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서스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넥서스 로고.png|썸네일|200픽셀|'''넥서스'''(NEXUS)]]
+
'''넥서스'''<!--넥서스코인, 넥서스토큰-->(NEXUS)는 안전한 기업용 네트워크를 만드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이다. [[API]]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에 통합될 수 있으며, 개인 [[데이터]] 관리 및 액세스 권한을 지원한다. 2014년 9월부터 설립자인 [[콜린 캔트렐]](Colin Cantrell)에 의해 개발되고 있으며 화폐 단위는 '''NXS'''이다.  
[[파일:넥서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넥서스'''(NEXUS)]]
 
 
 
[[파일:콜린 캔트렐.jpg|썸네일|200픽셀|'''[[콜린 캔트렐]]'''(Colin Cantrell)]]
 
 
 
'''넥서스'''<!--넥서스코인, 넥서스토큰-->(NEXUS)는 차세대 인터넷을 위한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와 스마트 계약, 금융상품 및 서비스 지원을 위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이다. [[API]]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에 통합될 수 있으며, 개인 [[데이터]] 관리 및 액세스 권한을 지원한다. 2014년 9월부터 설립자인 [[콜린 캔트렐]](Colin Cantrell)에 의해 개발되고 있으며 화폐 단위는 '''NXS'''이다.  
 
  
 
== 개요 ==
 
== 개요 ==
2014년에 출시된 넥서스는 차세대 인터넷을 위한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와 스마트 계약, 금융상품 및 서비스 지원을 위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이다. 넥서스는 디지털 통화, 분산 프레임워크, [[P2P]] 네트워크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양자 방지(PQC, Post-Quantum Cryptography) 3DC 블록체인 [[소프트웨어]]와 통신위성을 결합하여 무료 분산, [[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한다. 그리고 넥서스는 외부 공격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 3개의 채널을 사용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 [[작업증명]](PoW)만을 사용하지만 넥서스는 소수채널, 해싱채널, 스테이크 증거 채널을 결합하여 한 [[블록]] 공간에 증가하는 해시비율에 반응한다. 그 안에서 각 채널은 독립적으로 확장되어 안전성, 속도, [[트랜잭션]] 처리를 안전하게 수행하고 있다.
+
2014년에 출시된 넥서스는 기업용 네트워크를 위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이다. 넥서스는 디지털 통화, 분산 프레임 워크, [[P2P]] 네트워크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양자 방지 3D 블록체인 [[소프트웨어]]와 통신위성을 결합하여 무료 분산, [[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한다. 그리고 넥서스는 외부 공격으로부터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 3개의 채널을 사용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해 [[작업증명]](PoW)만을 사용하지만 넥서스는 소수채널, 해싱채널, 스테이크 증거 채널을 결합하여 한 [[블록]] 공간에 증가하는 해시비율에 반응한다. 그 안에서 각 채널은 독립적으로 확장되어 안전성, 속도, [[트랜잭션]] 처리를 안전하게 수행하고 있다.<ref>천군만마리, 〈[https://cafe.naver.com/mlbtheshow/124664 넥서스(NEXUS)코인]〉, 《네이버 카페》, 2018-07-02</ref> 2019년 6월 기준 [[코인마켓캡]]에서 넥서스의 시가총액은 약 270억원으로, 198위를 차지하고 있다.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 '''[[콜린 캔트렐]]'''(Colin Cantrell) : 콜린 캔트렐은 넥서스(NEXUS)의 설립자이며 동시에 [[소프트웨어]] 개발자, 엔지니어이다. 콜린 캔트렐(Colin Cantrell)<ref>Jim Cantrell, 〈[https://en.wikipedia.org/wiki/Jim_Cantrell]〉, Wikipedia</ref>의 아버지인 짐 캔트렐(Jim Cantrell)은 SpaceX와 Vector의 공동 설립자이며 그에 대한 영향으로 항공우주산업에서 성장한 그는 11살에 [[프로그래밍]]을 시작했고, 16살까지 로켓을 만드는 것을 도왔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관계를 결합하여 2014년에 넥서스가 탄생하였다. 그는 넥서스를 설립하기 위해 자원과 통신의 더 많은 분배를 촉진하기 위한 기술을 통합하였다. 그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람들이 서로 더 큰 연결을 구축하도록 돕기 위해 이러한 기술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다.
+
* '''[[콜린 캔트렐]]'''(Colin Cantrell) : 콜린 캔트렐은 넥서스(NEXUS)의 설립자이며 동시에 [[소프트웨어]] 개발자, 엔지니어이다. 항공우주산업에서 성장한 그는 11살에 [[프로그래밍]]을 시작했고, 16살까지 로켓을 만드는 것을 도왔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관계를 결합하여 2014년에 넥서스가 탄생하였다. 그는 넥서스를 설립하기 위해 자원과 통신의 더 많은 분배를 촉진하기 위한 기술을 통합하였다. 그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람들이 서로 더 큰 연결을 구축하도록 돕기 위해 이러한 기술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다.
  
