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파일:타이중.png|썸네일|300픽셀|타이중시]]
 
[[파일:타이중.png|썸네일|300픽셀|타이중시]]
  
'''대만'''(臺灣)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대만섬]]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또는 [[국가]]의 명칭이다. 대만섬에 성립된 국가의 정식 국호는 '''중화민국'''(中華民國, Republic of China)이지만, 주로 '대만'이라고 부른다. 중국어 또는 영어로는 '''타이완'''(Taiwan, {{발음|台湾}})이라고 부른다. 별칭은 포르투갈어로 '아름다운 섬'이란 뜻을 가리키는 '포르모사'(Formosa)이다. 수도는 '''[[타이베이]]'''이며 주요 도시는 [[신베이시]], [[가오슝시]], [[타이중시]], [[타이난시]][[타오위안시]] 등이 있다.  
+
'''대만'''(臺灣)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대만섬]]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또는 [[국가]]의 명칭이다. 대만섬에 성립된 국가의 정식 국호는 '''중화민국'''(中華民國, Republic of China)이지만, 주로 '대만'이라고 부른다. 중국어 또는 영어로는 '''타이완'''(Taiwan, {{발음|台湾}})이라고 부른다. 별칭은 포르투갈어로 '아름다운 섬'이란 뜻을 가리키는 '포르모사'(Formosa)이다. 수도는 '''[[타이베이]]'''이며 주요 도시는 [[신베이시]], [[가오슝]], [[타이중]], [[타이난]][[타오위안]] 등이 있다.  
  
대만은 [[대만해협]]을 사이에 두고 [[중국]] [[푸젠성]]과 마주하고 있는 나라로 중국 본토에서 약 150㎞ 떨어져 있다. 1885년 하나의 성(省)으로 독립하였고, [[청일전쟁]] 뒤 [[일본]] 최초의 해외 식민지가 되었으며, 1949년 [[중국공산당]]과의 내전에 패배한 [[국민당]]의 [[장제스]] 정권이 이전해 와서 성립된 국가이다.
+
대만은 [[대만해협]]을 사이에 두고 [[중국]] [[푸젠성]]과 마주하고 있는 나라로 중국 본토에서 약 150㎞ 떨어져 있다. 1885년 하나의 성(省)으로 독립하였고, [[청일전쟁]] 뒤 [[일본]] 최초의 해외 식민지가 되었으며, 1949년 [[중국공산당]]과의 내전에 패배한 [[국민당]]의 [[장제스]] 정권이 이전해 성립된 국가이다.
  
중화민국은 2,37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며 세계에서 가장 인구 밀집도가 높은 국가들 중 하나이며, [[유엔]](UN)에 소속되지 않은 국가들 중에서는 높은 규모의 경제를 갖고 있다. 중화민국은 수출 중심의 산업화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에서 21번째로 거대한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주로 [[철강업]], [[기계공업]], [[전기업]], [[화학공업]]과 [[제조업]] 등이 주력 분야이며, 1인당 GDP는 세계 15위 정도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또한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매우 높은 수준의 자유도, 교육, 복지, 인간개발 지수를 가지고 있다.
+
중화민국은 2,37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하며 세계에서 가장 인구 밀집도가 높은 국가들 중 하나이며, [[유엔]](UN)에 소속되지 않은 국가들 중에서는 높은 규모의 경제를 갖고 있다. 중화민국은 수출 중심의 산업화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에서 21번째로 거대한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주로 철강, 기계공업, 전기업, 화학 공업과 제조업 등이 주력 분야이며, 1인당 GDP는 세계 15위 정도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또한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매우 높은 수준의 자유도, 교육, 복지, 인간 개발 지수를 가지고 있다.
  
