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 이력 ==
 
== 이력 ==
김지만은 1976년생이며,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출신이다, 그는 아홉 살 때부터 동네 신문 제작, 2년 뒤에는 [[출장세차]] 서비스로 사업을 시작했을 정도로 사업가 기질을 타고났다. [[LG오티스]]에서 일하다가 현 [[㈜카카오]]인 [[다음]](Daum) 경영기획본부에서 근무하였으며 현 [[NH증권]]인 [[우리투자증권]] 등 총 세 개의 일자리를 거쳐 쏘카 창업을 결심하였다. 그가 다음에서 근무하던 시절, [[제주도]]의 승용차 수급 불균형을 직접 경험한 그는 [[카셰어링]] 서비스를 구상했다. 카셰어링업계 1위 쏘카의 김지만 대표가 회사를 창업한 것은 2011년이다. 이는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 기업금융(IB) 사업부에서 정보기술(IT) 분야의 투자 관련 업무를 하던 때였다. 차량을 30분 단위로 빌려 쓰는 카셰어링은 지금도 대중화돼 있다고 보기 어렵지만 당시엔 더 생소한 서비스였다. 김지만 대표는 2011년 쏘카를 창업하고 제주도에서 처음 쏘카 서비스를 선보였으며, 다음 재직시절 제주도에서의 생활이 바탕이 됐다고 한다. 창업을 위해 다음 창업가인 이재웅씨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했으며, 또한 현대차와의 협약을 통해 초창기 제주도에서는 쏘나타를 제일 먼저 사용했다. 차량공유 서비스가 익숙치 않았던 당시 서울 런칭(2012년)전까지는 사업이 매우 불안정했다.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쏘카를 성공시켜 쏘카가 매출 500억 원을 달성한 2015년, 그는 돌연 대표직을 사임하고 새로운 창업에 나선다.  
+
김지만은 1975년생이며,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출신이다, 그는 아홉 살 때부터 동네 신문 제작, 2년 뒤에는 [[출장세차]] 서비스로 사업을 시작했을 정도로 사업가 기질을 타고났다. [[LG오티스]]에서 일하다가 현 [[㈜카카오]]인 [[다음]](Daum) 경영기획본부에서 근무하였으며 현 [[NH증권]]인 [[우리투자증권]] 등 총 세 개의 일자리를 거쳐 쏘카 창업을 결심하였다. 그가 다음에서 근무하던 시절, [[제주도]]의 승용차 수급 불균형을 직접 경험한 그는 [[카셰어링]] 서비스를 구상했다. 카셰어링업계 1위 쏘카의 김지만 대표가 회사를 창업한 것은 2011년이다. 이는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 기업금융(IB) 사업부에서 정보기술(IT) 분야의 투자 관련 업무를 하던 때였다. 차량을 30분 단위로 빌려 쓰는 카셰어링은 지금도 대중화돼 있다고 보기 어렵지만 당시엔 더 생소한 서비스였다. 김지만 대표는 2011년 쏘카를 창업하고 제주도에서 처음 쏘카 서비스를 선보였으며, 다음 재직시절 제주도에서의 생활이 바탕이 됐다고 한다. 창업을 위해 다음 창업가인 이재웅씨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했으며, 또한 현대차와의 협약을 통해 초창기 제주도에서는 쏘나타를 제일 먼저 사용했다. 차량공유 서비스가 익숙치 않았던 당시 서울 런칭(2012년)전까지는 사업이 매우 불안정했다.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쏘카를 성공시켜 쏘카가 매출 500억 원을 달성한 2015년, 그는 돌연 대표직을 사임하고 새로운 창업에 나선다.  
  
 
쏘카를 성공시킨 김지만 대표는 2016년 쏘카를 떠나 [[풀러스]](Poolus)라는 [[스타트업]]을 창업했다. 그는 본래 목표로 했었던 [[P2P 카셰어링]]을 구현하고자 하는 목표를 위해 새로운 도전에 나선 것이다. 그는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로 지금의 쏘카를 만들어냈다. 풀러스 역시 모빌리티 서비스(카풀)을 제공한다. 김지만 대표가 꿈꾸는 궁극적인 모빌리티 서비스는 P2P 모빌리티 서비스이다. 그가 풀러스에서 선보일 카풀 서비스 역시 규제의 틈을 파고 든 일종의 P2P 모빌리티 서비스라는 점에서 그가 왜 쏘카를 떠나 새로운 스타트업을 차렸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물론 규제와 기존 택시업계의 반발 등 각종 장애물로 인해 쉽지 않을 것이며, 앞으로 그가 선보일 한국형 모빌리티의 발전과 변화가 기대된다. 김지만 대표가 가는 길이 한국형 모빌리티의 미래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ref>평범한 남자 , 〈[https://blog.naver.com/cayn18/221657040344 쏘카 창업자 김지만]〉, 《네이버 블로그》, 2019-09-23</ref><ref>창업지원단, 〈[https://blog.naver.com/skkustartup/222182980641 쏘카의 창업자 “김지만”]〉, 《네이버 블로그》, 2020-12-23</ref><ref>강현우 기자,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15082503341 비즈 라이프 김지만 쏘카 대표 개인끼리 자동차 대여·카풀 중개로 카셰어링 영역 넓히는 중]〉, 《한경닷컴》, 2015-08-25</ref>
 
쏘카를 성공시킨 김지만 대표는 2016년 쏘카를 떠나 [[풀러스]](Poolus)라는 [[스타트업]]을 창업했다. 그는 본래 목표로 했었던 [[P2P 카셰어링]]을 구현하고자 하는 목표를 위해 새로운 도전에 나선 것이다. 그는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로 지금의 쏘카를 만들어냈다. 풀러스 역시 모빌리티 서비스(카풀)을 제공한다. 김지만 대표가 꿈꾸는 궁극적인 모빌리티 서비스는 P2P 모빌리티 서비스이다. 그가 풀러스에서 선보일 카풀 서비스 역시 규제의 틈을 파고 든 일종의 P2P 모빌리티 서비스라는 점에서 그가 왜 쏘카를 떠나 새로운 스타트업을 차렸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물론 규제와 기존 택시업계의 반발 등 각종 장애물로 인해 쉽지 않을 것이며, 앞으로 그가 선보일 한국형 모빌리티의 발전과 변화가 기대된다. 김지만 대표가 가는 길이 한국형 모빌리티의 미래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ref>평범한 남자 , 〈[https://blog.naver.com/cayn18/221657040344 쏘카 창업자 김지만]〉, 《네이버 블로그》, 2019-09-23</ref><ref>창업지원단, 〈[https://blog.naver.com/skkustartup/222182980641 쏘카의 창업자 “김지만”]〉, 《네이버 블로그》, 2020-12-23</ref><ref>강현우 기자,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15082503341 비즈 라이프 김지만 쏘카 대표 개인끼리 자동차 대여·카풀 중개로 카셰어링 영역 넓히는 중]〉, 《한경닷컴》, 2015-08-25</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