 
== 특징 ==
 
== 특징 ==
=== 스마트 계약 ===
 
넥서스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s)은 NXS 코인, 토큰 및 자산교환에 사용할 수 있으며 작성된 코드의 지침대로 자동 실행된다. 넥서스 스마트 계약 엔진의 핵심은 64비트 레지스터 기반 가상 머신(64 bit register-based virtual machine)으로 개발자는 새로운 코드를 배울 필요 없이 넥서스의 API를 통해 다양한 기능에 직접적으로 접근 할 수도 있으며 인코딩 또한 가능하다. 원시 연산(Primitive Operations)은 16개의 기본 연산과  54개의 조건부 연산 기능이 있으며 기본 연산은 WRITE, DEBIT, TRANSFER, APPEND 등과 같이 레지스터 작업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서명 체인 ===
 
기존의 블록체인은 공개키/개인키를 필히 사용자가 관리 및 보존하여야 하지만 넥서스의 서명 체인(Signature Chains)은 탈 중앙화된 로그인 시스템을 이용해 키 관리를 자동화 한다. 이로 인해 유저ID,비밀번호 및 PIN을 통해 어느 넥서스 지갑이라도 자유롭게 로그인 할 수 있다. 유저의 데이터는 넥서스 블록체인의 '수학적 초공간(mathematical hyperspace)'이라는 가상의 공간에 저장되며 서명 체인은 유저 데이터에서 개인 키를 분리하고 개인 키의 재사용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고 메타마스크(MetaMask)와 같은 타사 계정관련 플러그인에 자주 의존하는 디앱(DApp)을 사용할 때 키 관리의 부담을 덜어준다.
 
 
=== 인공위성 블록체인 운영체제 ===
 
넥서스 운영체제(OS)인 LX-OS(NexOS)는 최초의 인공위성 블록체인 운영체제이다. Web 3.0 또는 DWeb(Decentralized Web)은 차세대 인터넷으로써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로 연결되는 위성 기반 운영체제(LX-OS)와 통신 프로토콜(Nexus protocol)에 의해 구동된다. 토큰화 된 마이크로 위성(Tokenized Micro-satellite Constellations) 네트워크는 인터넷 인프라의 백본(Backbone)이 되어 비중앙 집중식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가 된다. 위성의 토큰화는 토큰 소유자가 인터넷의 물리적 인프라의 일부를 소유하고 자산을 구축하고 분산 된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한다.<ref>Building a Decentralized and Uncensorable Internet,〈[https://news.bitcoin.com/building-a-decentralized-and-uncensorable-internet-the-nexus-protocol/ The Nexus Protocol]〉, 《news.bitcoin.com》, 2021-01-18</ref>
 
* 넥서스 운영체제와 프로토콜의 LLL(Lower Level Library)은 C++로 작성되어 소프트웨어 스택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암호화와 프로토콜 템플릿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기본 템플릿은 더 높은 수준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상속되어 진다.<ref>NexOS,〈[https://www.publish0x.com/nexus-blockchain-technical-articles/nexos-the-nexus-operating-system-a-bastion-for-the-internet-xkygjrv/ The Nexus Operating System - A Bas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Beyond - Part II]〉, 《publish0x》, 2020-12-07</ref>
 
* 서명체인(SigChains)과 블록체인 원장을 활용하여 파일 시스템, 런타임 메모리/바이너리 검증(Runtime memory and binary verification) 및 커널 상태 변경 사항을 인증하고 머클 트리를 통한 파일 무결성(File integrity via merkle trees)을 내장하였다.<ref>NexOS,〈[https://www.publish0x.com/nexus-blockchain-technical-articles/nexos-the-nexus-operating-system-a-bastion-for-the-internet-xdrowrl/ The Nexus Operating System - A Bas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Beyond]〉, 《publish0x》, 2020-11-25</ref>
 
