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퍼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넷퍼넬 로고.png|썸네일|200픽셀|'''넷퍼넬'''(NetFUNNEL)]]
+
[[파일:넷퍼넬 로고.png|썸네일|300픽셀|'''넷퍼넬'''(NetFUNNEL)]]
[[파일:넷퍼넬 글자.png|썸네일|300픽셀|'''넷퍼넬'''(NetFUNNEL)]]
 
  
'''넷퍼넬'''(NetFUNNEL)은 상황에 맞게 실시간으로 사용자 [[트랜잭션]]을 제어하여, 가능한 정보 자원으로 최적의 서비스를 보장하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에 의한 [[디지털]] [[트랜잭션]] 제어 [[솔루션]]이다.<ref name="에스티씨랩">에스티씨랩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tclab.com/bbs/content.php?co_id=sub2_2</ref>
+
'''넷퍼넬'''(NetFUNNEL)은 상황에 맞게 실시간으로 사용자 [[트랜잭션]]을 제어하여, 가능한 [[아이티 자원]]으로 최적의 서비스를 보장하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에 의한 [[디지털]] [[트랜잭션]] 제어 [[솔루션]]이다.<ref name="에스티씨랩">에스티씨랩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tclab.com/bbs/content.php?co_id=sub2_2</ref>
  
 
==개요==
 
==개요==
넷퍼넬은 네트워크(Network)와 퍼넬(Funnel)의 합성어로, [[디지털]] 서비스 이용자의 [[트랜잭션]]을 깔때기처럼 모두 수용하고 조절하면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보장한다는 의미의 솔루션이다. 시스템의 처리 용량에는 한계가 있는데, 아무리 큰 시스템이라고 해도 순간적으로 폭주하는 접속 요청을 모두 수용해 처리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강 신청과 같이 평소보다 몇 배로 급증한 요청을 처리하지 못해 [[서버]]가 터질 때도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넷퍼넬은 설정된 진입 허용 수에 맞춰, 시스템이 동시 처리할 수 있는 만큼의 접속 요청만 진입시켜 준다. 또한 처리 용량을 초과하는 요청은 접속 요청이 시스템에 도달하기 전에 클릭한 순서대로 잠시 대기시키고는 순차 대기, 선행 접속 요청이 서비스를 마치고 빠져나간 만큼 자동 진입을 처하는 자동 진입시스템이다. 특정 기간만 급증하는 [[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해 비용이 많이 드는 서버 업그레이드가 아닌, 초과 트래픽 관리용 서버를 빌려 쓰는 현실적인 방안이다.<ref name="에스티씨랩"></ref><ref name="유니스트"> 〈[https://wiki.unist.in/w/%EB%84%B7%ED%8D%BC%EB%84%AC 넷퍼넬]〉, 《유니스트 위키》 </ref>
+
넷퍼넬은 Network와 Funnel의 합성어로, [[디지털]] 서비스 이용자의 [[트랜잭션]]을 깔때기처럼 모두 수용하고 조절하면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보장한다는 의미이다. 시스템의 처리 용량에는 한계가 있는데, 아무리 큰 시스템이라고 해도 순간적으로 폭주하는 접속 요청을 모두 수용해 처리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강 신청과 같이 평소보다 몇 배로 급증한 요청을 처리하지 못해 [[서버]]가 터질 때도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넷퍼넬은 설정된 진입 허용 수에 맞춰, 시스템이 동시 처리할 수 있는 만큼의 접속 요청만 진입시켜준다. 또한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요청은 접속요청이 시스템에 도달하기 전에 클릭한 순서대로 잠시 대기시키고는 순차 대기, 선행 접속 요청이 서비스를 마치고 빠져나간 만큼 자동 진입을 처하는 자동 진입시스템이다. 특정 기간만 급증하는 [[트래픽]]을 감당하기 위해 비용이 많이 드는 서버 업그레이드가 아닌, 초과 트래픽 관리용 서버를 빌려 쓰는 현실적인 방안이다.<ref name="에스티씨랩"></ref><ref name="유니스트"> 〈[https://wiki.unist.in/w/%EB%84%B7%ED%8D%BC%EB%84%AC 넷퍼넬]〉, 《UNIST 위키》 </ref>
 +
 
  
 
==특징==
 
==특징==
 +
 
===비즈니스===
 
===비즈니스===
 
넷퍼넬은 정보기술 서비스의 중단을 방지하고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보장시켜 매출의 손실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신뢰도를 향상한다. 또한 [[아이티 자원]]의 증설을 최소화해서 투자 및 운영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혁신적인 비용을 절감시킨다.<ref name="넷퍼넬">넷퍼넬 공식 홈페이지 - http://netfunnel.webmaker21.kr/</ref>
 
넷퍼넬은 정보기술 서비스의 중단을 방지하고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보장시켜 매출의 손실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신뢰도를 향상한다. 또한 [[아이티 자원]]의 증설을 최소화해서 투자 및 운영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혁신적인 비용을 절감시킨다.<ref name="넷퍼넬">넷퍼넬 공식 홈페이지 - http://netfunnel.webmaker21.kr/</ref>
  