 
== 개요 ==
 
== 개요 ==
대만은 현존하는 아시아의 가장 오래된 [[공화국]]으로, 1912년 건국을 선포한 이후 100년이 넘는 장수 공화국이 되었다. 대만의 헌법상 영토는 중국 대륙을 포함하나, [[국공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에게 패배하여 [[국민당]]이 대만으로 정부를 옮긴 '국부천대' 이후 실효 지배 영토는 [[대만섬]]과 부속도서를 포함한 36,197 ㎢에 국한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대만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 공산당의 미승인단체로 간주하여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
+
대만은 현존하는 아시아의 가장 오래된 [[공화국]]으로, 1912년 건국을 선포한 이후 100년이 넘는 장수 공화국이 되었다. 대만의 헌법상 영토는 중국 대륙을 포함하나, 국공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에게 패배하여 국민당이 대만으로 정부를 옮긴 '국부천대' 이후 실효 지배 영토는 대만 섬과 부속 도서를 포함한 36,197 ㎢에 국한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대만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 공산당의 미승인단체로 간주하여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대만의 국체를 인정하지 않는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은 건국 이후부터 '하나의 중국' 원칙에 입각, 대만을 자국의 일개 지방으로 간주하여 이를 부정하는 나라와는 국교를 맺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하였다. 20세기 후반 냉전이 해소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적 입지가 상향됨에 따라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가 중화민국(대만)과 단교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인정한 상태이다. 때문에 현재 대만은 유엔 비회원국, 미승인국이며 수교 국가는 "14"개 남짓이다.
+
마찬가지로 대만의 국체를 인정하지 않는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은 건국 이후부터 '하나의 중국' 원칙에 입각, 대만을 자국의 일개 지방으로 간주하여 이를 부정하는 나라와는 국교를 맺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하였고, 20세기 후반 냉전이 해소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적 입지가 상향됨에 따라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가 중화민국(대만)과 단교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인정한 상태이다. 때문에 현재 대만은 유엔 비회원국, 미승인국이며 수교 국가는 "14"개 남짓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대만은 중국의 세력 확장을 견제하려는 제1세계 국가들에 있어 지정학적으로 특별한 외교상의 대우를 받으며, 대만 관계법 및 대만 동맹 보호법과 같은 미국과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는 한편, 중국에 의해 일부 권리 행사를 방해받고 있음에도 여타 미승인국가들과는 달리 사실상의 주권국가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대만은 중국의 세력 확장을 견제하려는 제1세계 국가들에 있어 지정학적으로 특별한 외교상의 대우를 받으며, 대만 관계법 및 대만 동맹 보호법과 같은 미국과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는 한편, 중국에 의해 일부 권리 행사를 방해받고 있음에도 여타 미승인국가들과는 달리 사실상의 주권국가로 인정되고 있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 국가 상징 ==
 
