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김종환.jpg|썸네일|300픽셀|'''김종환''' [[㈜블로코]] 창업자 겸 상임고문]]
 
[[파일:김종환.jpg|썸네일|300픽셀|'''김종환''' [[㈜블로코]] 창업자 겸 상임고문]]
[[파일:㈜블로코 글자.png|썸네일|300픽셀|'''[[㈜블로코]]'''(Blocko)]]
+
[[김종환]](1984년 ~ )은 한국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인 [[아르고]](Aergo)를 개발한 ㈜블로코(Blocko)의 창업자 겸 상임고문이다. 연세대 법학을 전공한 김종환은 2009년 [[비트코인]]을 처음 접하고 연구하였다. 그 후, 2013년 말 비트코인 거래소인  [[BTC코리아]]를 설립하였다. 그리고 2014년 자신이 설립한 비트코인 거래소를 매각함과 동시에, 삼성SDS 연구원 출신의 김원범 대표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인 [[블로코]]를 설립하였다. 설립초기에 4차례에 걸쳐 15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블로코는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인 코인 스택을 주력으로 여러 금융 기관에 공급하고 있다.<ref>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1129150053 블록체인 기여 기업·개인에 과기부장관 표창]>, <<지디넷코리아>>, 2018-11-29</ref>
[[파일:아르고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아르고]]'''(AERGO)]]
 
  
'''김종환'''(1984년 ~ )은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인 [[아르고]](Aergo)를 개발한 '''[[㈜블로코]]'''<!--블로코-->(Blocko)의 창업자 겸 상임고문이다. 그는 2009년 [[비트코인]]을 처음 접하고 연구하였다. 2013년 말 비트코인 거래소인  [[BTC코리아]]를 설립하였다. 2014년 자신이 설립한 비트코인 거래소를 매각함과 동시에, [[삼성SDS]] 연구원 출신의 [[김원범]] 대표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인 [[㈜블로코]]를 설립하였다. 블로코는 블록체인 플랫폼인 [[코인스택]](Coinstack)을 개발하여 여러 금융기관에 공급하였다.<ref>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1129150053 블록체인 기여 기업·개인에 과기부장관 표창]〉, 《지디넷코리아》, 2018-11-29</ref> ㈜블로코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플랫폼인 '''[[아르고]]'''(Aergo)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4차례에 걸쳐 15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
== 약력 ==
  
== 약력 ==
 
 
* 1984년 출생
 
* 1984년 출생
* [[연세대학교]] 법학과 졸업
+
* 연세대학교 법학과 졸업
* 2013년 [[BTC코리아]] 창업 및 대표이사
+
* 2013년 BTC코리아 창업 및 대표이사
* 2014년 12월 [[㈜블로코]] 창업 상임고문
+
* 2014년 12월 블로코 창업 및 상임고문
 +
 
 +
== 수상 이력 ==
 +
===K-ICT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
블로코는 2016년 12월, 제11회 K-ICT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기술선도부문에서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는 코인 스택(Coinstack) 서비스 제공 및 기술 상용화로 특별상 수상
 +
===GS인증 1등급===
 +
2016년 7월 삼성벤처투자로부터 15억 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 블록체인 기술 최초로 GS인증 1등급을 획득
 +
===핀테크 어워즈===
 +
2017년 11월 동남아 최대인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 ‘핀테크 어워즈’에서 글로벌 경쟁 부문 우승<ref>양철승 기자, <[http://www.techhol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1946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로코, 아시아 핀테크 허브서 블록체인 기술력 공인]>, <<테크홀릭>>, 2017-11-20</ref>
 +
===대한민국 브랜드 대상===
 +
2018년 9월 한국 마케팅협회에서 주최하는 ‘2018 제6회 대한민국 브랜드 대상’ 시상식에서 디지털 부문 최우수상 수상
 +
===블록체인 진흥주간===
 +
2018년 11월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18 블록체인 진흥주간’에서 블록체인 기술 발전 산업 진흥에 기여한 공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수상
  