 
=== 3DC 블록체인 ===
 
넥서스는 최초의 3차원 블록체인 시스템을 갖고 있다. 이 시스템은 미래 프로젝트에 대해 탄탄한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구축된 블록체인 [[프로토콜]]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넥서스는 3가지 [[컨센서스]]를 구현하여 블록체인을 3차원 체인이라는 3D 프로세스로 변환한다. 그리고 [[트랜잭션]] 볼륨에 적응하여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한 트러스트를 활용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트랜잭션에 가중치를 줌으로써 3DC는 분산을 증가시키고 영향력을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3DC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연산 요구를 충족하도록 확장되며, 이에 따라 더 많은 [[노드]]가 시스템의 네트워크 속도를 증가시킨다.
 
 
* 자급 자족 채굴 : 3DC 프레임워크는 체인을 검증하고 트랜잭션 체인에 고정시키는 소수채널, 해싱채널, 스테이크 증거 채널을 사용하여 분산을 극대화한다. 각 채널은 서로 다른 컨센서스 모델을 사용하도록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채굴 중앙화가 네트워크 오류를 감소시킨다.
 
* [[온체인]] 스케일링 : 3D 블록체인은 자원이 증가함에 따라 트랜잭션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시너지 효과가 있는 채널에 트랜잭션 처리를 분배하여 체인 확장성을 제공한다.
 
* 블록 분할 : 넥서스의 LLD(Low Level Database)는 3D 블록체인 구조 하위 집합을 위해 노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LLD 노드를 통해 전체 3D 블록체인을 모을 수 있는 동적 데이터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ref>고당도오렌지, 〈[https://blog.naver.com/gameteam1/221288333195 넥서스(Nexus/NXS)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05-31</ref>
 
 
 
===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
 
===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
하이브리드(Hybrid)는 새로운 것을 만들기 위해 두 개의 다른 요소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넥서스의 하이브리드 기술은 퍼블릭 블록체인(공공 블록체인, Public BlockChain Network)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사유 블록체인, Private BlockChain Network)의 특성을 결합하여 하이브리드 모드에서 퍼블릭 블록체인은 보안성과 분산성을 담당하고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특정 정보 격리 및 자율성을 강화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터넷]][[퍼블릭 블록체인]], [[인트라넷]]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비견될 수 있기에 이러한 시스템의 조합으로 탄생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은 기업 조직에 유용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
하이브리드(Hybrid)는 새로운 것을 만들기 위해 두 개의 다른 요소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넥서스의 하이브리드 기술은 공공 시스템과 개인 시스템의 특성을 결합하여 엔터프라이즈급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이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더 높은 수준의 불변성, 접근 제어 체계 사용자 정의 유효성 알고리즘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넥서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넥서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65번째 줄: 42번째 줄:
 
넥서스는 기존 애플리케이션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맞춤형 프라이빗 [[API]]와 퍼블릭 API를 통해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개발자가 원하는 언어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퍼블릭 API는 [[HTTP]]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양식 인코딩이나 [[JSON]]을 이용하여 [[GET]] 또는 [[POST]]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C++]], [[C#]], [[자바]], [[파이썬]](Python), [[자바스크립트]] 등 광범위한 언어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오픈소스 기술로 이용 가능한 현재 [[SDK]]는 [[파이썬]]으로 작성되어 있다.
 
넥서스는 기존 애플리케이션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맞춤형 프라이빗 [[API]]와 퍼블릭 API를 통해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개발자가 원하는 언어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퍼블릭 API는 [[HTTP]]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양식 인코딩이나 [[JSON]]을 이용하여 [[GET]] 또는 [[POST]]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C++]], [[C#]], [[자바]], [[파이썬]](Python), [[자바스크립트]] 등 광범위한 언어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오픈소스 기술로 이용 가능한 현재 [[SDK]]는 [[파이썬]]으로 작성되어 있다.
  
=== 소프트웨어 스택 ===
+
== 로드맵 ==
넥서스 [[소프트웨어]] [[스택]]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과 상호 작용하여 블록체인 아키텍처 내에서 전문화된 목적을 제공하는 추가 계층을 제공한다.
 
