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단계사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9번째 줄: 19번째 줄:
 
중국에서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인 'BHB'가 한국 돈으로 230억 원가량을 투자받았다. BHB는 자체 암호화폐 BHB 토큰을 만들어 XBTC.CX라는 중국 거래소 단 한 곳에서만 거래할 수 있었다. 다른 암호화폐와 달리 [[채굴]]과 [[에어드랍]] 등을 할 수 없었다. XBTC 거래소는 BHB 토큰 출시부터 신규 고객을 유치하면 추천한 사람에게도 보상을 지급한다며 고객들을 유치했다. 이러한 다단계 방식이나 피라미드 사기로 문제가 많았다.<ref>Wolfie Zhao, 〈[https://www.coindeskkorea.com/%EB%8C%80%EB%A5%99%EC%9D%98-%EB%8B%A4%EB%8B%A8%EA%B3%84-%EC%95%94%ED%98%B8%ED%99%94%ED%8F%90-%EC%82%AC%EA%B8%B0%EB%8A%94-%EC%9D%B4%EB%9F%B0-%EB%AA%A8%EC%8A%B5%EC%9D%B4%EB%8B%A4/ 대륙의 다단계 암호화폐 사기는 이런 모습이다]〉, 《코인데스크코리아》, 2019-03-08</ref> 그리고 전 세계 300만 명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다단계 금융사기를 벌인 혐의를 받고 있는 '원코인'(OneCoin)은 [[불가리아]]의 수도 소피아(Sofia)를 기반으로 2014년에 설립되었는데, 회원을 상대로 다단계 금융 사기를 벌이고, 가짜 암호화폐에 수십 억 달러를 기부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약 2년 동안 3,353억 유로(약 447조 6,288억 5,300만 원)의 매출을 올렸고, 2,232억 유로(약 297조 9,742억 3200만 원)의 이익을 얻었다.<ref>은예솔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17235 '코인 다단계' 원코인 "소비자 재정 피해 없어...사기 아냐"]〉, 《블록인프레스》, 2019-05-20</ref>
 
중국에서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인 'BHB'가 한국 돈으로 230억 원가량을 투자받았다. BHB는 자체 암호화폐 BHB 토큰을 만들어 XBTC.CX라는 중국 거래소 단 한 곳에서만 거래할 수 있었다. 다른 암호화폐와 달리 [[채굴]]과 [[에어드랍]] 등을 할 수 없었다. XBTC 거래소는 BHB 토큰 출시부터 신규 고객을 유치하면 추천한 사람에게도 보상을 지급한다며 고객들을 유치했다. 이러한 다단계 방식이나 피라미드 사기로 문제가 많았다.<ref>Wolfie Zhao, 〈[https://www.coindeskkorea.com/%EB%8C%80%EB%A5%99%EC%9D%98-%EB%8B%A4%EB%8B%A8%EA%B3%84-%EC%95%94%ED%98%B8%ED%99%94%ED%8F%90-%EC%82%AC%EA%B8%B0%EB%8A%94-%EC%9D%B4%EB%9F%B0-%EB%AA%A8%EC%8A%B5%EC%9D%B4%EB%8B%A4/ 대륙의 다단계 암호화폐 사기는 이런 모습이다]〉, 《코인데스크코리아》, 2019-03-08</ref> 그리고 전 세계 300만 명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다단계 금융사기를 벌인 혐의를 받고 있는 '원코인'(OneCoin)은 [[불가리아]]의 수도 소피아(Sofia)를 기반으로 2014년에 설립되었는데, 회원을 상대로 다단계 금융 사기를 벌이고, 가짜 암호화폐에 수십 억 달러를 기부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약 2년 동안 3,353억 유로(약 447조 6,288억 5,300만 원)의 매출을 올렸고, 2,232억 유로(약 297조 9,742억 3200만 원)의 이익을 얻었다.<ref>은예솔 기자, 〈[https://blockinpress.com/archives/17235 '코인 다단계' 원코인 "소비자 재정 피해 없어...사기 아냐"]〉, 《블록인프레스》, 2019-05-20</ref>
 