 
===사용자===
 
===사용자===
넷퍼넬은 공정한 서비스와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이트의 만족도를 향상한다. 또한 정확한 대기 정보 알림과 자동 진입을 통해 서비스 진행 여부에 대한 사전 판단이 가능해서 시간과 비용이 절약된다.<ref name="넷퍼넬"></ref>
+
넷퍼넬은 공정한 서비스와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이트의 만족도를 향상한다. 또한 정확한 대기 정보 알림과 자동진입을 통해 서비스 진행 여부에 대한 사전 판단이 가능해서 시간과 비용이 절약된다.<ref name="넷퍼넬"></ref>
  
 
===운영자===
 
===운영자===
21번째 줄: 22번째 줄:
  
 
==기능==
 
==기능==
 +
 
===모니터링===
 
===모니터링===
 
넷퍼넬은 [[웹]] 기반 [[GUI]] 모니터링 도구 기능으로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서비스 상태에 대한 다양한 통계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운영 정책 및 서비스 제어 규칙을 설정하고 적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GUI 모니터링 툴을 제공한다. 또한 넷퍼넬은 최종 사용자 모니터링으로 실제 모든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데, 넷퍼넬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 관점의 서비스 요청량, 진입량, 자연 사용량, 처리 시간 등의 서비스 핵심 성능지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ref name="넷퍼넬"></ref>
 
넷퍼넬은 [[웹]] 기반 [[GUI]] 모니터링 도구 기능으로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서비스 상태에 대한 다양한 통계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운영 정책 및 서비스 제어 규칙을 설정하고 적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GUI 모니터링 툴을 제공한다. 또한 넷퍼넬은 최종 사용자 모니터링으로 실제 모든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데, 넷퍼넬 모니터링을 통해 사용자 관점의 서비스 요청량, 진입량, 자연 사용량, 처리 시간 등의 서비스 핵심 성능지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ref name="넷퍼넬"></ref>
28번째 줄: 30번째 줄:
  
 
===서비스 보장===
 
===서비스 보장===
넷퍼넬은 [[APM]] 연동을 통해 수집된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넷퍼넬의 사용자 정보를 활용해 서비스 운영을 위한 [[룰셋]](RuleSet)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자동, 그리고 실시간으로 장애 발생 시 대처하거나, 장애를 사전에 차단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ref name="넷퍼넬"></ref>
+
넷퍼넬은 [[APM]] 연동을 통해 수집된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의 상태 정보와 넷퍼넬의 사용자 정보를 활용해 서비스 운영을 위한 [[RuleSet]]을 설정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자동, 그리고 실시간으로 장애 발생 시 대처하거나, 장애를 사전에 차단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ref name="넷퍼넬"></ref>
  
 
===액세스 제어===
 
===액세스 제어===
51번째 줄: 53번째 줄: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서비스 성능개선<ref name="넷퍼넬"></ref>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서비스 성능개선<ref name="넷퍼넬"></ref>
 
* '''[[동국대학교]]''' : 서비스 속도개선<ref name="넷퍼넬"></ref>
 
* '''[[동국대학교]]''' : 서비스 속도개선<ref name="넷퍼넬"></ref>
 
== 활용 ==
 
넷퍼넬은 명절 열차표 예매나 연말정산 서비스 같은 대국민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판매나 확진자 정보 제공, 성범죄자 알림e, 계좌 통합관리 서비스, 휴양림 예약, 국가 자격시험 응시 등 공공영역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국내 대학 100여 곳에서는 수강신청 서비스에 적용돼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커머스와 금융은 넷퍼넬을 통해 비즈니스 성과를 높이고 있다. [[에스케이텔레콤㈜]](SK Telecom)와 [[11번가]]는 넷퍼넬 솔루션을 통해 2020년 블랙프라이데이 이벤트에 하루 최고 거래량과 매출 기록을 세웠다. [[멜론티켓]](Melon Ticket)은 넷퍼넬을 도입하면서 세 배 이상의 고객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하나은행]]은 연 금리 5.01%의 특판 상품을 넷퍼넬이 적용된 앱과 웹으로 출시해 첫날에만 20만 건, 541억 원을 유치했다. [[삼성전자㈜]](Samsung)와 함께 해외에도 진출했다. 넷퍼넬은 2020년 6월 삼성전자의 갤럭시 S20 플러스 사전 판매에 최초 적용됐다. 지금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축된 이탈리아·호주·싱가포르·독일 등 해외 판매 서비스에 확대 적용되고 있다.<ref>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36864#home “넷퍼넬 솔루션으로 서버 오류 끝” 채택기업 300곳 넘어]〉, 《중앙일보》, 2021-04-16 </ref>
 
  
 
==평가==
 
==평가==
62번째 줄: 61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에스티씨랩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tclab.com/bbs/content.php?co_id=sub2_2
 
* 에스티씨랩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stclab.com/bbs/content.php?co_id=sub2_2
* 넷퍼넬 공식 홈페이지 - http://netfunnel.io
+
* 넷퍼넬 공식 홈페이지 - http://netfunnel.webmaker21.kr
* 〈[https://wiki.unist.in/w/%EB%84%B7%ED%8D%BC%EB%84%AC 넷퍼넬]〉, 《유니스트 위키》
+
* 〈[https://wiki.unist.in/w/%EB%84%B7%ED%8D%BC%EB%84%AC 넷퍼넬]〉, 《UNIST 위키》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36864#home “넷퍼넬 솔루션으로 서버 오류 끝” 채택기업 300곳 넘어]〉, 《중앙일보》, 2021-04-16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