 
 
소프트웨어 스택은 다음과 같은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인터페이스]] :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공간이며, AR/VR에서 모바일 인터페이스에 이르는 다양한 기술을 수반할 수 있다. 넥서스의 공식 인터페이스 계층은 개발자들이 그들의 모듈과 어플리케이션을 지갑의 확장으로서 기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 논리 : 논리층은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를 형성하는 개발자 애플리케이션 공간의 첫 번째 계층이다. 이 계층은 그 아래의 API와 직접 상호 작용하며, 블록체인으로의 직접 접근에 의존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한다. 미래에는 이 계층이 [[인공지능]] 시스템에 의해 운영될 것이라고 가정한다.
 
* [[API]] : 넥서스 [[스마트 계약]]은 API를 통해 접근할 수 있어 프로그래머들이 튜링-완성 언어를 사용하는 대신 기존 애플리케이션과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넥서스 퍼블릭 API는 [[HTTP]]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폼 인코딩이나 [[JSON]]을 이용하여 [[GET]]이나 [[POST]]로 동작하며, [[파이썬]]의 [[SDK]]를 이용할 수 있다.
 
* 운영 :  운영은 레지스터에 작용하며, 더 복잡한 계약 논리를 정의한다. 채무와 신용과 같은 표현과 양 당사자 간에 계약으로 존재하는 조건부 진술 등이 해당된다. 넥서스의 스마트 계약 기능 대부분은 작동과 레지스터의 상호 작용에서 비롯되며, 이는 원장을 통해 불변하게 된다.
 
* [[레지스터]] : 레지스터 층은 [[애플리케이션]]이 그들의 상태와 디지털 자산과 같은 객체를 기록하여 데이터 관리 유틸리티를 원장에게 제공하는 공간이다. 또한 이 계층에는 다른 스마트 계약 아키텍처와 크게 다른 64비트 레지스터 기반 가상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
 
* [[레저]] : 레저는 해싱, 디지털 서명, 합의 프로토콜과 같은 암호 원본을 사용하여 당사자 간의 권리와 소유권을 관리한다. 사용자 레벨 상태의 시그니처 체인과 글로벌 상태를 위한 3차원 체인(3DC)의 아키텍처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후자는 TAO 프레임워크를 통해 개발 중에 있다.
 
* [[네트워크]] : 네트워크는 노드 간 엔드투엔드 통신을 담당하며, 원장의 기반을 형성한다. 어떤 스케일링 솔루션은 네트워크가 메시지를 전파하는 방법을 다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넥서스는 암호화를 통한 IP 어드레싱 제어가 가능한 네트워크에 [[IPv6]] 기능을 제공하는 오버레이를 통합했다.
 
  
=== NXS 코인 ===
+
== 논란 ==
넥서스 통화인 NXS는 은행이나 제3자 중개인 필요없이 신속하고 저렴한 국경 없는 안전한 거래를 제공하는 [[P2P]] [[암호화폐]]이다. 사용자는 개인적으로 NXS와 넥서스 월렛을 소유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들은 중앙 당국의 소유나 지배를 받지 않는다. 이는 계좌에 들어 있는 돈이 계좌 보유자가 아닌 은행의 법적 재산인 개인 은행과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NXS는 [[제로코인]]으로 생산되는 [[ICO]]을 통한 코인 발행과는 매우 다르다. 대신 NXS를 만드는 과정에는 [[비트코인]]과 비슷한 [[채굴]]이 필요하며, 이는 개별 코인을 만드는 데 필요한 물리적 자원이 뒷받침하는 통화에 기초가치를 부여한다.
 
  
* 보안 : 포스트-퀸텀(Post-Quantum) 암호화폐로 보안을 유지하고 있다.
+
== 주요 투자자 ==
* 속도 : 50초를 기록하고 있다.
 
* 거래 비용 : 킬로바이트당 0.01 NXS이 발생한다.
 
* 리워드 : NXS 보유 연간 수익 0.5% ~ 3.0%을 리워드로 제공한다.
 
 
 
=== 코인 이코노미 ===
 
NXS의 발행은 중앙은행이나 정부와는 무관하며, 공급은 수리적 계산에 의해 규제된다. NXS은 코인 분배와 관련된 부채나 이자가 없다. 채굴자와 지분(Stake) 소유자 모두 에너지, 하드웨어, 시간과 같은 넥서스 생태계에 실질적인 자원이나 자본을 기부한다. 그 대가로, 그들은 새로 만들어진 NXS를 받는다. 채굴자들과 지분 소유자들에게 주는 보상을 정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너무 낮고 보상은 노드의 채굴과 지분을 장려하기에 충분치 않다. 또한, 너무 높은 양의 공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화 가치를 잠식할 수 있다.
 