== 국가 상징 ==
 
=== 국호 ===
 
=== 국호 ===
정식 국호는 '''중화민국'''이며, 자국 내에서는 '''타이완'''이라고 부른다. 중국이라는 명칭은 이전에는 사용하였으나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또 영어로는 '''Republic of China''', 약칭은 '''ROC'''이다. 1971년에는 중화민국이 UN 회원국 지위를 버린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부르는 빈도가 훨씬 많아지면서, 통상적으로는 중화민국의 현재 남아있는 영토 중에서 가장 중심적인 지명을 따서 '타이완'이라고 부르는 일이 더 흔해졌다. 과거 냉전시절 미국이나 대한민국 등 친서방 국가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즉 중공(中共, Communist China)과 구분하기 위하여 자유중국(自由中國, Free China) 또는 중국이라고도 불렀으나 [[탈냉전]] 이후부터는 빈도가 감소하였다.
+
정식 국호는 '''중화민국'''이며, 자국 내에서는 '''타이완'''이라고 부른다. 중국이라는 명칭은 이전에는 사용하였으나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또 영어로는 '''Republic of China''', 약칭은 '''ROC'''이다. 1971년에는 중화민국이 UN 회원국 지위를 버린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부르는 빈도가 훨씬 많아지면서, 통상적으로는 중화민국의 현재 남아있는 영토 중에서 가장 중심적인 지명을 따서 타이완이라고 부르는 일이 더 흔해졌다. 과거 냉전시절 미국이나 대한민국 등 친서방 국가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즉 중공(中共, Communist China)과 구분하기 위하여 자유중국(自由中國, Free China) 또는 중국이라고도 불렀으나 탈냉전 이후부터는 빈도가 감소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주장하며 중화민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중화민국 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1983년 6월 26일, 덩샤오핑 이론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 대만 특별행정구(中華人民共和國台灣特别行政區)라는 이름을 제시하였고, 대만 지구를 [[홍콩]], [[마카오]]와 같은 자국의 특별행정구처럼 간주하고 있다. 이런 중화인민공화국의 압력에 의하여, 중화민국은 '''중화 타이베이'''(Chinese Taipei, 中華臺北 또는 中華台北)라는 별칭을 1980년대부터 올림픽 등의 국제 대회나 국제기구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단, 세계 무역 기구(WTO)에서 중화민국의 가맹 명칭은 대만·펑후·진먼·마쭈 개별관세영역(臺灣·澎湖·金門·馬祖 個別關稅領域; Separate Customs Territory of Taiwan, Penghu, Kinmen and Matsu; 台澎金馬個別關稅領域)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주장하며 중화민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중화민국 정부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1983년 6월 26일, 덩샤오핑 이론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 대만 특별행정구(中華人民共和國台灣特别行政區)라는 이름을 제시하였고, 대만 지구를 [[홍콩]], [[마카오]]와 같은 자국의 특별행정구처럼 간주하고 있다. 이런 중화인민공화국의 압력에 의하여, 중화민국은 '''중화 타이베이'''(Chinese Taipei, 中華臺北 또는 中華台北)라는 별칭을 1980년대부터 올림픽 등의 국제 대회나 국제기구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 단, 세계 무역 기구(WTO)에서 중화민국의 가맹 명칭은 대만·펑후·진먼·마쭈 개별관세영역(臺灣·澎湖·金門·馬祖 個別關稅領域; Separate Customs Territory of Taiwan, Penghu, Kinmen and Matsu; 台澎金馬個別關稅領域)이다.
  
 
2008년 6월 4일, 어우훙롄(歐鴻煉) 중화민국 외교부장은 국제기구 등에서의 '중화 타이베이'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반면 중화민국 감찰원에서는 중화민국 행정원의 정부 문서에서 '대만'의 사용 빈도가 높아진 것을 지적하였으며 '중화민국'이라고 명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2008년 6월 4일, 어우훙롄(歐鴻煉) 중화민국 외교부장은 국제기구 등에서의 '중화 타이베이'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반면 중화민국 감찰원에서는 중화민국 행정원의 정부 문서에서 '대만'의 사용 빈도가 높아진 것을 지적하였으며 '중화민국'이라고 명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29번째 줄: 29번째 줄:
 
차이잉원 행정부 시대 이후에는 중화민국 대만이라는 새로운 호칭을 도입하였다.
 
차이잉원 행정부 시대 이후에는 중화민국 대만이라는 새로운 호칭을 도입하였다.
  
중화민국에 우편물을 보내기 위해 쓰는 국가기호는 'TW'이다.
+
중화민국에 우편물을 보내기 위해 쓰는 국가기호는 TW이다.
  
 
=== 국기 ===
 
=== 국기 ===
35번째 줄: 35번째 줄:
 
대만의 국기는 청천백일만지홍기이다. 국기이자 해군기이다.  
 
대만의 국기는 청천백일만지홍기이다. 국기이자 해군기이다.  
  