=== 신일골드코인(SGC) 사기 사건 ===
 
=== 신일골드코인(SGC) 사기 사건 ===
신일그룹(SHINIL Group)은 2018년 6월에 설립된 회사로 보물선 인양, 바이오, 아파트 건축 및 분양과 임대 등의 사업들을 하는 기업이다. 신일그룹은 2018년에 울릉도 인근 해저에서 러시아 철갑순양함 '돈스코이호(DONSKOII)'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이 돈스코이호는 1905년 러·일 전쟁에 참전했다가 울릉도 앞바다에서 금괴와 금화를 실은 채 침몰한 것으로 알려진 '보물선'이다. 이 보물선을 인양하겠다고 나선 회사가 신일그룹이었고 그로 인해 기업이 알려지게 되었다.<ref>한동희 기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18/2018071802284.html (팩트체크)울릉 앞바다 '150조 보물선' 5가지가 수상하다]〉, 《조선닷컴》, 2018-07-18</ref> 보물선 인양 사업으로 많은 의혹과 문제점들이 많았던 신일그룹은 세계 최초 [[암호화폐]] 실물경제 국제거래소를 만들어 자체 발행한 코인인 '신일골드코인(SGC)'을 발행했다고 한다. 신일골드코인은 코인을 구입하려면 추천인이 있어야 하며, 한 명을 추천할 때마다 10개의 신일골드코인이 추가로 연속 지급되는 다단계 형식이었다. 이더스캔을 통해서 확인이 안 되는 [[토큰]]이고 어설픈 다단계 [[스캠]](Scam) 프로젝트라 볼 수 있다. 문제는 신일골드코인의 시가총액이 150조 원으로 [[비트코인]]의 시가총액보다 더 많은 액수라는 것이다.<ref>l-s-h, 〈[https://steemit.com/kr/@l-s-h/ico-sgc (코인비평)사람을 박장대소하게 만드는 스캠 ICO; 신일골드코인(SGC)]〉, 《스팀잇》</ref> 신일그룹은 2018년 5월부터 3차례에 걸쳐 신일골드코인 프리세일을 진행했다. 7월 말에 [[ICO]]를 통해 신일골드코인을 개당 200원에 판매하고, 9월에는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할 예정이며, 상장 예정 가격은 1만 원이라고 밝혔다. 1차~3차 판매에서 신일골드코인 판매 가격이 개당 30~120원을 고려하면 100배 이상의 [[수익]]을 약속한 것이다. 하지만 [[ICO]]에 앞서 코인 발행목적, 규모, 운용계획을 밝히는 '[[백서]](White Paper)'를 공개해야 하는데 신일골드코인은 백서가 존재하지 않아 많은 논란이 있었다. 하지만 이후 또다시 사기 행위를 벌이려는 모습이 보였다. 2019년에 신일그룹은 SL블록체인그룹으로 회사명을 바꾸고, 신일골드코인(SGC)를 트레져SL(TSL)로 코인 이름도 변경하여 제작하고 있었다. SL블록체인그룹에 따르면 "트레져SL의 장점으로는 전자결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송금이 가능하며, 채굴과 추천으로 코인을 획득할 수 있고, 1TSL은 [[금]] 0.2g 가치에 해당하므로 TSL의 시총은 88조 원이다."라고 했다. 결국 경찰이 강남에 있는 사무실을 압수수색하였고, SL블록체인그룹은 사무실을 다시 다른 곳으로 이전하였다. 최근에는 다시 회사명을 '유니버셜그룹(UNIVERSAL Group)'으로 바뀌었다고 밝혀졌다. 그 이유는 '유니버셜코인'을 제작하고 투자금을 모으기 위해서였다. 여전히 많은 40~50대 이상의 투자자들이 속고 있으며, 피해자들은 계속해서 나오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국내 규제 마련이 촉구되고 있다.<ref>DDD, 〈[https://kaynarr.blog.me/221446817453 신일그룹, 신일골드코인 이후 또 사기?]〉, 《네이버 블로그》, 2019-01-20</ref>
