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녹음은 소리(音)를 재생(再生)을 목적으로 기록하는 일이다.
 
녹음은 소리(音)를 재생(再生)을 목적으로 기록하는 일이다.
  
녹음의 시초는 1857년, 소리에 의해서 진동하는 진동판에 붙인 작은 털로 그을음(soot) 종이에 소리의 파형을 기록한 L. 스코트의 시도로 알려져 있으며, 1897년 T.A.에디슨이 원통에 감은 주석박(朱錫箔)의 [[진동판]]에 붙인 작은 바늘로 소리의 파형을 홈으로 새긴 후, 동일한 장치로 소리를 재생하는 데 성공한 것이 [[축음기]]의 시초이다. T.A.에디슨은 원통면에 세로 방향으로 파형을 새긴 것이었으나, 후에 E.버리너가 원통 대신에 원반(圓盤)에 가로 방향으로 파형을 새김으로써 오늘 날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
녹음의 시초는 1857년, 소리에 의해서 진동하는 진동판에 붙인 작은 털로 그을음(soot) 종이에 소리의 파형을 기록한 L. 스코트의 시도로 알려져 있으며, 1897년 T.A.에디슨이 원통에 감은 주석박(朱錫箔)의 진동판에 붙인 작은 바늘로 소리의 파형을 홈으로 새긴 후, 동일한 장치로 소리를 재생하는 데 성공한 것이 축음기의 시초이다. T.A.에디슨은 원통면에 세로 방향으로 파형을 새긴 것이었으나, 후에 E.버리너가 원통 대신에 원반(圓盤)에 가로 방향으로 파형을 새김으로써 오늘 날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1898년경, 덴마크의 V.파울센은 강선(鋼線)의 영구자화성질(永久磁化性質)을 이용한 자기녹음(磁氣錄音)방법을 발명하여 모스부호를 녹음하기도 했다. 자기녹음은 음파의 파형을 전류에 의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으로 만들고, 강선을 이 자기장 속으로 통과시키면 음파의 파형과 같은 파형으로 된 자석계열(磁石系列)을 만들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그 후 자기녹음 방면의 기술은 크게 진전 되었다.
 
1898년경, 덴마크의 V.파울센은 강선(鋼線)의 영구자화성질(永久磁化性質)을 이용한 자기녹음(磁氣錄音)방법을 발명하여 모스부호를 녹음하기도 했다. 자기녹음은 음파의 파형을 전류에 의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으로 만들고, 강선을 이 자기장 속으로 통과시키면 음파의 파형과 같은 파형으로 된 자석계열(磁石系列)을 만들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그 후 자기녹음 방면의 기술은 크게 진전 되었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1905년 E. 루머는 아크등(燈)의 빛을 전화전류로 변조하여 필름 위에 음파의 파형에 대응하는 농담(濃淡)의 기록을 얻는 데 성공하여 광학적인 방법을 개척하였다. 1910년 프랑스의 E. 로스트가 토키(talkie: 발성영화)시스템을 발명하고, 1926년 『돈 후안』의 영화흥행성공을 계기로 급격하게 발달하였다.
 
1905년 E. 루머는 아크등(燈)의 빛을 전화전류로 변조하여 필름 위에 음파의 파형에 대응하는 농담(濃淡)의 기록을 얻는 데 성공하여 광학적인 방법을 개척하였다. 1910년 프랑스의 E. 로스트가 토키(talkie: 발성영화)시스템을 발명하고, 1926년 『돈 후안』의 영화흥행성공을 계기로 급격하게 발달하였다.
  
이 세 가지 종류의 녹음방식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각각의 목적에 따라서 적합한 것이 이용되어 왔으나, 1920년 이후 [[진공관]]을 이용하는 [[전자공학]]이 발전함에 따라 세 방식 모두 비약적으로 진보했다. 더욱이 제2차 세계대전 후에 새로운 녹음재료가 개발됨에 따라 녹음재생의 기술은 현저하게 발전했다. 특히 주파수특성·진폭특성·과도특성 등이 개선되어 음을 매우 충실하게 녹음·재생할 수 있게 되었고, 고유한 [[잡음]]이 감소되어 SN비(신호 대 잡음비)가 크게 개선되었다. 특히 근래에 입체음향 방식이 점차 확립되어 녹음재생은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와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진정한 의미에서의 하이파이(hi-fi)시대에 돌입함으로써 녹음이 문화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것이 되었다.
+
이 세 가지 종류의 녹음방식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각각의 목적에 따라서 적합한 것이 이용되어 왔으나, 1920년 이후 진공관을 이용하는 전자공학이 발전함에 따라 세 방식 모두 비약적으로 진보했다. 더욱이 제2차 세계대전 후에 새로운 녹음재료가 개발됨에 따라 녹음재생의 기술은 현저하게 발전했다. 특히 주파수특성·진폭특성·과도특성 등이 개선되어 음을 매우 충실하게 녹음·재생할 수 있게 되었고, 고유한 잡음이 감소되어 SN비(신호 대 잡음비)가 크게 개선되었다. 특히 근래에 입체음향 방식이 점차 확립되어 녹음재생은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와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진정한 의미에서의 하이파이(hi-fi)시대에 돌입함으로써 녹음이 문화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것이 되었다.
  
 
== 녹음 방식 ==
 
== 녹음 방식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