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광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김호광.jpg|썸네일|300픽셀|'''김호광''']]
+
[[파일:김호광.PNG|썸네일|300픽셀|'''김호광''']]
[[파일:플레이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플레이코인]]'''(Playcoin)]]
 
[[파일:㈜게임허브 글자.png|썸네일|300픽셀|'''[[㈜게임허브]]'''(Gamehub)]]
 
  
'''김호광''' 또는 '''데니스 김'''(Dennis Kim)은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인 '''[[플레이코인]]'''(Playcoin)을 개발한 [[㈜게임허브]]<!--게임허브-->(Gamehub)의 대표이사(CEO)이다.
+
'''김호광''' 또는 '''데니스 김'''(Dennis Kim)은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서비스를 위한 암호화폐인 '''[[플레이코인]]'''(Playcoin)을 개발한 [[㈜게임허브]]<!--게임허브-->(Gamehub)의 대표이사이다.
  
 
==생애==
 
==생애==
김호광 대표는 초등학생 시절 컴퓨터를 처음 접한 이후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빠지게 되어 가톨릭대학교 컴퓨터 정보과학과 학사를 마친 후 [[LivePlex]], [[makeus]]와 같은 다양한 게임, 포털 회사에서 [[CTO]] 직책을 맡았다. 또한 개발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나는 프로그래머다’ [[팟캐스트]] 운영을 통해 개발자와 프로그래밍 분야를 독려하는 활동을 진행해 왔다. 이후 [[블록체인]] 기술과 [[비트코인]]을 접하게 된 후 [[지디넷]](ZDNet)에서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칼럼을 지속적으로 발행하고 있다. 2017년에는 평소 자신 있던 게임 산업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게임 [[플랫폼]] [[스타트업]]인 [[㈜게임허브]]를 설립하고 그해 11월 [[암호화폐]] 플레이코인(PlayCoin, PLY) 출시하였다.<ref>김지영, 〈[https://브런치.co.kr/@pubjinson/25 (접속)제가 한번 개발자를 만나 봤습니다.]〉, 《브런치》, 2016-05-09</ref>
+
김호광 대표는 초등학생 시절 컴퓨터를 처음 접한 이후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빠지게 되어 가톨릭대학교 컴퓨터 정보과학과 학사를 마친 후 [[LivePlex]], [[makeus]]와 같은 다양한 게임, 포털 회사에서 [[CTO]] 직책을 맡으면서 게임 개발 업계에서 많은 경험을 쌓았다. 또한 개발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나는 프로그래머다’ [[팟캐스트]] 운영을 통해 개발자와 프로그래밍 분야를 독려하는 활동을 진행해 왔다. 이후 [[블록체인]] 기술과 [[비트코인]]을 접하게 된 후 [[지디넷]](ZDNet)에서 비트코인과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칼럼을 지속적으로 발행하고 있다. 2017년에는 평소 자신 있던 게임 산업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게임 [[플랫폼]] [[스타트업]]인 [[㈜게임허브]]를 설립하고 그해 11월 [[암호화폐]] 플레이코인(PlayCoin, PLY) 출시하였다.<ref>김지영, 〈[https://brunch.co.kr/@pubjinson/25 (접속)제가 한번 개발자를 만나 봤습니다.]〉《brunch》, 2016-05-09</ref>
  
 
==약력==
 
==약력==
14번째 줄: 12번째 줄:
 
* 2011년 1월 ~ 2012년 1월 LivePlex CTO (Game portal security)
 
* 2011년 1월 ~ 2012년 1월 LivePlex CTO (Game portal security)
 
* 2013년 5월 ~ 2014년 5월 Nike Run the city for kakao 프로젝트 매니저
 
* 2013년 5월 ~ 2014년 5월 Nike Run the city for kakao 프로젝트 매니저
* 2014년 1월 ~ 현재 지디넷코리아 칼럼리스트
+
* 2014년 1월 ~ 현재 ZDNet Korea 칼럼리스트
 
