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마블㈜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넷마블㈜ 로고.png|썸네일|200픽셀|'''넷마블㈜'''(Netmarble)]]
+
[[파일:넷마블㈜ 로고.png|썸네일|200픽셀|'''넷마블㈜'''(Netmarble) 로고]]
[[파일:넷마블㈜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넷마블㈜'''(Netmarble)]]
+
[[파일:넷마블㈜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넷마블㈜'''(Netmarble) 로고와 글자]]
  
 
'''넷마블㈜'''<!--넷마블-->(Netmarble)는 한국의 [[PC]] 및 [[모바일]] [[게임]] 회사이다. 44개의 계열회사가 존재하며, 자회사가 개발한 게임을 [[퍼블리싱]]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넷마블㈜'''<!--넷마블-->(Netmarble)는 한국의 [[PC]] 및 [[모바일]] [[게임]] 회사이다. 44개의 계열회사가 존재하며, 자회사가 개발한 게임을 [[퍼블리싱]]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20번째 줄: 20번째 줄:
 
* 2003년 : [[㈜플레너스]] 인수 및 상호 변경, (최초의 모회사 역 M&A) 대한민국 게임대상 <[[야채부락리]]> 2개 부문 수상 (교육용 게임 부문)
 
* 2003년 : [[㈜플레너스]] 인수 및 상호 변경, (최초의 모회사 역 M&A) 대한민국 게임대상 <[[야채부락리]]> 2개 부문 수상 (교육용 게임 부문)
 
* 2004년 : CJ그룹으로 편입되면서 상호를 CJ인터넷(주)으로 변경
 
* 2004년 : CJ그룹으로 편입되면서 상호를 CJ인터넷(주)으로 변경
* 2005년 : 국내 최초의 3D 모바일 게임 서비스 KTF 지팡(GPANG) 출시, 올해의 인터넷 기업 대상(정보통신부 장관상) (한국인터넷기업협회)
+
* 2005년 : 국내 최초의 3D 모바일 게임 서비스 KTF 지팡(GPANG) 출시
 
* 2006년 : [[서든어택]] 동시접속자 25만명, 넷마블 동시접속자 43만 명 돌파
 
* 2006년 : [[서든어택]] 동시접속자 25만명, 넷마블 동시접속자 43만 명 돌파
* 2007년 : 대한민국 게임대상 '쿵야 어드벤처' 3개 부문 수상 (온라인게임부문 우수상 등)
 
 
* 2008년 : 국가 고객 만족도 웹보드게임 부문 2년 연속 1위 수상, 서든어택 국내 PC온라인게임 사상 최장기 1위 달성 (게임트릭스 106주 연속 1위)
 
* 2008년 : 국가 고객 만족도 웹보드게임 부문 2년 연속 1위 수상, 서든어택 국내 PC온라인게임 사상 최장기 1위 달성 (게임트릭스 106주 연속 1위)
 
* 2009년 : 국내 프로야구 공식 스폰서 <2009-2010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 2009년 : 국내 프로야구 공식 스폰서 <2009-2010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31번째 줄: 30번째 줄:
 
* 2014년 : 넷마블 모바일게임 1억 다운로드 돌파, [[씨제이이앤엠㈜]]의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하여 씨제이넷마블㈜를 설립, 씨제이넷마블㈜를 합병 후 넷마블게임즈㈜로 회사명을 변경
 
* 2014년 : 넷마블 모바일게임 1억 다운로드 돌파, [[씨제이이앤엠㈜]]의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하여 씨제이넷마블㈜를 설립, 씨제이넷마블㈜를 합병 후 넷마블게임즈㈜로 회사명을 변경
 
* 2015년 : [[레이븐]] 매출 순위 1위 기록,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레이븐 대한민국 게임대상 수상(6관왕)
 
