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코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도지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도지코인'''(Dogecoin)]]
 
[[파일:도지코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도지코인'''(Dogecoin)]]
  
'''도지코인'''<!--도지 코인, DOGE-->(Dogecoin, 狗狗币)은 인터넷으로 돈을 보내기 위해 만들어진 탈중앙화된 [[P2P]] 방식의 디지털 [[암호화폐]]이다. 도지코인의 티커는 '''DOGE'''이다. 도지코인의 기호는 '''Ð'''(에드)이다. 도지코인의 시가 총액은 [[코인마켓캡]]에서 2019년 1월 기준으로 2억 5천만 달러, 즉 약 2,800억 원으로서, 시가 총액 23위의 암호화폐이다.
+
'''도지코인'''<!--도지 코인, DOGE-->(Dogecoin, 狗狗币)은 인터넷으로 돈을 보내기 위해 만들어진 탈중앙화된 [[P2P]] 방식의 디지털 [[암호화폐]]이다. 도지코인의 화폐 단위는 '''DOGE'''이다. 도지코인의 기호는 '''Ð'''(에드)이다. 도지코인의 시가 총액은 [[코인마켓캡]]에서 2019년 1월 기준으로 2억 5천만 달러, 즉 약 2,800억 원으로서, 시가 총액 23위의 암호화폐이다.
  
 
==개요==
 
==개요==
도지코인은 [[암호화폐]]를 쉽게 보낼 수 있는 발행량 무제한의 탈중앙화된 P2P 방식의 디지털 암호화폐로 [[빌리 마커스]](Billy Markus)와 [[잭슨 팔머]](Jackson Palmer)에 의해 개발되었다.<ref> jruit, 〈[https://steemit.com/kr/@jruit/dogecoin 도지코인(Dogecoin)에 대해 알아보자]〉, 《스팀잇》</ref> 2013년 12월 6일 처음 발행되었으며 기존의 [[라이트코인]]에서 하드포크된 [[럭키코인]]을 다시 또 하드포크하여 도지코인을 만들었다. 도지코인은 도지코인 재단에 의해 활발한 모금활동을 펼치고 있다.
+
도지코인은 [[암호화폐]]를 쉽게 보낼 수 있는 발행량 무제한의 탈중앙화된 P2P 방식의 디지털 암호화폐로 [[빌리 마르쿠스]](Billy Markus)와 [[잭슨 팔머]](Jackson Palmer)에 의해 개발되었다.<ref> jruit, 〈[https://steemit.com/kr/@jruit/dogecoin 도지코인(Dogecoin)에 대해 알아보자]〉, 《스팀잇》</ref> 2013년 12월 6일 처음 발행되었으며 기존의 [[라이트코인]]에서 하드포크된 [[럭키코인]]을 다시 또 하드포크하여 도지코인을 만들었다. 도지코인은 도지코인 재단에 의해 활발한 모금활동을 펼치고 있다.
  
 
== 어원 ==
 
== 어원 ==
[[파일:빌리 마커스.jpg|썸네일|200픽셀|'''[[빌리 마커스]]'''(Billy Markus) 도지코인 창시자]]
+
[[파일:빌리 마르쿠스.jpg|썸네일|200픽셀|'''[[빌리 마르쿠스]]'''(Billy Markus) 도지코인 창시자]]
 
[[파일:잭슨 팔머.jpg|썸네일|200픽셀|'''[[잭슨 팔머]]'''(Jackson Palmer) 도지코인 공동 창시자]]
 
[[파일:잭슨 팔머.jpg|썸네일|200픽셀|'''[[잭슨 팔머]]'''(Jackson Palmer) 도지코인 공동 창시자]]
  
14번째 줄: 14번째 줄:
  
 
==역사==
 
==역사==
도지코인은 2013년 12월, 미국 [[IBM]]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하는 [[빌리 마커스]](Billy Markus)와 미국 [[어도비]](Adobe) 회사에서 근무하던 마케팅 전문가인 [[잭슨 팔머]](Jackson Palmer)에 의해 설립되었다. 빌리 마커스는 인터넷에 도지코인 관련 개발 계획을 올렸고, 잭슨 팔머가 이 글을 보고 인터넷으로 연락하여 도지코인 재단에 합류하였다. 즉, 농담으로 시작한 이야기를 곧바로 실행에 옮겨 [[암호화폐]]를 개발한 것이다.
+
도지코인은 2013년 12월, 미국 [[IBM]]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일하는 [[빌리 마르쿠스]](Billy Markus)와 미국 [[어도비]](Adobe) 회사에서 근무하던 마케팅 전문가인 [[잭슨 팔머]](Jackson Palmer)에 의해 설립되었다. 빌리 마르쿠스는 인터넷에 도지코인 관련 개발 계획을 올렸고, 잭슨 팔머가 이 글을 보고 인터넷으로 연락하여 도지코인 재단에 합류하였다. 즉, 농담으로 시작한 이야기를 곧바로 실행에 옮겨 [[암호화폐]]를 개발한 것이다.
  