* 2015년 3월 ~ 2017년 9월 팟캐스트 ‘나는 프로그래머다’ MC
 
* 2015년 3월 ~ 2017년 9월 팟캐스트 ‘나는 프로그래머다’ MC
 
* 2015년 5월 ~ 현재 makeus CTO (머신러닝 데이터 분석, E-Commerce platform 개발)
 
* 2015년 5월 ~ 현재 makeus CTO (머신러닝 데이터 분석, E-Commerce platform 개발)
 
* 2016년 4월 ~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MVP, 데이터센터 운영 MVP
 
* 2016년 4월 ~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MVP, 데이터센터 운영 MVP
 
* 2017년 3월 ~ 현재 ㈜게임허브 CEO
 
* 2017년 3월 ~ 현재 ㈜게임허브 CEO
* 2017년 11월 암호화폐 ‘플레이코인(PlayCoin, PLY) 출시<ref>Dennis kim, 〈[https://www.링크드인.com/in/testcode Dennis Kim Profile]〉, 《링크드인》</ref>
+
* 2017년 11월 암호화폐 ‘플레이코인(PlayCoin, PLY) 출시<ref>Dennis kim, 〈[https://www.linkedin.com/in/testcode Dennis Kim Profile]〉《Linkedin》</ref>
==주요 활동==
 
  
2015년 김호광 대표가 RPG게임을 운영하던 시절 동남아 국가에서 현금 40억원 규모의 게임머니와 아이템 해킹 사건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도난당한 게임머니와 아이템의 92%를 180분 만에 회수한 사례가 있었다. 이 사건은 게임 업계에서 종사하던 김호광 대표가 블록체인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계기가 되었다. 게임 산업에 종사하던 그는 게임 해킹 보안 분야를 연구했었는데 분산된 원장에 모든 거래를 기록하는 블록체인 기술이 게임 해킹 보안 분야에서 상당히 유용하다는 점을 체험한 후 블록체인 산업의 잠재력을 알게 되었다. 2011년에 자연스레 [[비트코인]]에 관심을 갖게 된 이후 평소 자신이 있던 게임 산업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게임 [[플랫폼]] 서비스 스타트업인 [[㈜게임허브]]을 설립하고 자사 [[암호화폐]]인 [[플레이코인]](PlayCoin, PLY)을 출시하였다. <ref name="김호광 대표 인터뷰“>박원익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02/2018100201759.html 블록人사이더) 플레이코인 김호광 대표 “게임 시장 독과점 해결…중국 시장 노크”]〉, 《조선비즈》, 2018-10-03</ref>
+
==계기==
 +
2015년 김호광 대표가 RPG게임을 운영하던 시절 동남아 국가에서 현금 40억원 규모의 게임머니와 아이템 해킹 사건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도난당한 게임머니와 아이템의 92%를 180분 만에 회수한 사례가 있었다. 이 사건은 게임 업계에서 종사하던 김호광 대표가 블록체인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계기가 되었다. 게임 산업에 종사하던 그는 게임 해킹 보안 분야를 연구했었는데 분산된 원장에 모든 거래를 기록하는 블록체인 기술이 게임 해킹 보안 분야에서 상당히 유용하다는 점을 체험한 후 블록체인 산업의 잠재력을 알게 되었다. 2011년에 자연스레 [[비트코인]]에 관심을 갖게 된 이후 평소 자신이 있던 게임 산업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게임 [[플랫폼]] 서비스 스타트업인 [[㈜게임허브]]을 설립하고 자사 [[암호화폐]]인 [[플레이코인]](PlayCoin, PLY)을 출시하였다. <ref name="김호광 대표 인터뷰“>박원익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02/2018100201759.html 블록人사이더) 플레이코인 김호광 대표 “게임 시장 독과점 해결…중국 시장 노크”]〉《ChosunBiz》, 2018-10-03</ref>
  