== 주요 활동 ==
+
== 비전 ==
  
=== 코인스택 ===
+
그는 현재 블록체인은 인터넷이 처음 등장한 때와 비슷한 초창기 상태이며, 앞으로 무궁무진한 발전이 기대된다고 했다. 블록체인은 그 자체가 일종의 [[데이터베이스]](DB)이며,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통해 인증 및 물류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가 창업한 국내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업 블로코는 레고처럼 쉽게 조립하고 즐길 수 있는 블록체인을 만드는 것을 비전으로 가지고 있다. 그는 인터넷 시대가 네이버와 구글을 만들고, 모바일 시대가 카카오톡과 페이스북을 만들었다면, 블록체인 시대는 블로코가 이끄는 지주화된 사업 모델이 가능할 것이라고 한다.
2015년 국내 최초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BaaS)인 [[코인스택]]<!--코인 스택-->(Coinstack)을 출시 및 공급하였으며, 이후 30건 이상의 상용화 사례를 확보했다. 코인스택은 [[ISO]] 국제표준 기준의 [[GS인증]]을 획득했으며, [[한국거래소]](KRX)에서도 검증된 바 있다. 롯데카드, 전북은행의 블록체인 기반의 생체인증 간편 로그인 방식, 전자서명 간편 로그인 방식, 기반 바우처 방식 등은 모두 블로코의 코인스택으로 개발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코인스택은 2016년 07월 블록체인 기술 최초로 [[GS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 또한 [[삼성벤처투자]]로부터 15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 아르고 ===
+
== 업적 ==
[[아르고]](Aergo)[[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이다. 아르고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를 [[아르고코인]](Aergocoin)이라고 한다. 2018년 [[㈜블로코]]는 기존 [[코인스택]]의 장점을 활용하여 새로운 기업용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플랫폼인 아르고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
=== 코인 스택(Coinstack) ===
 +
2015년 국내 최초 서비스형 블록체인(BaaS) 플랫폼 코인 스택(Coinstack)을 출시 및 공급하였으며, 이후 30건 이상의 상용화 사례를 확보했다. 이는 ISO 국제표준 기준의 GS인증을 획득한 것이며, [[코인 스택]][[한국거래소]](KRX)에서도 검증된 바 있다. 롯데카드, 전북은행의 블록체인 기반의 생체인증 간편 로그인 방식, 전자서명 간편 로그인 방식, 기반 바우처 방식 등은 모두 블로코의 코인 스택으로 개발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 갓츄 ===
+
=== 갓츄(Gotchu) ===
[[갓츄]](Gotchu)는 개인의 암호화폐공개([[ICO]]) 서비스로서, 2018년 12월 11일에 서비스 오픈하였다. 갓츄는 연예인이나 유튜버, 기자뿐 아니라 1인 기업, 크리에이터 등 개인이 누구나 자신만의 콘텐츠를 통해서 가치 토큰 발행 및 투자 유치를 통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서비스이다. 개인은 투자 유치로 축적한 가치 토큰을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현금화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투자자는 다른 투자자와 토큰 거래를 통해 수익을 꾀할 수 있다. 갓츄는 불특정인 다수에게서 자금을 모으는 [[크라우드펀딩]]에 [[암호화폐]]가 합해진 서비스로서, 애플 앱 스토어나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모바일 앱]]을 내려받을 수 있다.
+
[[갓츄]]는 개인의 가상화폐공개([[ICO]]) 서비스이며 2018년 12월 11일에 서비스 오픈하였다. 갓츄는 연예인이나 유튜버, 기자뿐 아니라 1인 기업, 크리에이터 등 개인이 누구나 자신만의 콘텐츠를 통해서 가치 토큰 발행 및 투자 유치를 통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서비스이다. 개인은 투자 유치로 축적한 가치 토큰을 거래소에서 현금화해 자금을 조달한다. 투자자는 다른 투자자와의 토큰 거래로 수익을 꾀한다. 이용자 불특정인 다수에게서 돈을 모으는 [[크라우드 펀딩]]에 가상 화폐가 합해진 서비스로, 앱 스토어나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앱을 내려받을 수 있다.
  