 
 
==== 초기 분포 ====
 
2019년 1월 26일 총 공급량은 2024년 9월 목표인 7800만 NXS의 78%이며, 현재 NXS 공급 증가율은 연 1.20184%이다. 2024년 9월 이후에도 NXS 공급 증가율은 연간 최대 3%로 계속 유지된다. 이 모델은 세계 금 총 공급량의 연간 증가율과 유사한 NXS 공급의 연간 성장률을 산출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 연간 인플레이션 ====
 
두 가지 [[작업증명]] 채널이 결합되면 2024년 이후 분당 최대 1NXS의 공급이 증가하여 연간 52만5000NXS가 생성된다. 그리고 작업증명 채널은 연간 최대 3.0%의 NXS 공급을 증가시킬 것이다. 또한, 전체 NXS 공급량을 최대 스테이크 속도로 고정할 때에만 3.0%의 비율을 실현할 수 있으며, 현재 최대 지분 비율은 3.0 %의 수익률을 올리기에 충분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1년이 소요된다. NXS를 발행할 때, 그와 관련된 부채나 이자가 전혀 없다. 이는 사람들이 은행에 갚아야 하는 [[법정화폐]]의 신규 대출과는 정반대 개념이다.
 
 
 
==== 수수료 모델 ====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와 달리, NXS의 거래 수수료는 소진되고, 이용 가능한 NXS의 공급에서 제거된다. 그 결과, 거래당 평균 0.01NXS로 충분한 거래량을 확보하면 채굴 및 보상으로 인한 NXS 공급의 증가를 제거할 수 있다. 공급의 새로운 성장은 NXS를 중심으로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소진된 거래 수수료는 공급 부족을 유지한다. 2024년 이후의 거래량이 초당 9건을 초과할 경우, NXS의 공급은 증가하지 않는데, 이는 연소된 총 수수료 금액이 해당 연도에 생산된 총 NXS와 같기 때문이다.
 
 
 
=== 토큰 이코노미 ===
 
넥서스는 기본 통화인 NXS뿐만 아니라 NXS를 이용한 여러 가지의 토큰을 만들 수도 있다. 토큰은 넓은 의미에서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 존재하는 화폐인데 통화(currency) 기능뿐만 아니라 권리/지식 재산권/로열티 프로그램/게임 화폐/DAO 의결권 등 여러 활용 용도를 가진다. 넥서스는 토큰 정의에서 계약 규칙을 분리하여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명령어를 이용해 토큰을 생성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 layer)를 통해 직접 프로그래밍하여 복잡한 규칙을 가지는 토큰 역시 생성 가능하다.
 
 
 
==== 인공위성 토큰 ====
 
위성 네트워크에 속한 각각의 위성은 넥서스에서 생성된 토큰으로 소유권 및 투표권에 대한 지분을 가질 수 있다. 위성에서 생성된 수익은 토큰 소유자에게 자동으로 할당되며 채굴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장려하고 해당 블록체인 코인으로서 이익을 보상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인공위성을 배포하는 주체에게 직접적인 토큰 이익이 제공된다.
 
 
 
==== FT(대체 가능 토큰) ====
 
NXS는 암호 화폐로 정의 되지만 NXS를 이용하면 다양한 대체 가능한 토큰(FT, Fungible Token)을 생성할 수 있다. 넥서스에서 생성된 토큰은 어떠한 목적에 부합하는 디지털 화폐와 같은 통화뿐만 아니라 귀금속을 포함한 자산 기반 제품, AML(Anti-Money Laundering)를 포함한 소액 금융, 어떠한 조직이나 회사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권과 그에 따른 자동 배당금 지급, 금융 및 보험 계약생성, 크라우드 펀딩 및 기부 자선 활동 등 여러 형태의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 NFT(대체 불가능 토큰) ====
 