 +
==주요 활동==
  
 
===플레이코인===
 
===플레이코인===
김호광 대표는 2017년 3월 홍콩법인 [[㈜게임허브]]를 설립하였다. 플레이코인은 [[페이팔]]이나 [[카카오톡]] 간편 결제 서비스와 유사하게 기존 [[핀테크]] 결제에 [[블록체인]]을 결합한 것으로 게임 산업에 적합한 게임을 위한 결체 플랫폼이다. 게임 개발자, 미디어 회사, 게임 이용자가 더욱 공평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구입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플레이코인은 게임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마케팅 참여로 플레이코인을 얻고 플레이코인이 다시 게임 생태계로 돌아가는 선순환 구조를 지향하고 있다.<ref>임유경 기자, 〈[https://브런치.co.kr/@pubjinson/25 플레이코인으로 결제 가능한 플레이샵 오픈]〉, 《지디넷코리아》, 2018-08-14</ref>
+
김호광 대표는 2017년 3월 홍콩법인 [[㈜게임허브]]를 설립하였다. 플레이코인은 [[페이팔]]이나 [[카카오톡]] 간편 결제 서비스와 유사하게 기존 [[핀테크]] 결제에 [[블록체인]]을 결합한 것으로 게임 산업에 적합한 게임을 위한 결체 플랫폼이다. 게임 개발자, 미디어 회사, 게임 이용자가 더욱 공평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구입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플레이코인은 게임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마케팅 참여로 플레이코인을 얻고 플레이코인이 다시 게임 생태계로 돌아가는 선순환 구조를 지향하고 있다.<ref>임유경 기자, 〈[https://brunch.co.kr/@pubjinson/25 플레이코인으로 결제 가능한 플레이샵 오픈]〉《ZDNet Korea》, 2018-08-14</ref>
현재 플레이코인은 개발과 수익화에 주력화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카카오톡 선물하기와 유사한 생활 서비스업종 중심의 쿠폰샵 [[플레이샵]]을 오픈하여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플레이코인의 생태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f>최수영 기자, 〈[http://www.fintech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7 (인터뷰) 플레이코인 CEO 대니스 김 "블록체인 시장과 게임시장, 페이먼트 시장 접목 시킬 것"]〉, 《지디넷코리아》, 2018-10-10</ref>
+
현재 플레이코인은 개발과 수익화에 주력화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카카오톡 선물하기와 유사한 생활 서비스업종 중심의 쿠폰샵 [[플레이샵]]을 오픈하여 소비자가 일상생활에서 플레이코인의 생태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f>최수영 기자, 〈[http://www.fintech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7 (인터뷰) 플레이코인 CEO 대니스 김 "블록체인 시장과 게임시장, 페이먼트 시장 접목 시킬 것"]〉《ZDNet Korea》, 2018-10-10</ref>
또한 [[작업증명]] 채굴 방식이 아닌 [[소셜 마이닝]] 개념을 도입하여 개인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게임을 홍보하면 기여도를 따져 보상으로 [[플레이코인]]을 지급하고 있다. <ref name="김호광 대표 인터뷰“></ref>
+
또한 [[작업증명]] 채굴 방식이 아닌 [[소셜 마이닝]] 개념을 도입하여 개인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게임을 홍보하면 기여도를 따져 보상으로 [[플레이코인]]을 지급하고 있다. <ref name="김호광 대표 인터뷰“>박원익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02/2018100201759.html 블록人사이더) 플레이코인 김호광 대표 “게임 시장 독과점 해결…중국 시장 노크”]〉《ChosunBiz》, 2018-10-03</ref>
  
