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레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둘레길'''은 관광 사업을 목적으로 도보 여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성한 [[길]]을 말한다. 동기 부여를 위해 스탬프 투어와 병행하기도 한다. '''걷기길''', '''걷기여행길'''이나 '''도보여행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한국관광공사에서는 '''걷기여행길'''이라는 명칭으로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올레길과 서울특별시의 북한산 둘레길의 성공으로 많은 지자체에서 둘레길을 개발하였다. 가장 가까운 의미의 영어 단어로는 'Trail'이 있다.
+
'''둘레길'''은 관광 사업을 목적으로 도보 여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성한 [[길]]을 말한다. 동기 부여를 위해 스탬프 투어와 병행하기도 한다. '걷기길', '걷기여행길'이나 '도보여행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한국관광공사에서는 '걷기여행길'이라는 명칭으로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올레길과 서울특별시의 북한산 둘레길의 성공으로 많은 지자체에서 둘레길을 개발하였다. 가장 가까운 의미의 영어 단어로는 'Trail'이 있다.
  
 
== 대한민국 ==
 
== 대한민국 ==
5번째 줄: 5번째 줄:
  
 
=== 여러 지역에 걸친 코스 ===
 
=== 여러 지역에 걸친 코스 ===
* '''해파랑길'''  
+
* '''해파랑길''' : [[부산광역시]] 남구 [[오륙]]도에서 시작해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를 거쳐 강원도 고성군 통일전망대를 종점으로 동해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둘레길. 단연 대한민국의 단일 둘레길 중 가장 길다. 총 연장 768.5km, 50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제진검문소 ~ 통일전망대구간(6.8km)를 제외한 전 구간은 도보 통행이 가능하다.(상시통행가능구간 761.7km) 동해는 서해나 남해처럼 해안선이 복잡하지 않아 일부 보안시설이 해안가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탁 트인 동해 바다를 옆에 끼고 걸으므로 전 구간이나 부분구간을 걸어본 사람들의 평가도 좋은 편이다. 해파랑길 홈페이지(https://www.durunubi.kr/haeparang-main.do)
[[부산광역시]] 남구 [[오륙]]도에서 시작해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를 거쳐 강원도 고성군 통일전망대를 종점으로 동해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둘레길. 단연 대한민국의 단일 둘레길 중 가장 길다. 총 연장 768.5km, 50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제진검문소 ~ 통일전망대구간(6.8km)를 제외한 전 구간은 도보 통행이 가능하다.(상시통행가능구간 761.7km) 동해는 서해나 남해처럼 해안선이 복잡하지 않아 일부 보안시설이 해안가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탁 트인 동해 바다를 옆에 끼고 걸으므로 전 구간이나 부분구간을 걸어본 사람들의 평가도 좋은 편이다. 해파랑길 홈페이지(https://www.durunubi.kr/haeparang-main.do)
 
  
 
해파랑길의 남해, 서해 버전인 남파랑길과 서해랑길도 있는데, 남파랑길의 경우 기종점간의 직선거리는 부산 - 고성보다 부산 - 해남이 훨씬 짧지만 해안선이 매우 복잡해 남파랑길이 더 길고 복잡하다. 공식 가이드북도 해파랑길은 1권으로 되어 있는데 남파랑길은 경상남도, 전라남도 두 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서해를 따라가는 서해랑길은 아직 정비되지 않았는데, 코스가 100구간을 넘어가 국내 최장의 둘레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파랑길의 남해, 서해 버전인 남파랑길과 서해랑길도 있는데, 남파랑길의 경우 기종점간의 직선거리는 부산 - 고성보다 부산 - 해남이 훨씬 짧지만 해안선이 매우 복잡해 남파랑길이 더 길고 복잡하다. 공식 가이드북도 해파랑길은 1권으로 되어 있는데 남파랑길은 경상남도, 전라남도 두 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서해를 따라가는 서해랑길은 아직 정비되지 않았는데, 코스가 100구간을 넘어가 국내 최장의 둘레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DMZ 평화의 길'''  
+
* '''DMZ 평화의 길''' : 남북한을 가르는 휴전선을 낀 비무장지대를 걷는 길. 철원 코스, 파주 코스, 고성 A코스, 고성 B코스가 있다. 2019년 기준 아프리카돼지열병 때문에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DMZ 평화의 길 홈페이지(https://www.durunubi.kr/dmz-main.do)
남북한을 가르는 휴전선을 낀 비무장지대를 걷는 길. 철원 코스, 파주 코스, 고성 A코스, 고성 B코스가 있다. 2019년 기준 아프리카돼지열병 때문에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DMZ 평화의 길 홈페이지(https://www.durunubi.kr/dmz-main.do)
 
  
* '''평화누리길'''  
+
* '''평화누리길''' : 평화누리길은 총 12개 코스(김포 3코스, 고양 2코스, 파주 4코스, 연천 3코스로 구성), 189km의 길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길 위에서 경기도의 다양한 역사 유적을 만나는 것은 물론 마을 안길, 논길, 제방길, 해안 철책, 한강 하류, 임진강 등 다양한 길을 접할 수 있다. 나이 지긋한 어르신에게는 옛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공간들부터 아이들에게는 자연과 역사,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까지 자연스럽게 제공하고 있다. 경기둘레길, DMZ 평화의길과 중복된다.평화누리길 공식카페(https://cafe.daum.net/ggtrail)
평화누리길은 총 12개 코스(김포 3코스, 고양 2코스, 파주 4코스, 연천 3코스로 구성), 189km의 길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길 위에서 경기도의 다양한 역사 유적을 만나는 것은 물론 마을 안길, 논길, 제방길, 해안 철책, 한강 하류, 임진강 등 다양한 길을 접할 수 있다. 나이 지긋한 어르신에게는 옛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공간들부터 아이들에게는 자연과 역사,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까지 자연스럽게 제공하고 있다. 경기둘레길, DMZ 평화의길과 중복된다.평화누리길 공식카페(https://cafe.daum.net/ggtrail)
 
