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벨칼레도니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누벨칼레도니 기.jpg|썸네일|300픽셀|'''누벨칼레도니''' 기]]
 
[[파일:누벨칼레도니 기.jpg|썸네일|300픽셀|'''누벨칼레도니''' 기]]
  
'''누벨칼레도니'''<!--누벨 칼레도니-->(프랑스어: Nouvelle-Calédonie, 영어: New Caledonia)는 [[오세아니아]]의 [[멜라네시아]]에 있는 [[프랑스]]의 해외 집합체로, 세계적인 관광지로 유명하다. '뉴벨칼레도니'는 프랑스식 이름이고, 영어식으로는 '''뉴칼레도니아'''라고 부른다. 누벨칼레도니에서 가장 큰 섬은 [[그랑테레섬]]<!--그랑테레 섬-->(Grande Terre)이다.
+
'''누벨칼레도니'''<!--누벨 칼레도니-->(프랑스어: Nouvelle-Calédonie, 영어: New Caledonia)는 [[오세아니아]]의 [[멜라네시아]]에 있는 [[프랑스]]의 해외 집합체로, 세계적인 관광지로 유명하다. '뉴벨칼레도니'는 프랑스식 이름이고, 영어식으로는 '''뉴칼레도니아'''라고 부른다.
  
 
== 개요 ==
 
== 개요 ==
15번째 줄: 15번째 줄:
 
[[태평양]] 서쪽 지역은 약 5만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되었다. 그 후 [[오스트로네시안]]이 그 지역에 유입되면서 [[멜라네시아군도]]에 자리잡은 다양한 무리의 사람들을 [[라피타]](Lapita)라고 불렀으며 기원전 1500년경, 현재의 뉴칼레도니아와 프로방스드일루아요테(프랑스어: Province des îles Loyauté)인 이 군도로 이주하였다. 라피타는 태평양 넓은 지역의 영향으로 항해술과 농경이 발달하였다. 11세기부터 [[폴리네시아인]]이 유입되어 멜라네시아군도의 사람들과 함께 거주하였다.
 
[[태평양]] 서쪽 지역은 약 5만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되었다. 그 후 [[오스트로네시안]]이 그 지역에 유입되면서 [[멜라네시아군도]]에 자리잡은 다양한 무리의 사람들을 [[라피타]](Lapita)라고 불렀으며 기원전 1500년경, 현재의 뉴칼레도니아와 프로방스드일루아요테(프랑스어: Province des îles Loyauté)인 이 군도로 이주하였다. 라피타는 태평양 넓은 지역의 영향으로 항해술과 농경이 발달하였다. 11세기부터 [[폴리네시아인]]이 유입되어 멜라네시아군도의 사람들과 함께 거주하였다.
  
1774년, [[영국]]의 항해가 [[제임스 쿡]] 선장은 [[뉴질랜드]]에 가는 길에 이 곳 [[그랑테르섬]](프랑스어: Grande Terre)발견하고  자신의 출생지의 [[스코틀랜드]]를 기념하여 [[뉴칼레도니아]](New Caledonia, 칼레도니아는 스코틀랜드의 라틴어식 옛이름이다.)라고 불렀다. 이 항해에서 그는 누벨칼레도니의 북쪽에 있는 섬(바누아투)을 뉴헤브리디스(New Hebrides)라고 명명하였는데 이는 스코틀랜드 북쪽에 있는 섬 이름을 따온 것이다. 그 후 1778년 [[프랑스]]의 라 페루스 탐험대가 이 땅을 발견하면서 영국-프랑스 양국의 식민정책의 쟁점이 되었다. [[유럽인]]들의 진입과 함께 천연두, 홍역, 이질, 인플루엔자, 매독, 한센병과 같은 새로운 질병들을 원주민들에게 전염 시키므로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1849년, 포우마(Pouma) 부족은 유럽인들에 대한 불화로 커터(Cutter)호의 선원을 살해하고 그 인육을 먹었다.
+
1774년, [[영국]]의 항해가 [[제임스 쿡]] 선장은 [[뉴질랜드]]에 가는 길에 이 곳 [[그랑드 테르]](프랑스어: Grande Terre)발견하고  자신의 출생지의 [[스코틀랜드]]를 기념하여 [[뉴칼레도니아]](New Caledonia, 칼레도니아는 스코틀랜드의 라틴어식 옛이름이다.)라고 불렀다. 이 항해에서 그는 누벨칼레도니의 북쪽에 있는 섬(바누아투)을 뉴헤브리디스(New Hebrides)라고 명명하였는데 이는 스코틀랜드 북쪽에 있는 섬 이름을 따온 것이다. 그 후 1778년 [[프랑스]]의 라 페루스 탐험대가 이 땅을 발견하면서 영국-프랑스 양국의 식민정책의 쟁점이 되었다. [[유럽인]]들의 진입과 함께 천연두, 홍역, 이질, 인플루엔자, 매독, 한센병과 같은 새로운 질병들을 원주민들에게 전염 시키므로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1849년, 포우마(Pouma) 부족은 유럽인들에 대한 불화로 커터(Cutter)호의 선원을 살해하고 그 인육을 먹었다.
  
 
백단목 무역이 쇠퇴하자, 새로운 형태의 무역인 [[노예무역]](blackbirding)이 이를 대체하였다. 노예무역은 '''누벨칼레도니''', [[프로방스드일루아요테]], [[바누아투]], [[파푸아뉴기니]], 그리고 [[솔로몬 제도]]의 사람들을 노예로 하여 [[피지]]와 [[퀸즈랜드]]의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도록 하였다. 영어 "blackbirding"은 이를 완곡하게 표현한 것이다. 이 무역은 20세기 초반에 중지되었다. 이 범죄의 희생자를 "Kanakas"라고 불렸는데 프랑스에 합병된 뒤에는 이 원주민들을 "Kanak"이라고 줄여서 불렀다.
 
백단목 무역이 쇠퇴하자, 새로운 형태의 무역인 [[노예무역]](blackbirding)이 이를 대체하였다. 노예무역은 '''누벨칼레도니''', [[프로방스드일루아요테]], [[바누아투]], [[파푸아뉴기니]], 그리고 [[솔로몬 제도]]의 사람들을 노예로 하여 [[피지]]와 [[퀸즈랜드]]의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도록 하였다. 영어 "blackbirding"은 이를 완곡하게 표현한 것이다. 이 무역은 20세기 초반에 중지되었다. 이 범죄의 희생자를 "Kanakas"라고 불렸는데 프랑스에 합병된 뒤에는 이 원주민들을 "Kanak"이라고 줄여서 불렀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