 
==향후 계획==
 
==향후 계획==
김호광 대표는 기존 게임 마케팅 시장이 갖는 자본 중심의 대기업 독과점 시장 구조를 [[플레이코인]]을 통해서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플레이코인 시스템을 통해서 작은 인디게임 회사도 비용과 수수료에 얽매이지 않고 쉽게 홍보할 수 있으며 정확한 마케팅 성과 지표와 데이터도 쉽게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플레이코인을 통해 게임 마케팅 시장에서 광고료를 줄이는 조건으로 사용자들이 직접 홍보하는 새로운 상생 구조를 만들고 [[블록체인]]을 통해 수익을 내고 상용화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추진 중이다.<ref>글로벌경제신문, 〈[http://cnews.getnews.co.kr/view.php?ud=93000 “중국·동남아 게임 수수료 천차만별…블록체인 통해 상생 추구"]〉, 《글로벌경제신문》, 2018-08-31</ref>
+
김호광 대표는 기존 게임 마케팅 시장이 갖는 자본 중심의 대기업 독과점 시장 구조를 [[플레이코인]]을 통해서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플레이코인 시스템을 통해서 작은 인디게임 회사도 비용과 수수료에 얽매이지 않고 쉽게 홍보할 수 있으며 정확한 마케팅 성과 지표와 데이터도 쉽게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플레이코인을 통해 게임 마케팅 시장에서 광고료를 줄이는 조건으로 사용자들이 직접 홍보하는 새로운 상생 구조를 만들고 [[블록체인]]을 통해 수익을 내고 상용화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추진 중이다.<ref>글로벌경제신문, 〈[http://cnews.getnews.co.kr/view.php?ud=93000 “중국·동남아 게임 수수료 천차만별…블록체인 통해 상생 추구"]〉《글로벌경제신문》, 2018-08-31</ref>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김호광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testcode/
+
* 김지영, 〈[https://brunch.co.kr/@pubjinson/25(접속)제가 한번 개발자를 만나 봤습니다.]〉《brunch》, 2016-05-09
* 김지영, 〈[https://브런치.co.kr/@pubjinson/25(접속)제가 한번 개발자를 만나 봤습니다.]〉, 《브런치》, 2016-05-09
+
* Dennis kim, 〈[https://www.linkedin.com/in/testcode Dennis Kim Profile]〉《Linkedin》</ref>
* 박원익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02/2018100201759.html(블록人사이더) 플레이코인 김호광 대표 “게임 시장 독과점 해결…중국 시장 노크”]〉, 《조선비즈》, 2018-10-03
+
* 박원익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02/2018100201759.html(블록人사이더) 플레이코인 김호광 대표 “게임 시장 독과점 해결…중국 시장 노크”]〉《ChosunBiz》, 2018-10-03
* 임유경 기자, 〈[https://브런치.co.kr/@pubjinson/25 플레이고인으로 결제 가능한 플레이샵 오픈]〉, 《지디넷코리아》, 2018-08-14
+
* 임유경 기자, 〈[https://brunch.co.kr/@pubjinson/25 플레이고인으로 결제 가능한 플레이샵 오픈]〉《ZDNet Korea》, 2018-08-14
* 최수영 기자, 〈[http://www.fintech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7 (인터뷰) 플레이코인 CEO 대니스 김 "블록체인 시장과 게임시장, 페이먼트 시장 접목 시킬 것"]〉, 《지디넷코리아》, 2018-10-10
+
* 최수영 기자, 〈[http://www.fintech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7 (인터뷰) 플레이코인 CEO 대니스 김 "블록체인 시장과 게임시장, 페이먼트 시장 접목 시킬 것"]〉《ZDNet Korea》, 2018-10-10
* 박원익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02/2018100201759.html (블록人사이더) 플레이코인 김호광 대표 “게임 시장 독과점 해결…중국 시장 노크”]〉, 《조선비즈》, 2018-10-03
+
* 박원익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02/2018100201759.html
* 글로벌경제신문, 〈[http://cnews.getnews.co.kr/view.php?ud=93000 “중국·동남아 게임 수수료 천차만별…블록체인 통해 상생 추구"]〉, 《글로벌경제신문》, 2018-08-31
+
(블록人사이더) 플레이코인 김호광 대표 “게임 시장 독과점 해결…중국 시장 노크”]〉《ChosunBiz》, 2018-10-03
 +
* 글로벌경제신문, 〈[http://cnews.getnews.co.kr/view.php?ud=93000 “중국·동남아 게임 수수료 천차만별…블록체인 통해 상생 추구"]〉《글로벌경제신문》, 2018-08-31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49번째 줄: 49번째 줄:
  
 
{{암호화폐 창시자|검토 필요}}
 
{{암호화폐 창시자|검토 필요}}
{{블록체인 개발업체 경영자}}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