 
== 향후 계획 ==
 
== 향후 계획 ==
  
2017년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대표 정태수)과 블로코가 기업용 블록체인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UCP]](Unified Compute Platform for Blockchain) 솔루션을 통해 많은 기업들에게 블록체인 도입을 지원할 예정이다. UCP 솔루션은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의 비용 절감 및 기간 단축, 서버·가상화 플랫폼의 통합 관리 기능 제공, 올 플래시 및 하이브리드 기반의 성능, 스케일 아웃의 유연한 확장성 등이 장점이다. 블로코 블록체인 소프트웨어의 사용, 판매, 사용자 서비스를 위해 [[콜센터]]를 운영할 예정이다.<ref>김우용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70724150101 효성인포-블로코, 블록체인 사업 MOU], 《지디넷코리아》, 2017-07-24</ref>
+
2017년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대표 정태수)과 블로코가 기업용 블록체인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UCP]] (Unified Compute Platform for Blockchain) 솔루션을 통해 많은 기업이 블록체인의 도입을 지원할 예정이다. UCP 솔루션은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의 비용 절감 및 기간 단축, 서버·가상화 플랫폼의 통합 관리 기능을 제공, 올 플래시 및 하이브리드 기반의 성능, 스케일 아웃의 유연한 확장성 등이 장점이다. 블로코 블록체인 소프트웨어의 사용, 판매, 사용자 서비스를 위해 콜센터를 운영하게 된다.<ref>김우용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70724150101 효성인포-블로코, 블록체인 사업 MOU]>, <<지디넷코리아>>, 2017-07-24</ref>
 
+
향후 미래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사물인터넷]](IoT)에서도 주목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블록체인이 사물인터넷 기반 기술이 된다면, 이해하기 쉽고 중립적 가치와 저비용의 생태계 접근이 가능하며, 분산 데이터 구조에서 작동하는 신뢰 시스템 구축에 쉽다고 설명한다. 블록체인은 금융뿐 아니라 공공,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와 연결해 의미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계획을 하고 있다.<ref>이병희 기자, <[http://www.k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71720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기반 기술로 부각]>, <<키뉴스>>, 2016-07-22</ref>
김종환은 향후 미래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사물인터넷]](IoT)에서도 주목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블록체인이 사물인터넷 기반 기술이 된다면, 이해하기 쉽고 중립적 가치와 저비용의 생태계 접근이 가능하며, 분산 데이터 구조에서 작동하는 신뢰 시스템 구축이 쉬워진다. 그는 블록체인 기술을 금융뿐 아니라 공공,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와 연결해 의미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계획을 가지고 있다.<ref>이병희 기자, [http://www.k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71720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기반 기술로 부각], 《키뉴스》, 2016-07-22</ref>
 
 
 
김종환은 현재 블록체인 기술은 [[인터넷]]이 처음 등장한 때와 비슷한 초창기 상태이며, 앞으로 무궁무진한 발전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블록체인은 그 자체가 일종의 [[데이터베이스]](DB)이며,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통해 인증 및 물류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창업한 국내 블록체인 스타트업 기업 ㈜블로코는 레고처럼 쉽게 조립하고 즐길 수 있는 블록체인을 만드는 것을 비전으로 가지고 있다. 그는 인터넷 시대가 [[네이버]]와 [[구글]]을 만들고, 모바일 시대가 [[카카오톡]]과 [[페이스북]]을 만들었다면, 블록체인 시대는 [[블로코]]가 이끄는 지주화된 사업 모델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 수상 ==
 
* 2016년 12월 : 제11회 K-ICT 대한민국 인터넷대상 기술선도 부문에서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는 [[코인스택]] 서비스 제공 및 기술 상용화로 특별상 수상
 
* 2017년 11월 : 동남아 최대의 핀테크 부문 행사인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 '핀테크 어워즈'에서 글로벌 경쟁 부문 우승<ref>양철승 기자, 〈[http://www.techhol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1946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로코, 아시아 핀테크 허브서 블록체인 기술력 공인]〉, 《테크홀릭》, 2017-11-20</ref>
 