대만 국기는 [[중국 국민당]]의 깃발, 즉 당기(黨旗)인 청천백일기(靑天白日旗)에서 비롯되었다. 기(旗)를 붙이지 않고 靑天白日滿地紅(청천백일만지홍)이라고만 해도 역시 중화민국의 국기를 뜻한다. 또 편의상 청천백일기라고도 부르지만, 앞서 밝혔듯이 엄밀히 말해서 청천백일기는 중화민국 국기 좌측 상단의 캔턴(canton) 부분에 해당하는, 푸른 색 바탕의 하얀 해를 도안으로 하는 깃발을 가리키는 말이다. 청천백일기는 중국 국민당의 당기이고, 대만 해군 함수기(艦首旗, naval jack)로도 쓰이는 깃발이다.
+
중국 국민당의 깃발, 즉 당기(黨旗)인 청천백일기(靑天白日旗)에서 비롯되었다. 기(旗)를 붙이지 않고 靑天白日滿地紅(청천백일만지홍)이라고만 해도 역시 중화민국의 국기를 뜻한다. 또 편의상 청천백일기라고도 부르지만, 앞서 밝혔듯이 엄밀히 말해서 청천백일기는 중화민국 국기 좌측 상단의 캔턴(canton) 부분에 해당하는, 푸른 색 바탕의 하얀 해를 도안으로 하는 깃발을 가리키는 말이다. 청천백일기는 중국 국민당의 당기이고, 대만 해군 함수기(艦首旗, naval jack)로도 쓰이는 깃발이다.
  
1992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인식하는 현대의 한국인들은 청천백일만지홍기가 그냥 '대만 깃발'이고 오성홍기가 '중국 깃발'인 것으로만 알고 있겠지만, 사실 이쪽이 중국 입장에서 역사적 정통성이 있는 깃발이다. [[신해혁명]], 장제스의 북벌, [[중일전쟁]], [[국공내전]] 등 중국 근현대사의 굵직한 사건들은 1949년에 만들어진 오성홍기가 아니라 이 깃발 아래에서 겪었다.
+
1992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인식하는 현대의 한국인들은 청천백일만지홍기가 그냥 '대만 깃발'이고 오성홍기가 '중국 깃발'인 것으로만 알고 있겠지만, 사실 이쪽이 중국 입장에서 역사적 정통성이 있는 깃발이다. 신해혁명, 장제스의 북벌, 중일전쟁, 국공내전 등 중국 근현대사의 굵직한 사건들은 1949년에 만들어진 오성홍기가 아니라 이 깃발 아래에서 겪었다.
  
 
이름이 아주 직관적이다.
 
이름이 아주 직관적이다.
44번째 줄: 44번째 줄:
 
* 만지홍(滿地紅): 꽉 차게 붉은 땅. 배경 붉은색.
 
* 만지홍(滿地紅): 꽉 차게 붉은 땅. 배경 붉은색.
  
[[청천백일만지홍기]]는 청천백일기를 좌측 상단에 놓고 나머지 부분은 붉은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쑨원의 삼민주의 사상인 민족, 민생, 민권을 상징하는 색깔인 파란색, 빨간색, 흰색으로 구성되어있다. 파란색은 삼민주의의 민족 그리고 자유를, 빨간색은 삼민주의의 민생 그리고 혁명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한 사람들의 피와 박애를, 흰색은 삼민주의의 민권 그리고 평등을 각각 상징하고 있다. 또한 하얀 태양의 12갈래는 24시간 쉬지 않고 강해지자는 자강불식(自强不息)의 뜻을 상징한다.
+
청천백일만지홍기는 청천백일기를 좌측 상단에 놓고 나머지 부분은 붉은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쑨원의 삼민주의 사상인 민족, 민생, 민권을 상징하는 색깔인 파란색, 빨간색, 흰색으로 구성되어있다. 파란색은 삼민주의의 민족 그리고 자유를, 빨간색은 삼민주의의 민생 그리고 혁명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한 사람들의 피와 박애를, 흰색은 삼민주의의 민권 그리고 평등을 각각 상징하고 있다. 또한 하얀 태양의 12갈래는 24시간 쉬지 않고 강해지자는 자강불식(自强不息)의 뜻을 상징한다.
  
 
=== 국장 ===
 
=== 국장 ===
 
[[파일:대만국휘.png|썸네일|300픽셀|대만 국휘]]
 
[[파일:대만국휘.png|썸네일|300픽셀|대만 국휘]]
 
 
중화민국의 국장은 국휘(國徽)라 부르며 청천백일만지홍기에도 있는 청천백일(靑天白日)을 사용한다.
 
