호 기자, 〈[https://news.v.daum.net/v/20171218103341116 디지털 화폐 '기프토(Gifto)', 아시아 최단 시간 판매완료 기록 수립]〉, 《서울경제》, 2017-12-18</ref> 기프토는 콘텐츠 제작자들이 탈중앙화된 가상 경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대형 콘텐츠 플랫폼들의 수수료 및 광고 수익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으며, 광고 수익이 존재하지 않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나 신규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줄 수 있다.<ref>가을하늘별, 〈[https://blog.naver.com/bbj2052/221305655182 코인 추천 합니다 기프토(GIFTO) 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06-24</ref>
49번째 줄: 50번째 줄:
  
 
== 특징 ==
 
== 특징 ==
[[파일:기프토 01.jpg|썸네일|400픽셀|'''기프토'''(Gifto)]]
 
  
 
=== 통합 선물 프로토콜 ===
 
=== 통합 선물 프로토콜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