+
신일그룹(SHINIL Group)은 2018년 6월에 설립된 회사로 보물선 인양, 바이오, 아파트 건축 및 분양과 임대 등의 사업들을 하는 기업이다. 신일그룹은 2018년에 울릉도 인근 해저에서 러시아 철갑순양함 '돈스코이호(DONSKOII)'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이 돈스코이호는 1905년 러·일 전쟁에 참전했다가 울릉도 앞바다에서 금괴와 금화를 실은 채 침몰한 것으로 알려진 '보물선'이다. 이 보물선을 인양하겠다고 나선 회사가 신일그룹이었고 그로 인해 기업이 알려지게 되었다.<ref>한동희 기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18/2018071802284.html (팩트체크)울릉 앞바다 '150조 보물선' 5가지가 수상하다]〉, 《조선닷컴》, 2018-07-18</ref> 보물선 인양 사업으로 많은 의혹과 문제점들이 많았던 신일그룹은 세계 최초 [[암호화폐]] 실물경제 국제거래소를 만들어 자체 발행한 코인인 '신일골드코인(SGC)'을 발행했다고 한다. 신일골드코인은 코인을 구입하려면 추천인이 있어야 하며, 한 명을 추천할 때마다 10개의 신일골드코인이 추가로 연속 지급되는 다단계 형식이었다. 이더스캔을 통해서 확인이 안 되는 [[토큰]]이고 어설픈 다단계 [[스캠]](Scam) 프로젝트라 볼 수 있다. 문제는 신일골드코인의 시가총액이 150조 원으로 [[비트코인]]의 시가총액보다 더 많은 액수라는 것이다.<ref>l-s-h, 〈[https://steemit.com/kr/@l-s-h/ico-sgc (코인비평)사람을 박장대소하게 만드는 스캠 ICO; 신일골드코인(SGC)]〉, 《스팀잇》</ref> 신일그룹은 2018년 5월부터 3차례에 걸쳐 신일골드코인 프리세일을 진행했다. 7월 말에 [[ICO]]를 통해 신일골드코인을 개당 200원에 판매하고, 9월에는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할 예정이며, 상장 예정 가격은 1만 원이라고 밝혔다. 1차~3차 판매에서 신일골드코인 판매 가격이 개당 30~120원을 고려하면 100배 이상의 [[수익]]을 약속한 것이다. 하지만 [[ICO]]에 앞서 코인 발행목적, 규모, 운용계획을 밝히는 '[[백서]](White Paper)'를 공개해야 하는데 신일골드코인은 백서가 존재하지 않아 많은 논란이 있었다. 하지만 이후 또다시 사기 행위를 벌이려는 모습이 보였다. 2019년에 신일그룹은 SL블록체인그룹으로 회사명을 바꾸고, 신일골드코인(SGC)를 트레져SL(TSL)로 코인 이름도 변경하여 제작하고 있었다. SL블록체인그룹에 따르면 "트레져SL의 장점으로는 전자결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송금이 가능하며, 채굴과 추천으로 코인을 획득할 수 있고, 1TSL은 [[금]] 0.2g 가치에 해당하므로 TSL의 시총은 88조 원이다."라고 했다. 결국 경찰이 강남에 있는 사무실을 압수수색하였고, SL블록체인그룹은 사무실을 다시 다른 곳으로 이전하였다. 최근에는 다시 회사명을 '유니버셜그룹(UNIVERSAL Group)'으로 바뀌었다고 밝혀졌다. 그 이유는 '유니버셜코인'을 제작하고 투자금을 모으기 위해서였다. 여전히 많은 40~50대 이상의 투자자들이 속고 있으며, 피해자들은 계속해서 나오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국내 규제 마련이 촉구되고 있다.<ref>DDD, 〈[https://kaynarr.blog.me/221446817453 신일그룹, 신일골드코인 이후 또 사기?]〉, 《네이버 블로그》, 2019-01-20</ref>  
 