중화민국의 국장은 국휘(國徽)라 부르며 청천백일만지홍기에도 있는 청천백일(靑天白日)을 사용한다.
  
대만의 양대 정당 중 하나인 [[중국 국민당]]을 상징하는 청천백일기 및 휘장과는 도안이 약간 다르다. 중국 국민당 당휘는 흰 태양의 햇살 문양의 크기에 정확히 맞춰 원형으로 잘라낸 형태라면, 중화민국의 국장은 햇살에서 바깥 쪽으로 여유를 두어 원형으로 잘라낸 형태며 연원은 당휘와 같다.
+
대만의 양대 정당 중 하나인 중국 국민당을 상징하는 청천백일기 및 휘장과는 도안이 약간 다르다. 중국 국민당 당휘는 흰 태양의 햇살 문양의 크기에 정확히 맞춰 원형으로 잘라낸 형태라면, 중화민국의 국장은 햇살에서 바깥 쪽으로 여유를 두어 원형으로 잘라낸 형태며 연원은 당휘와 같다.
  
 
이외에 대만군과 정부 상징으로서 국장 다음으로 자주 쓰이는 매화 문장이 있다. 매화의 다섯 갈래 꽃잎은 오권분립을 상징하며, 총통부 및 행정각부(원)의 상징에 들어간다. 이외에 매화문이 응용된 문양이 육해공군의 부대마크, 지방행정기구의 기와 휘장, 관무서(關務署; 관세청) 휘장, 국도(國道) 표지, 중화 타이베이 기와 휘장 등에 포함되어 있다.
 
이외에 대만군과 정부 상징으로서 국장 다음으로 자주 쓰이는 매화 문장이 있다. 매화의 다섯 갈래 꽃잎은 오권분립을 상징하며, 총통부 및 행정각부(원)의 상징에 들어간다. 이외에 매화문이 응용된 문양이 육해공군의 부대마크, 지방행정기구의 기와 휘장, 관무서(關務署; 관세청) 휘장, 국도(國道) 표지, 중화 타이베이 기와 휘장 등에 포함되어 있다.
58번째 줄: 57번째 줄:
 
국가 정식 명칭은 '중화민국 국가(中華民國國歌)'이며, 비공식적으로 가사 첫 행을 따서 '삼민주의가(三民主義歌)'라고 부르기도 한다. 국민정부 시절부터 국가로 지정되었으며 지금까지 여전히 국가로 이어져오고 있다.
 
국가 정식 명칭은 '중화민국 국가(中華民國國歌)'이며, 비공식적으로 가사 첫 행을 따서 '삼민주의가(三民主義歌)'라고 부르기도 한다. 국민정부 시절부터 국가로 지정되었으며 지금까지 여전히 국가로 이어져오고 있다.
  
작사자는 [[쑨원]]이다. 1924년에 쑨원이 [[광저우시]]에 있었던 [[황푸군관학교]]에서 한 연설 내용을 48자로 요약한 것이다. 다만 이 연설문 자체는 쑨원 본인이 쓴 게 아니었기 때문에 그들을 작사자로 넣는 게 맞을 수도 있다. 물론 요약자도 따로 있고. 요약한 사람은 네 명인데, 각각 후한민(胡漢民), 다이지타오(戴季陶), 랴오중카이(廖仲愷), 사오위안충(邵元沖)이다.
+
작사자는 쑨원이다. 1924년에 쑨원이 광저우에 있었던 황푸군관학교에서 한 연설 내용을 48자로 요약한 것이다. 다만 이 연설문 자체는 쑨원 본인이 쓴 게 아니었기 때문에 그들을 작사자로 넣는 게 맞을 수도 있다. 물론 요약자도 따로 있고. 요약한 사람은 네 명인데, 각각 후한민(胡漢民), 다이지타오(戴季陶), 랴오중카이(廖仲愷), 사오위안충(邵元沖)이다.
  