* 2015년 : [[레이븐]] 매출 순위 1위 기록,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레이븐 대한민국 게임대상 수상(6관왕)
* 2016년 : 세븐나이츠, 한국 모바일게임 사상 최초 일본 매출 TOP3 진입, 태국 최대 게임쇼 ‘TGS&빅페스티벌’ 2016’, ‘올해의 모바일 게임’ 수상
+
* 2016년 : 세븐나이츠, 한국 모바일게임 사상 최초 일본 매출 TOP3 진입
* 2017년 : ‘[[리니지2:레볼루션]]’ 일본 앱스토어 최고매출 1위 달성, 리니지2 레볼루션, 6개국서 구글플레이 ‘2017 올해의 베스트 게임’ 선정
+
* 2017년 : ‘[[리니지2:레볼루션]]’ 일본 앱스토어 최고매출 1위 달성
* 2018년 : 모바일 [[MMORPG]] '[[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 국내 정식 출시, '채널 넷마블', 2017 대한민국 블로그 어워드 BEST 콘텐츠상 최우수상 수상
+
* 2018년 : 모바일 [[MMORPG]] '[[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 국내 정식 출시
 
* 2019년 : '일곱 개의 대죄:그랜드 크로스' 한국, 일본 양대 마켓 매출 톱 5 입성, '마블 올스타 배틀' 북미 애플 앱스토어 매출 1위 등극
 
* 2019년 : '일곱 개의 대죄:그랜드 크로스' 한국, 일본 양대 마켓 매출 톱 5 입성, '마블 올스타 배틀' 북미 애플 앱스토어 매출 1위 등극
  
70번째 줄: 69번째 줄:
  
 
2004년 넷마블은 캐릭터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된다.
 
2004년 넷마블은 캐릭터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된다.
이 시기에는 캐주얼게임 '야채부락리'의 캐릭터 '쿵야'를 새롭기 디자인하여 제품을 출시하였다.<ref>한영일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0042730 넷마블 캐릭터시장 본격 진출]〉, 《서울경제》, 2004-07-08</ref> 2013년에는 기존 브랜드아이덴티티(BI)를 전면 개편해서 친근한 이미지의 아기공룡 캐릭터를 활용해서 선보였다.<ref>권영전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01&aid=0006348175 넷마블 캐릭터형 새BI 공개]〉, 《연합뉴스》, 2013-07-02</ref> 그리고 2016년 그 성과가 드러나는데 모바일 [[RPG]] '세븐나이츠' 아트북을 8000부 판매하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그 외에 '모두의 마블', '몬스터 길들이기' 등 다른 게임들도 '모두의 마블'은 현실에서 직접 하는 [[보드게임]] 상품, '몬스터 길들이기'는 캐릭터 카드와 컬러 만화책을 출시해서 큰 인기를 끌게 됬다.<ref> 서진욱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6022412583922992&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넷마블 캐릭터 잘나가는 이유?…'맞춤형'으로 승부수]〉, 《머니투데이》, 2016-03-06</ref> 그리고 2018년에는 여러 넷마블 게임 상품을 비롯해서 넷마블 대표 캐릭터로 구성된 넷마블프렌즈 상품들을 판매하는 넷마블스토어를 오픈하게 된다. 그 뒤로 계속 오프라인 스토어를 확장 이전하면서도 온라인 매장을 신설하면서 캐릭터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이 시기에는 캐주얼게임 '야채부락리'의 캐릭터 '쿵야'를 새롭기 디자인하여 제품을 출시하였다.<ref>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0042730 넷마블 캐릭터시장 본격 진출]〉, 《서울경제》, 2004-07-08</ref> 2013년에는 기존 브랜드아이덴티티(BI)를 전면 개편해서 친근한 이미지의 아기공룡 캐릭터를 활용해서 선보였다.<ref>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01&aid=0006348175 넷마블 캐릭터형 새BI 공개]〉, 《연합뉴스》, 2013-07-02</ref> 그리고 2016년 그 성과가 드러나는데 모바일 [[RPG]] '세븐나이츠' 아트북을 8000부 판매하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그 외에 '모두의 마블', '몬스터 길들이기' 등 다른 게임들도 '모두의 마블'은 현실에서 직접 하는 [[보드게임]] 상품, '몬스터 길들이기'는 캐릭터 카드와 컬러 만화책을 출시해서 큰 인기를 끌게 됬다.<ref> 서진욱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6022412583922992&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넷마블 캐릭터 잘나가는 이유?…'맞춤형'으로 승부수]〉, 《머니투데이》, 2016-03-06</ref> 그리고 2018년에는 여러 넷마블 게임 상품을 비롯해서 넷마블 대표 캐릭터로 구성된 넷마블프렌즈 상품들을 판매하는 넷마블스토어를 오픈하게 된다. 그 뒤로 계속 오프라인 스토어를 확장 이전하면서도 온라인 매장을 신설하면서 캐릭터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인공지능(AI) 사업 ===
 
