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범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지퍼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지퍼코인]]''']]
 
[[파일:지퍼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지퍼코인]]''']]
  
'''김준범'''은 [[블록체인]] 기반의 [[P2P]] 소액 대출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인 '''[[지퍼코인]]'''(ZPER)의 공동 창업자 겸 대표이사(CEO)이다. 김준범 대표는 [[카이스트]](KAIST) 응용수학과 석사 과정을 마치고, [[㈜티맥스 소프트웨어]], [[키움 증권]], [[데일리 파이낸셜]](DAILY Financial)을 거쳐 2016년 [[P2P 금융 플랫폼]] [[올리펀딩]](Olley Funding)을 설립하였다. 이후 2017년 7월, 금융 IT 기업 [[미드레이트]](MIDRATE), [[펀다]](Funda)와 함께 지퍼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을 시작으로 해당 프로젝트를 사업화하여 현재의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P2P 금융 플랫폼’인 [[지퍼]](ZPER)를 설립하였다.<ref>until3078(ppump), 〈[https://blog.naver.com/until3078/221337301062 (ZPR) 지퍼코인 호재와 전망, 탈중앙화 P2P금융 플랫폼의 혁신]〉《네이버 블로그》, 2018-08-17</ref>
+
'''김준범'''은 [[블록체인]] 기반의 [[P2P]] 소액 대출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인 '''[[지퍼코인]]'''(ZPER)의 공동 창업자 겸 대표이사(CEO)이다. 김준범 대표는 [[카이스트]](KAIST) 응용수학과 석사 과정을 마치고, [[㈜티맥스 소프트웨어]], [[키움 증권]], [[데일리 파이낸셜]](DAILY Financial)을 거쳐 2016년 [[P2P 금융 플랫폼]] [[올리펀딩]](Olley Funding)을 설립하였다. 이후 2017년 7월, 금융 IT 기업 [[미드레이트]](MIDRATE), [[펀다]](Funda)와 함께 지퍼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을 시작으로 해당 프로젝트를 사업화하여 현재의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P2P 금융 플랫폼’인 [[지퍼]](ZPER)를 설립하였다.
 +
<ref>until3078(ppump), 〈[https://blog.naver.com/until3078/221337301062 (ZPR) 지퍼코인 호재와 전망, 탈중앙화 P2P금융 플랫폼의 혁신]〉《네이버 블로그》, 2018-08-17</ref>
  
 
==약력==
 
==약력==
* 2001년 ~ 2006년 [[카이스트]](KAIST) 응용수학과 학사
+
* 2001년 ~ 2006년 카이스트 응용수학과 학사
 
* 2006년 ~ 2008년 카이스트 응용수학과 석사
 
* 2006년 ~ 2008년 카이스트 응용수학과 석사
 
* 2008년 1월 ~ 2009년 12월 티맥스 소프트 리서치 엔지니어 (데이터 마이닝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개발)  
 
* 2008년 1월 ~ 2009년 12월 티맥스 소프트 리서치 엔지니어 (데이터 마이닝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개발)  
26번째 줄: 27번째 줄:
  
 
==향후 계획==
 
==향후 계획==
[[파일:아르고 로고.png|썸네일|200픽셀|'''[[아르고]]'''(Aergo)]]
 
 
 
[[지퍼]]는 지난 3년간 중국 금융서비스 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해외 얼라이언스 구축에 힘을 써 왔다. 더 나아가 홍콩,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블록체인 산업과 P2P 금융산업이 급성장 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P2P 연합 얼라이언스 구축할 예정이며 2020년 까지 해외시장에서 약 200여 개의 P2P기업을 지퍼 플랫폼에 불러 모아 아시아에서 가장 큰 다국적 금융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ref name="지퍼(ZPER) 김준범 인터뷰"></ref>
 
[[지퍼]]는 지난 3년간 중국 금융서비스 기업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해외 얼라이언스 구축에 힘을 써 왔다. 더 나아가 홍콩,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블록체인 산업과 P2P 금융산업이 급성장 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P2P 연합 얼라이언스 구축할 예정이며 2020년 까지 해외시장에서 약 200여 개의 P2P기업을 지퍼 플랫폼에 불러 모아 아시아에서 가장 큰 다국적 금융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ref name="지퍼(ZPER) 김준범 인터뷰"></ref>
 
 
또한 기술적으로는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메인넷]])을 개발하지 않고, [[디앱]] 개발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세워 서비스 개발에만 모든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지퍼는 운영체제 격인 플랫폼 [[블록체인]]으로 국내 블록체인 기술 전문 업체 [[블로코]]가 주도하는 [[아르고]]를 선택하여, 지퍼는 아르고 위에 올라가는 첫 번째 디앱이 될 전망이다.<ref>임유정 기자, 〈[http://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078 블록체인 P2P 금융 지퍼, 플랫폼으로 아르고 선택]〉《지디넷코리아》, 2018-08-21</ref>
 
또한 기술적으로는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메인넷]])을 개발하지 않고, [[디앱]] 개발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세워 서비스 개발에만 모든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지퍼는 운영체제 격인 플랫폼 [[블록체인]]으로 국내 블록체인 기술 전문 업체 [[블로코]]가 주도하는 [[아르고]]를 선택하여, 지퍼는 아르고 위에 올라가는 첫 번째 디앱이 될 전망이다.<ref>임유정 기자, 〈[http://www.kbank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078 블록체인 P2P 금융 지퍼, 플랫폼으로 아르고 선택]〉《지디넷코리아》, 2018-08-21</ref>
  
46번째 줄: 44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지퍼코인]]
 
* [[지퍼코인]]
* [[아르고]]
 
  
 
{{암호화폐 창시자|검토 필요}}
 
{{암호화폐 창시자|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