 
도지는 [[유튜브]]의 어느 인형극에 쓰인 인형 하나가 dog를 doge로 잘못 쓰고 다른 인형은 Dohj라고 잘못 쓴 채 연극한 2005년 인형극 인터넷 밈(meme)에서 시작되었다.<ref name="Central Mining">Central Mining, 〈[https://blog.naver.com/momdadbaby/221180223404 알트코인들의 태동(4)]〉, 《네이버 블로그》, 2018-01-08</ref>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도지코인은 [[채굴자]]들이 [[비트코인]]을 획득하기 위해 경쟁하면서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게 되는 컴퓨팅 파워를 키우는 것에 대한 인센티브를 얻지 못하도록 채굴 시스템을 조정한 [[라이트코인]]의 설립자인 [[찰리 리]](Charlie Lee)의 아이디어로 설명될 수 있다.<ref name="Central Mining"></ref> 하지만 도지코인에게 더 중요했던 것은 자체적으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지 여부와 사용자들이 이것을 스스로 암호화폐로서 사용하게끔 만드는 것이었다.
 
도지는 [[유튜브]]의 어느 인형극에 쓰인 인형 하나가 dog를 doge로 잘못 쓰고 다른 인형은 Dohj라고 잘못 쓴 채 연극한 2005년 인형극 인터넷 밈(meme)에서 시작되었다.<ref name="Central Mining">Central Mining, 〈[https://blog.naver.com/momdadbaby/221180223404 알트코인들의 태동(4)]〉, 《네이버 블로그》, 2018-01-08</ref>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도지코인은 [[채굴자]]들이 [[비트코인]]을 획득하기 위해 경쟁하면서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게 되는 컴퓨팅 파워를 키우는 것에 대한 인센티브를 얻지 못하도록 채굴 시스템을 조정한 [[라이트코인]]의 설립자인 [[찰리 리]](Charlie Lee)의 아이디어로 설명될 수 있다.<ref name="Central Mining"></ref> 하지만 도지코인에게 더 중요했던 것은 자체적으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지 여부와 사용자들이 이것을 스스로 암호화폐로서 사용하게끔 만드는 것이었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특징==
 
==특징==
도지코인은 기존의 [[라이트코인]]에서 [[하드포크]]된 [[럭키코인]]을 다시 또 하드포크하여 만들어졌다. 때문에 처음에는 럭키코인과 같이 채굴보상이 랜덤이었는데, 이후 정해진 보상으로 그 정책을 바꿨다. 도지코인은 빠른 코인 생산 속도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블록체인에서 각 블록 생성 간격이 10분이 걸리는 [[비트코인]]과 2분이 걸리는 라이트코인에 비해 도지코인은 블록 생성 간격이 1분이다. 또 다른 도지코인의 특징은 발행 상한이 없다는 것이다. 개발 초기에는 생산량이 1,000억 개로 고정되어 있었는데 무제한 생산으로 바뀌었다. 현재 10,000개의 코인이 1분마다 생겨나는 중이며, 1년에 52억 개의 새로운 도지코인이 생겨난다.<ref>수석 매니저, 〈[https://blog.naver.com/sailrol/221251074384 (리치코인)도지코인 호재, 전망]〉, 《네이버 블로그》, 2018-04-12</ref> 2015년 6월 30일 기준, 이미 1,000억 개의 도지코인이 생산되었다.
+
도지코인은 기존의 [[라이트코인]]에서 [[하드포크]]된 [[럭키코인]]을 다시 또 하드포크하여 만들어졌다. 때문에 처음에는 럭키코인과 같이 채굴보상이 랜덤이었는데, 이후 정해진 보상으로 그 정책을 바꿨다. 도지코인은 빠른 코인 생산 속도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블록체인에서 각 블록 생성 간격이 10분이 걸리는 [[비트코인]]과 2분이 걸리는 라이트코인에 비해 도지코인은 블록 생성 간격이 1분이다. 또 다른 도지코인의 특징은 발행 상한이 없다는 것이다. 개발 초기에는 생산량이 1,000억 개로 고정되어 있었는데 무제한 생산으로 바뀌었다. 현재 10,000개의 코인이 1분마다 생겨나는 중이며, 1년에 52억 개의 새로운 도지코인이 생겨난다.<ref>수석 매니저, 〈[https://blog.naver.com/sailrol/221251074384 (리치코인)도지코인 호재, 전망]〉, 《네이버 블로그》, 2018-04-12</ref> 2015년 6월 30일 기준, 이미 1,000억 개의 도지코인이 생산되었다. 도지코인은 무료로 얻을 있는데, 먼저 도지코인 홈페이지에 가입을 하고 지갑을 생성하면 1시간마다 한 번식 간단한 게임을 할 수 있다. 게임을 통해 최고 150달러 상당의 랜덤한 도지코인을 받을 있다.
 