 
 
2019년 현재 넷마블 산발적으로 운영되던 AI 프로젝트를 한 데 모아 지난해 AI센터인 NARC로 통합했다. 넷마블은 이후 전문 인력 규모를 지난해 대비 70% 이상 늘렸다. AI 기술 도입 인프라 확충을 위해 [[구글]], [[아마존웹서비스]]와도 손잡았다. 벤처 캐피털을 통해 유망 스타트업에도 투자할 계획이다. 넷마블은 다른 경쟁사에 비해 사업 진입 시기가 늦은 만큼 더욱 공격적으로 투자한다는 방침이다.<ref> 김지영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071912150376690 엔씨·넥슨·넷마블, AI 투자 어디까지 왔나]〉, 《머니투데이》, 2019-07-22</ref>
 
현재 넷마블은 ‘리니지2:레볼루션’, ‘블레이드 앤 소울:레볼루션’, ‘마블 퓨처 파이트’에 [[개인 맞춤형 AI 서비스 기술]](콜롬버스 프로젝트)을 적용하고 있고, 하반기에 출시할 ‘세븐나이츠2’, ‘스톤에이지M’ 등에는 [[음성 명령 인식 기술]](마젤란 프로젝트)을 적용할 예정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AI]]가 게임에서 주도적인 플레이어 역할을 하는 ‘AI 게임’도 현재 개발 중에 있다.<ref>윤아름 기자, 〈[http://www.ceoscoredaily.com/news/article.html?no=58386 ‘AI 후발 주자’ 넷마블, 매년 연구비용 늘리며 넷마블 3.0 가속화]〉, 《CED스코어데일리》, 2019-07-25</ref>
 
 
 
=== 종합 엔터테인먼트 사업 ===
 
 
 
넷마블은 음악, 영화, 드라마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투자하면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넷마블은 K 팝의 새로운 열풍을 불러일으킨 [[방탄소년단]](BTS)와 손을 잡았다.
 
방탄소년단(BTS)는 미국 빌보드 200 1위를 무려 세 차례나 기록한 그룹이다. 넷마블은 '제4회 NTP'에서 방탄소년단(BTS)의 영상과 화보를 활용한 실사형 시네마틱 게임 'BTS 월드'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ref> 이주환 기자,〈[http://www.the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051 종합 엔터로 눈돌리는 게임업계]〉, 《더게임스》, 2019-07-10</ref>그리고 2019년 6월 26일 'BTS 월드'가 출시되었다. 'BTS 월드'는 게임에서만 접할 수 있는 단독 영상과 음성을 콘텐츠로 넣은 점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나, 과금유도가 심하다는 점과 단조롭고 개연성 없는 스토리가 지적을 받고 있다.
 
  
 
== 로드맵 ==
 
== 로드맵 ==
87번째 줄: 76번째 줄:
  
 
== 자회사 ==
 
== 자회사 ==
2019년 07월 기준 넷마블컴퍼니 공식 회사소개에 소개된 회사들을 나열하였다.
+
 
 +
*2019년 07월 기준 넷마블컴퍼니 공식 회사소개에 소개된 회사들을 나열하였다.
 +
 
 
=== 국내 개발사 ===
 
=== 국내 개발사 ===
  
116번째 줄: 107번째 줄:
 
== 서비스하는 게임(PC) ==
 
== 서비스하는 게임(PC) ==
  
===RPG===
+
=== RPG ===
 +
 
 
* 대항해시대 온라인
 
* 대항해시대 온라인
 
* 야채부락리
 
* 야채부락리
122번째 줄: 114번째 줄:
  
 
=== 액션 ===
 
=== 액션 ===
 +
 
* 클럽엠스타
 
* 클럽엠스타
  
 
=== 스포츠/FPS/TPS ===
 
=== 스포츠/FPS/TPS ===
 +
 
* 마구마구
 
* 마구마구
 
* 스페셜 포스 2
 
* 스페셜 포스 2
130번째 줄: 124번째 줄:
 
