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2번째 줄: 32번째 줄:
 
==지역에 따른 구분-동양식 대패와 서양식 대패==
 
==지역에 따른 구분-동양식 대패와 서양식 대패==
 
[[파일:서양대패.jpg|썸네일|300픽셀|'''서양대패''']]
 
[[파일:서양대패.jpg|썸네일|300픽셀|'''서양대패''']]
서양대패는 다른 전통 동양 대패들처럼 밀어서 표면을 다듬는다. 재질의 경우 원래는 서양대패도 고대 로마의 대패집이나, 메리 로즈호에 출토된 대패 유물에서 보듯이 몸체인 대패집이 목재였으나, 레너드 베일리(Leonard Bailey)가 1860년 개량하여 몸체가 철제에 [[볼트]]와 [[너트]]로 조립과 분리를 하고, 볼트를 돌려서 날길이와 각도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효율성과 정확도가 좋다는 장점이 있다.
+
서양대패는 다른 전통 동양 대패들처럼 밀어서 표면을 다듬는다. 재질의 경우 원래는 서양대패도 고대 로마의 대패집이나, 메리 로즈호에 출토된 대패 유물에서 보듯이 몸체인 대패집이 목재였으나, 레너드 베일리(Leonard Bailey)가 1860년 개량하여 몸체가 철제에 볼트와 너트로 조립과 분리를 하고, 볼트를 돌려서 날길이와 각도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효율성과 정확도가 좋다는 장점이 있다.
 
:{|class=wikitable width=700
 
:{|class=wikitable width=700
 
!align=center|구분
 
!align=center|구분
88번째 줄: 88번째 줄:
  
 
조선 후기가 되면 대패의 종류와 기능이 다양해진다. 모양을 내고자 하는 의도에 따라 여러 가지 대패가 나타나게 되었다. 기둥면과 모서리, 창호 틀, 창살 등에도 여러 가지 문양을 만들게 되면서 이러한 장식 문양에 맞추어 대패바닥 모양이 다양해졌다. 사밀이는 기둥면 중심 부분에 파도 모양의 곡선을 넣음으로써 장식 효과를 내는 데 사용한다. 이뿐만 아니라 창호 틀에 장식 선을 넣을 때도 사용한다. 모끼대패는 기둥 모서리에 곡선과 같은 장식 문양을 넣을 때 사용한다. 흔히 모서리를 죽인다고 말하는데 모서리의 장식 문양에 따라 쌍사모, 실모, 큰모, 둥근모, 게눈모, 평골모 등이 있다. 살밀이는 창살에 문양을 넣기 위하여 민다고 하여 살밀이대패라고 한다. 살의 문양에 따라 골밀이, 배밀이, 등밀이, 퇴밀이 등이 있다. 이밖에 대패는 모양과 기능에 따라 평대패, 장대패, 짧은대패, 곧날대패, 실대패, 개탕, 변탕, 뒤젭대패, 둥근 대패, 배꼽 대패 등이 있다.<ref>〈[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8298 대패]〉, 《한국민속대백과사전》</ref>
 
조선 후기가 되면 대패의 종류와 기능이 다양해진다. 모양을 내고자 하는 의도에 따라 여러 가지 대패가 나타나게 되었다. 기둥면과 모서리, 창호 틀, 창살 등에도 여러 가지 문양을 만들게 되면서 이러한 장식 문양에 맞추어 대패바닥 모양이 다양해졌다. 사밀이는 기둥면 중심 부분에 파도 모양의 곡선을 넣음으로써 장식 효과를 내는 데 사용한다. 이뿐만 아니라 창호 틀에 장식 선을 넣을 때도 사용한다. 모끼대패는 기둥 모서리에 곡선과 같은 장식 문양을 넣을 때 사용한다. 흔히 모서리를 죽인다고 말하는데 모서리의 장식 문양에 따라 쌍사모, 실모, 큰모, 둥근모, 게눈모, 평골모 등이 있다. 살밀이는 창살에 문양을 넣기 위하여 민다고 하여 살밀이대패라고 한다. 살의 문양에 따라 골밀이, 배밀이, 등밀이, 퇴밀이 등이 있다. 이밖에 대패는 모양과 기능에 따라 평대패, 장대패, 짧은대패, 곧날대패, 실대패, 개탕, 변탕, 뒤젭대패, 둥근 대패, 배꼽 대패 등이 있다.<ref>〈[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8298 대패]〉, 《한국민속대백과사전》</ref>
[[파일:휴대용 전동대패.jpg|썸네일|300픽셀|'''휴대용 전동대패''']]
 
[[파일:고정형 전동대패.jpg|썸네일|300픽셀|'''고정형 전동대패''']]
 
  
 
==사용 방법==
 
==사용 방법==
95번째 줄: 93번째 줄:
  
 
==전동대패==
 
==전동대패==
[[전기모터]]와 전동공구가 도입되면서 전동모터로 돌아가는 대패가 도입되었는데 분류하면 아래와 같다.
+
전기모터와 전동공구가 도입되면서 전동모터로 돌아가는 대패가 도입되었는데 분류하면 아래와 같다.
 