넥서스의 NFT(Non-Fungible Token)는 자산(Assets/Tokenizing Asset)으로 식별되며 넥서스 데스크탑 지갑에서 1NXS의 수수료를 지불하고 자산을 생성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NFT에는 하이브리드 모드 요금이 부과된다. 이 자산은 디지털 아트(Digital Art), 수집품(Collectibles), 게임 아이템, 저작권, 메타버스 공간(Digital Land, Metaverse space)등 으로 활용되며 비문가도 간단히 생성할 수 있고 자산을 다른 계정으로 이전하는 것도 가능하다.<ref>Nexus.io Blockchain,〈[https://www.publish0x.com/nexusio-blockchain-introductory-articles/nfts-on-nexus-xykxdjj/ NFTs on Nexus]〉, 《publish0x》, 2021-04-15</ref>
 
  
 
== 상장된 거래소 ==
 
== 상장된 거래소 ==
* [[바이낸스]](Binance) : 넥서스는 바이낸스에 상장되어 있다. 바이낸스는 아시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거래소이며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현재 바이낸스는 전 세계 Top3에 드는 거래량을 차지하고 있다.
 
* [[비트렉스]](Bittrex) : 넥서스는 비트렉스에 상장되어 있으며 비트렉스는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안정적인 서버 운영과 여권 인증이 빨라 좋은 평을 받고 있다. 또한 신속한 고객응대를 제공하고, 공식 블로그 등을 활용하여 고객과의 소통을 활발히 하고 있는 거래소이다.
 
  
 
== 제휴 ==
 
== 제휴 ==
122번째 줄: 59번째 줄:
 
=== LISP ===
 
=== LISP ===
 
2019년 3월 19일 넥서스는 넥서스 블록체인을 보안 오픈 오버레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LISP]](Locator Identity Seplement Protocol)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제휴를 발표했다. LISP는 식별자가 있는 패킷을 토폴로지 로케이터가 있는 패킷으로 캡슐화함으로써 인터넷 확장을 돕고 오늘날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전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인터넷은 식별자가 아닌 위치에 따라 패킷을 [[라우팅]]할 수 있으며, 라우팅 상태를 적게 유지함으로써 패킷을 확장할 수 있다. 넥서스는 LISP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여행 할 때 모든 데이터 패킷을 암호화 할 수 있다. 또한 LISP가 정보를 이동하기 위한 직접 경로를 제공할 때 정보 전송 중에 도청 장치가 없어 거래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된다. LISP는 기본적으로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수준의 보안을 넥서스에 제공하고 있다. 또한 LISP는 전체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IPv6]]를 통해 블록 체인을 실행한다. 넥서스는 LISP가 [[IPv4]] 언더 레이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IPv6]] 오버레이에서 실행된다.
 
2019년 3월 19일 넥서스는 넥서스 블록체인을 보안 오픈 오버레이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LISP]](Locator Identity Seplement Protocol)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제휴를 발표했다. LISP는 식별자가 있는 패킷을 토폴로지 로케이터가 있는 패킷으로 캡슐화함으로써 인터넷 확장을 돕고 오늘날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전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인터넷은 식별자가 아닌 위치에 따라 패킷을 [[라우팅]]할 수 있으며, 라우팅 상태를 적게 유지함으로써 패킷을 확장할 수 있다. 넥서스는 LISP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여행 할 때 모든 데이터 패킷을 암호화 할 수 있다. 또한 LISP가 정보를 이동하기 위한 직접 경로를 제공할 때 정보 전송 중에 도청 장치가 없어 거래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된다. LISP는 기본적으로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수준의 보안을 넥서스에 제공하고 있다. 또한 LISP는 전체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IPv6]]를 통해 블록 체인을 실행한다. 넥서스는 LISP가 [[IPv4]] 언더 레이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IPv6]] 오버레이에서 실행된다.
 +
 +
== 전망 ==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넥서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nexus.io/
+
* 넥서스 공식 홈페이지 - https://nexusearth.com/
* 넥서스 프로토콜, 트리튬 트러스트, 트리튬 로드맵 - https://tech.nexus.io/whitepapers
 
 
* 콜린 캔트렐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colin-cantrell-7b22b6118/
 
* 콜린 캔트렐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colin-cantrell-7b22b6118/
* 천군만마리, 〈[https://cafe.naver.com/mlbtheshow/124664 넥서스(NEXUS)코인]〉, 《네이버 카페》, 2018-07-02
 
* 고당도오렌지, 〈[https://blog.naver.com/gameteam1/221288333195 넥서스(Nexus/NXS)코인]〉, 《네이버 블로그》, 2018-05-31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138번째 줄: 74번째 줄:
 
* [[클라우드]]
 
* [[클라우드]]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로고 필요}}
 +
{{암호화폐 종류|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