* 2018년 09월 : [[한국마케팅협회]]가 주최하는 '2018 제6회 대한민국 브랜드 대상' 시상식에서 디지털 부문 최우수상 수상
 
* 2018년 11월 :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18 블록체인 진흥주간'에서 블록체인 기술 발전 및 산업 진흥에 기여한 공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 수상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Blocko 공식 홈페이지 - http://www.blocko.io/
+
*Blocko 공식 홈페이지 - http://www.blocko.io/
* 이병희 기자, [http://www.k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71720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기반 기술로 부각], 《키뉴스》, 2016-07-22
+
*김혜진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255 블로코, 블록체인 기술 인터넷 대상 특별상 수상]>, <<CCTV뉴스>>, 2016-12-14 
* 이지영 기자, [https://www.bloter.net/archives/261564 ‘블로코’ 김종환 대표, “블록체인이 무엇인고 하니…”], 《블로터》, 2016-08-18 
+
*한아란 기자, <[http://www.fntimes.com/html/view.php?ud=201804041757404569f09e13944d_18 김종환 블로코 대표 “블록체인, 제2의 인터넷... 비트코인은 주식과 비슷”]>, <<한국금융>>, 2018-04-04
* 김혜진 기자,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255 블로코, 블록체인 기술 인터넷 대상 특별상 수상], 《CCTV뉴스》, 2016-12-14 
+
*양철승 기자, <[http://www.techhol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1946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로코, 아시아 핀테크 허브서 블록체인 기술력 공인]>, <<테크홀릭>>, 2017-11-20
* 김우용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70724150101 효성인포-블로코, 블록체인 사업 MOU], 《지디넷코리아》, 2017-07-24
+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1129150053 블록체인 기여 기업·개인에 과기부장관 표창]>, <<지디넷코리아>>, 2018-11-29
* 양철승 기자, [http://www.techholi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1946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로코, 아시아 핀테크 허브서 블록체인 기술력 공인], 《테크홀릭》, 2017-11-20
+
*김우용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70724150101 효성인포-블로코, 블록체인 사업 MOU]>, <<지디넷코리아>>, 2017-07-24
* 김은성 PD,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15&aid=0000595737 스타유망주식 (김학주의 honor club) 블록체인의 선두주자 '블로코 김종환 상임고문'], 《스타유망주식 김학주의 honor club》, 2018-01-26
+
*이병희 기자, <[http://www.k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71720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기반 기술로 부각]>, <<키뉴스>>, 2016-07-22
* 한아란 기자, [http://www.fntimes.com/html/view.php?ud=201804041757404569f09e13944d_18 김종환 블로코 대표 “블록체인, 제2의 인터넷... 비트코인은 주식과 비슷”], 《한국금융》, 2018-04-04
+
*김은성 PD,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15&aid=0000595737 스타유망주식 [김학주의 honor club] 블록체인의 선두주자 '블로코 김종환 상임고문']>, <<스타유망주식 김학주의 honor club>>, 2018-01-26
* 윤희은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0543681 개인도 가상화폐 발행해 투자받는다]〉, 《한국경제》, 2018-09-05
+
*이지영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293&aid=0000018519 '블로코' 김종환 대표, "블록체인이 무엇인고 하니…"]>, <<블로터앤미디어>>, 2016-08-18
* 뉴미디어연구소장, [http://paxnetdaily.moneta.co.kr/allView?articleId=2018111208433200446&portalCode=naver&objId=A2018111208433200446 블로코, 정부 ‘블록체인 부동산’ 열쇠 쥔 4년차 ‘스타트업’], 《팍스넷뉴스》, 2018-11-12
+
*뉴미디어연구소장, <[http://paxnetdaily.moneta.co.kr/allView?articleId=2018111208433200446&portalCode=naver&objId=A2018111208433200446 블로코, 정부 ‘블록체인 부동산’ 열쇠 쥔 4년차 ‘스타트업’>], <<팍스넷뉴스>>, 2018-11-12
* 임유경 기자, [http://www.zdnet.co.kr/view/?no=20181129150053 블록체인 기여 기업·개인에 과기부장관 표창], 《지디넷코리아》, 2018-11-29
+
*윤희은 기자,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0543681 개인도 가상화폐 발행해 투자받는다]>, <<한국경제>>, 2018-09-05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57번째 줄: 58번째 줄:
 
* [[이진석]]
 
* [[이진석]]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추가 필요}}
+
{{블록체인 기업 경영자|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