 
최근 유니버셜그룹 대표와 관련자들이 구속되어 5년형을 선고받고 교도소에서 복역중임, 주범인 류승진은 해외도피중이라 인터폴 적색수배 되었으며, 송명호라는 이름을 사칭하여 여전히 밴드를 통해 신규투자자를 모으고 있음
 
 
 
주로 노인, 장애인등을 대상으로 송명호코인, 송명호페이등 신규코인을 계속 만들면서 코인다단계 사기를 지속중임.
 
 
 
 
=== 코인업 대표 구속 사건 ===
 
=== 코인업 대표 구속 사건 ===
 
2019년 3월 9일, 서울 수서경찰서는‘캐시 강’이라 자칭했던 코인업 대표를 체포했다. 강 대표의 구속 혐의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위반,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이다. 코인업은 2018년에 창업한 암호화폐 발행업체로, 투자자들에게 세계 통화가 될 월드뱅크코인(WEC)에 투자하면 금방 500%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자신했다. 또한 조만간 주요 거래소에 월드뱅크코인이 상장될 거라고 장담했다. 강 대표는 코인업이 믿을 만한 업체란 인상을 주기 위해서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찍은 사진을 내걸었다. 그러면서 강 대표는 그 사진을 이용하며“이 정도 인맥이 아니고선 이 사업 못한다”며 투자자들을 안심시켰다. 그러나 딱 봐도 합성한 티가 나는 조악한 사진이라 한 투자자가 “합성한 것 아니냐”고 질문했다. 그에 대해 강 대표는 “스케줄 맞추기 힘들어 각자 찍은 뒤 합쳐서 그렇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사진이 가짜라면 어떻게 대통령 합성 사진을 마음대로 걸 수 있겠느냐고 반박했다. 그리고 강 대표는 코인이 잘 되려면 공부를 많이 해야 한다며 투자자들을 매일 사업장으로 나오게 했다. 투자자들에게 반복 학습이란 이름의 세뇌를 시켰고, 그에 한 투자자는 코인업에 12억 이상을 투자해 큰 손실을 봤다. 이러한 코인업의 운영 방식은 10여년 전, 다단계 업체의 꼬임에 빠져 대학생들이 거여동과 마천동 일대에 모여든 현상을 가리키는 '거마 대학생'과 유사하다. <ref>  고란 기자, 〈[https://news.joins.com/article/23409084 <고란의 어쩌다 투자> 코인의 탈을 쓴 다단계...하늘 아래 안전한 고수익 투자는 없다]〉, 《중앙일보》, 2019-03-13 </ref>
 
2019년 3월 9일, 서울 수서경찰서는‘캐시 강’이라 자칭했던 코인업 대표를 체포했다. 강 대표의 구속 혐의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위반,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이다. 코인업은 2018년에 창업한 암호화폐 발행업체로, 투자자들에게 세계 통화가 될 월드뱅크코인(WEC)에 투자하면 금방 500%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자신했다. 또한 조만간 주요 거래소에 월드뱅크코인이 상장될 거라고 장담했다. 강 대표는 코인업이 믿을 만한 업체란 인상을 주기 위해서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찍은 사진을 내걸었다. 그러면서 강 대표는 그 사진을 이용하며“이 정도 인맥이 아니고선 이 사업 못한다”며 투자자들을 안심시켰다. 그러나 딱 봐도 합성한 티가 나는 조악한 사진이라 한 투자자가 “합성한 것 아니냐”고 질문했다. 그에 대해 강 대표는 “스케줄 맞추기 힘들어 각자 찍은 뒤 합쳐서 그렇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사진이 가짜라면 어떻게 대통령 합성 사진을 마음대로 걸 수 있겠느냐고 반박했다. 그리고 강 대표는 코인이 잘 되려면 공부를 많이 해야 한다며 투자자들을 매일 사업장으로 나오게 했다. 투자자들에게 반복 학습이란 이름의 세뇌를 시켰고, 그에 한 투자자는 코인업에 12억 이상을 투자해 큰 손실을 봤다. 이러한 코인업의 운영 방식은 10여년 전, 다단계 업체의 꼬임에 빠져 대학생들이 거여동과 마천동 일대에 모여든 현상을 가리키는 '거마 대학생'과 유사하다. <ref>  고란 기자, 〈[https://news.joins.com/article/23409084 <고란의 어쩌다 투자> 코인의 탈을 쓴 다단계...하늘 아래 안전한 고수익 투자는 없다]〉, 《중앙일보》, 2019-03-13 </ref>
57번째 줄: 52번째 줄:
 
PD 수첩에서는 이처럼 '암호화폐 거래소 사기 사건'이 잦은 이유를,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암호화폐와 관련된 규제가 약해서 제대로 된 거래 관련 요건을 갖추지 못한 거래소에게 오히려 설 자리가 생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규제가 미비한 시장 환경이 사기 사건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도 있었다.  
 
PD 수첩에서는 이처럼 '암호화폐 거래소 사기 사건'이 잦은 이유를,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암호화폐와 관련된 규제가 약해서 제대로 된 거래 관련 요건을 갖추지 못한 거래소에게 오히려 설 자리가 생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규제가 미비한 시장 환경이 사기 사건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도 있었다.  
 
   
 
   
== 동영상 ==
 
<youtube>ariu9WWa8KI</youtube>
 
<youtube>1JUzTUYFTrc</youtube>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