 
== DRC-20 ==
 
[[DRC-20]] 토큰 표준은 도지코인 체인의 중요한 발전으로, 이는 단순한 밈 기반 암호화폐에서 더 기능적이고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이 표준은 이더리움의 ERC-20 표준과 유사하게 상호 교환 가능한 토큰을 제작할 있게 하며, 도지코인 환경에 맞게 조정되어 있다.
 
DRC-20은 NFT(대체 불가능 토큰)도 지원하는데, 이는 디지털 아트나 수집품과 같은 디지털 항목의 토큰화를 가능하게 하여 도지코인의 사용 범위를 확장한다. NFT 기능의 통합은 창작자와 예술가들이 디지털 소유권과 수익 창출을 위해 플랫폼을 활용할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DRC-20은 이전 토큰 표준의 제약을 개선하고자 개발되었으며, 빠른 거래 속도와 낮은 거래 수수료를 제공한다. 이러한 개선은 도지코인 네트워크를 사용자에게 더 즐겁게 하고 암호화폐 환경 내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DRC-20은 펀저블 토큰부터 독특한 NFT까지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생성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에서 가능한 거래와 상호 작용의 종류를 다양화한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의 새로운 영역으로의 확장은 도지코인의 유용성을 강화하고, 암호화폐 공간 내에서 더 다양하고 강력한 플랫폼으로서의 위치를 확립한다.
 
  
 
== 활용 ==
 
== 활용 ==
44번째 줄: 38번째 줄:
 
==거래소==
 
==거래소==
 
도지코인은 전 세계 여러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특히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코인익스체인지]](CoinExchange) 거래소에서는 도지코인을 [[기축통화]]로 하여 다른 코인과 교환할 수 있는 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도지코인은 전 세계 여러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특히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코인익스체인지]](CoinExchange) 거래소에서는 도지코인을 [[기축통화]]로 하여 다른 코인과 교환할 수 있는 시장이 개설되어 있다.
 
== 동영상 ==
 
<youtube>j27aH6lLYwg</youtube>
 
  
 
{{각주}}
 
{{각주}}
52번째 줄: 43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도지코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dogecoin.com/
 
* 도지코인 공식 홈페이지 - https://dogecoin.com/
* 도지코리아 한국그룹 - https://t.me/dogekorea/
 
 
* "[https://en.wikipedia.org/wiki/Dogecoin Dogecoin]", ''Wikipedia''
 
* "[https://en.wikipedia.org/wiki/Dogecoin Dogecoin]", ''Wikipedia''
 
* 비트웹 편집국,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403 도지코인 - 참 말도 안되는 코인이 일을 냈다!]〉, 《비트웹》, 2018-02-25
 
* 비트웹 편집국, 〈[http://www.bitweb.co.kr/news/view.php?idx=403 도지코인 - 참 말도 안되는 코인이 일을 냈다!]〉, 《비트웹》, 2018-02-25
58번째 줄: 48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빌리 마커스]]
+
* [[빌리 마르쿠스]]
 
* [[잭슨 팔머]]
 
* [[잭슨 팔머]]
* [[일론 머스크]]
 
 
* [[라이트코인]]
 
* [[라이트코인]]
 
* [[럭키코인]]
 
* [[럭키코인]]
* [[마스크도지코인]]
 
 
* [[버지]]
 
* [[버지]]
 
* [[코인익스체인지]]
 
* [[코인익스체인지]]
  
 +
{{로고 수정 필요|암호화폐}}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