===휴대용===
 
===휴대용===
 
휴대하면서 목재 표면을 빠른 속도로 다듬는 휴대용 전동대패다. 구동 원리는 안에 있는 전동날이 회전하여 목재의 표면을 깎는다. 세밀한 작업보다는 목재의 표면을 많이 깎아야 하거나 육체적인 피로가 많을 대규모 가공 작업시에 사용된다. 서양에서는 미는 대패가 보편적이기 때문에, 그리고 신체구조와 물리적인 이유로 다른 휴대용 전동 목공구 처럼 밀어서 사용한다. 휴대하여 다양한 위치와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건설 현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휴대하면서 목재 표면을 빠른 속도로 다듬는 휴대용 전동대패다. 구동 원리는 안에 있는 전동날이 회전하여 목재의 표면을 깎는다. 세밀한 작업보다는 목재의 표면을 많이 깎아야 하거나 육체적인 피로가 많을 대규모 가공 작업시에 사용된다. 서양에서는 미는 대패가 보편적이기 때문에, 그리고 신체구조와 물리적인 이유로 다른 휴대용 전동 목공구 처럼 밀어서 사용한다. 휴대하여 다양한 위치와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건설 현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고정형===
 
===고정형===
 
목공소에서는 대패를 미는 방식보다 회전 대패날이 정반에 고정되어 있고, 목재를 그 위로 밀어서 깎는 기계가 더 많이 쓰인다. 국내에서는 손의 압력으로 목재를 기계탁자에 눌러서 혹은 밀어서 쓴다고 해서 흔히 수압(手押)대패라고 부른다. 손으로 밀어서 쓰는 방식 외에도 컨테이너 벨트에 목재를 자동으로 이송해 주며 정밀하게 깎는 기계도 있다. Table plane machine, Planner machine 등으로 구글에서 검색해 보면 많이 나오는데, 전부 외국산이다. 과거 피아노를 만들던 영창 같은 회사에서 목공 기계를 생산하였지만, 가구 및 목재 가공 산업이 인건비와 소음 분진이 발생하는 거친 작업 환경 탓에 완전 사양 산업이 되어 버린 후 국내에는 목공 기계 전문 제조사가 없다.
 
목공소에서는 대패를 미는 방식보다 회전 대패날이 정반에 고정되어 있고, 목재를 그 위로 밀어서 깎는 기계가 더 많이 쓰인다. 국내에서는 손의 압력으로 목재를 기계탁자에 눌러서 혹은 밀어서 쓴다고 해서 흔히 수압(手押)대패라고 부른다. 손으로 밀어서 쓰는 방식 외에도 컨테이너 벨트에 목재를 자동으로 이송해 주며 정밀하게 깎는 기계도 있다. Table plane machine, Planner machine 등으로 구글에서 검색해 보면 많이 나오는데, 전부 외국산이다. 과거 피아노를 만들던 영창 같은 회사에서 목공 기계를 생산하였지만, 가구 및 목재 가공 산업이 인건비와 소음 분진이 발생하는 거친 작업 환경 탓에 완전 사양 산업이 되어 버린 후 국내에는 목공 기계 전문 제조사가 없다.
 
==동영상==
 
<youtube>d4oQAS4xfpY</youtube>
 
<youtube>oMWN7CfmBpA</youtube>
 
  
 
{{각주}}
 
{{각주}}
111번째 줄: 105번째 줄:
 
* 〈[https://namu.wiki/w/%EB%8C%80%ED%8C%A8 대패]〉,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B%8C%80%ED%8C%A8 대패]〉, 《나무위키》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35378&cid=46656&categoryId=46656 대패]〉,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35378&cid=46656&categoryId=46656 대패]〉,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8298 대패]〉,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takeiteasy.no , 〈[https://takeiteasyno.tistory.com/11 대패(plane) - 목공용 대패 종류, 특징, 사용법 총 정리!]〉, 《티스토리》, 2020-02-14
 
* 목수모노, 〈[https://www.eugene.pe.kr/6 (기초지식)(손)대패(1)]〉, 《티스토리》, 2018-09-27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도구]]
+
* [[가공]]
* [[연장 (도구)|연장]]
 
* [[나무]]
 
* [[건축]]
 
* [[볼트]]
 
* [[너트]]
 
* [[전기모터]]
 
  
{{도구|검토 필요}}
+
{{자동차 제조|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