1928년에 작곡가 [[청마오윈]](程懋筠)이 이 가사에 곡을 붙였고 이 노래는 중국국민당 당가로 사용되었다. 1930년에 장제스가 중화민국의 국가로 지정하였다. 대만 정부가 내놓는 공식 자료에는 청마오윈 작곡, 쑨원 작사, 장제스 지정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공식 자료에는 최초로 이 곡을 불러서 녹음한 가수가 누군지는 알 수 없다고 적혀 있다. 이후 국부천대 이후인 현 대만에서도 쭉 사용되고 있다.
+
1928년에 작곡가 청마오윈(程懋筠)이 이 가사에 곡을 붙였고 이 노래는 중국국민당 당가로 사용되었다. 1930년에 장제스가 중화민국의 국가로 지정하였다. 대만 정부가 내놓는 공식 자료에는 청마오윈 작곡, 쑨원 작사, 장제스 지정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공식 자료에는 최초로 이 곡을 불러서 녹음한 가수가 누군지는 알 수 없다고 적혀 있다. 이후 국부천대 이후인 현 대만에서도 쭉 사용되고 있다.
  
 
== 지리 ==
 
== 지리 ==
66번째 줄: 65번째 줄:
 
[[파일:대만 지형.jpg|썸네일|300픽셀|대만 지형]]
 
[[파일:대만 지형.jpg|썸네일|300픽셀|대만 지형]]
 
[[파일:대만 최고봉 위산(玉山).jpg|썸네일|300픽셀|대만 최고봉 위산(玉山)]]
 
[[파일:대만 최고봉 위산(玉山).jpg|썸네일|300픽셀|대만 최고봉 위산(玉山)]]
 
+
대만은 동아시아에 속하며,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동중국해]]와 [[한반도]], [[]] [[오키나와]]동쪽으로는 약 110km 떨어진 곳에 오키나와 제도의 요나구니섬과 [[태평양]]을, 서쪽으로는 대만해협과 중국 대륙을 바라보고 있다. 대만해협의 평균 거리는 약 200km이지만, 가장 좁은 지점은 대만 신주현(新竹縣)에서 푸지엔성 핑탄섬(福建省平潭島)까지 약 130km이다. 남서쪽으로는 남해와 광둥성(廣東省) 해안까지 연결된다. 남쪽으로는 [[바시해협]](Bashi Channel)을 사이에 두고 [[필리핀]]과 접해 있다.
대만은 [[동아시아]]에 속하며,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동중국해]]와 [[한반도]], [[일본]] [[오키나와현]]동쪽으로는 약 110km 떨어진 곳에 [[오키나와제도]]의 [[요나구니섬]]과 [[태평양]]을, 서쪽으로는 [[대만해협]]과 중국 대륙을 바라보고 있다. 대만해협의 평균 거리는 약 200km이지만, 가장 좁은 지점은 대만 신주현(新竹縣)에서 푸지엔성 핑탄섬(福建省平潭島)까지 약 130km이다. 남서쪽으로는 [[남중국해]]와 [[광둥성]](廣東省) 해안까지 연결된다. 남쪽으로는 [[루손해협]]의 북부에 해당하는 [[바시해협]](Bashi Channel)을 사이에 두고 [[필리핀]]과 접해 있다.
 
  
 
대만 본섬의 총면적은 36,188㎢이며 남북의 길이는 394km이다. 남북이 좁고 길게 뻗어 있기 때문에 고구마 지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동고서저(東高西低) 지형이며, 산지, 언덕, 분지, 고원, 평원 등이 주를 이룬다. 산지와 언덕의 비율이 전체 면적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대만 섬의 중앙산맥을 중심으로 산맥이 남북쪽으로 길게 뻗어 있다.
 
대만 본섬의 총면적은 36,188㎢이며 남북의 길이는 394km이다. 남북이 좁고 길게 뻗어 있기 때문에 고구마 지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동고서저(東高西低) 지형이며, 산지, 언덕, 분지, 고원, 평원 등이 주를 이룬다. 산지와 언덕의 비율이 전체 면적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대만 섬의 중앙산맥을 중심으로 산맥이 남북쪽으로 길게 뻗어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