* 당구/포켓볼
 
* 당구/포켓볼
  
===보드게임/캐주얼===
+
=== 보드/캐주얼 ===
 +
 
 
* 넷마블 바둑
 
* 넷마블 바둑
 
* 모두의 마블
 
* 모두의 마블
147번째 줄: 142번째 줄:
 
* 리치마블
 
* 리치마블
  
===포커류 ===
+
=== 포커류 ===
 +
 
 
* 넷마블 포커
 
* 넷마블 포커
  
 
=== 고스톱류 ===
 
=== 고스톱류 ===
 +
 
* 넷마블 대박맞고
 
* 넷마블 대박맞고
 
* 마작
 
* 마작
172번째 줄: 169번째 줄:
 
* 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
 
* 블레이드&소울 레볼루션
 
* 아이언쓰론
 
* 아이언쓰론
* BTS 월드
+
 
 
=== 스포츠/FPS ===
 
=== 스포츠/FPS ===
  
199번째 줄: 196번째 줄: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9810891 넥슨·넷마블 '연매출 2조원 시대' 개막…엔씨도 바짝]〉, 《연합뉴스》, 2018-01-14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9810891 넥슨·넷마블 '연매출 2조원 시대' 개막…엔씨도 바짝]〉, 《연합뉴스》, 2018-01-14
 
* 김상두 기자, 〈[http://www.biz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904 넷마블, 美 접수!…마블 올스타 배틀, 앱스토어 매출 1위]〉, 《비즈트리뷴》, 2019-07-06
 
* 김상두 기자, 〈[http://www.biz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904 넷마블, 美 접수!…마블 올스타 배틀, 앱스토어 매출 1위]〉, 《비즈트리뷴》, 2019-07-06
* 한영일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0042730 넷마블 캐릭터시장 본격 진출]〉, 《서울경제》, 2004-07-08
+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1&aid=0000042730 넷마블 캐릭터시장 본격 진출]〉, 《서울경제》, 2004-07-08
* 권영전 기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01&aid=0006348175 넷마블 캐릭터형 새BI 공개]〉, 《연합뉴스》, 2013-07-02
+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01&aid=0006348175 넷마블 캐릭터형 새BI 공개]〉, 《연합뉴스》, 2013-07-02
 
* 서진욱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6022412583922992&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넷마블 캐릭터 잘나가는 이유?…'맞춤형'으로 승부수]〉, 《머니투데이》, 2016-03-06
 
* 서진욱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6022412583922992&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넷마블 캐릭터 잘나가는 이유?…'맞춤형'으로 승부수]〉, 《머니투데이》, 2016-03-06
 
* 김은경 기자, 〈[http://www.dailian.co.kr/news/view/796277/?sc=naver ‘혁신 DNA’ 방준혁 넷마블 의장 “2020년까지 세계 톱5 간다”]〉, 《데일리안》, 2019-05-20
 
* 김은경 기자, 〈[http://www.dailian.co.kr/news/view/796277/?sc=naver ‘혁신 DNA’ 방준혁 넷마블 의장 “2020년까지 세계 톱5 간다”]〉, 《데일리안》, 2019-05-20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38785&cid=43167&categoryId=43167 넷마블게임즈(주)]〉,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38785&cid=43167&categoryId=43167 넷마블게임즈(주)]〉, 《네이버 지식백과》
* 김지영 기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071912150376690 엔씨·넥슨·넷마블, AI 투자 어디까지 왔나]〉, 《머니투데이》, 2019-07-22
 
* 윤아름 기자, 〈[http://www.ceoscoredaily.com/news/article.html?no=58386 ‘AI 후발 주자’ 넷마블, 매년 연구비용 늘리며 넷마블 3.0 가속화]〉, 《CED스코어데일리》, 2019-07-25
 
* 이주환 기자, 〈[http://www.the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051 종합 엔터로 눈돌리는 게임업계]〉, 《더게임스》, 2019-07-10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16번째 줄: 210번째 줄:
 
* [[클레이튼]]
 
* [[클레이튼]]
 
* [[텐센트]]
 
* [[텐센트]]
 
 
{{인터넷 기업|검토 필요}}
 
{{인터넷 기업|검토 필요}}
 
{{게임}}
 
{{게임}}
{{대기업}}
+
 
 +
[[분류:기업]]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