  
 
=== 수도권 ===
 
=== 수도권 ===
 
* '''북한산 둘레길''' : 국립공원공단이 관리하는 둘레길. 북한산 둘레의 서울특별시, 고양시, 의정부시를 잇는 도보길
 
* '''북한산 둘레길''' : 국립공원공단이 관리하는 둘레길. 북한산 둘레의 서울특별시, 고양시, 의정부시를 잇는 도보길
 
==== 서울특별시 ====
 
==== 서울특별시 ====
* 서울두드림길
+
* 서울두드림길 : 서울의 아름다운 생태, 역사, 문화자원을 천천히 걸으면서 느끼고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도보중심의 길로서 도심에서 '자연의 느림과 여유'를 만끽할 수 있는 코스이다. 서울두드림길은 서울둘레길과 그밖의 길(한양 도성길, 근교산자락길, 생태문화길, 한강/지천길)로 크게 구분된다.
서울의 아름다운 생태, 역사, 문화자원을 천천히 걸으면서 느끼고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도보중심의 길로서 도심에서 '자연의 느림과 여유'를 만끽할 수 있는 코스이다. 서울두드림길은 서울둘레길과 그밖의 길(한양 도성길, 근교산자락길, 생태문화길, 한강/지천길)로 크게 구분된다.
+
:* 서울둘레길 : 서울을 한 바퀴 휘감는 총 연장 156.5km의 서울둘레길은 8개 코스로 서울의 역사, 문화, 자연생태 등을 스토리로 엮어 국내외 탐방객들이 느끼고,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한 도보길이다. 서울둘레길은 '숲길', '하천길', '마을길'로 구성되어 있다. 둘레길 곳곳에 휴게시설과 북카페, 쉼터를 만들어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했고, 전통 깊은 사찰과 유적지을 연결해 서울의 역사와 문화, 자연생태를 곳곳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대중교통으로도 접근하기 쉬우며 주로 경사가 심하지 않은 흙길로 되어 있어 누구나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다.
 
 
:* 서울둘레길
 
:서울을 한 바퀴 휘감는 총 연장 156.5km의 서울둘레길은 8개 코스로 서울의 역사, 문화, 자연생태 등을 스토리로 엮어 국내외 탐방객들이 느끼고,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한 도보길이다. 서울둘레길은 '숲길', '하천길', '마을길'로 구성되어 있다. 둘레길 곳곳에 휴게시설과 북카페, 쉼터를 만들어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했고, 전통 깊은 사찰과 유적지을 연결해 서울의 역사와 문화, 자연생태를 곳곳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하였다. 대중교통으로도 접근하기 쉬우며 주로 경사가 심하지 않은 흙길로 되어 있어 누구나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다.
 
 
 
 
:* 한양도성길   
 
:* 한양도성길   
 
:* 근교산자락길
 
:* 근교산자락길
34번째 줄: 27번째 줄:
 
* 한성백제왕도길
 
* 한성백제왕도길
  
* '''송파둘레길'''
+
* 송파둘레길 : 송파둘레길은 송파구 외곽을 따라 흐르는 4개 하천인 성내천, 장지천, 탄천, 한강을 잇는 21km의 '순환형 산책로'다. 둘레길 코스 역시 1코스 성내천 구간(6km) , 2코스 장지천 구간(4.4km) , 3코스 탄천 구간(7.4km) , 4코스 한강 구간(3.2km) 네 가지. 서울에서는 보기 드문 '물길'이기에 걷다가 마주치는 풍경이 더욱 싱그럽게 다가온다. 물길과 숲길을 따라 네 구간을 완주하려면 5시간 30분 걸리는데, 올림픽공원·장지근린공원· 방이습지 등 자연 명소와 가든파이브·가락시장 등 송파구의 주요 상권까지 촘촘히 이어져 있어 사통팔달 송파 지역 어디서든 접근 가능하다.
송파둘레길은 송파구 외곽을 따라 흐르는 4개 하천인 성내천, 장지천, 탄천, 한강을 잇는 21km의 '순환형 산책로'다. 둘레길 코스 역시 1코스 성내천 구간(6km) , 2코스 장지천 구간(4.4km) , 3코스 탄천 구간(7.4km) , 4코스 한강 구간(3.2km) 네 가지. 서울에서는 보기 드문 '물길'이기에 걷다가 마주치는 풍경이 더욱 싱그럽게 다가온다. 물길과 숲길을 따라 네 구간을 완주하려면 5시간 30분 걸리는데, 올림픽공원·장지근린공원· 방이습지 등 자연 명소와 가든파이브·가락시장 등 송파구의 주요 상권까지 촘촘히 이어져 있어 사통팔달 송파 지역 어디서든 접근 가능하다.
 
  
* '''강남구 걷기코스'''
+
* 강남구 걷기코스 : 도심길·둘레길·힐링길 3가지 코스로 걸을 수 있다. 강남구 곳곳의 역사·문화를 느끼고 힐링할 수 있는 양재천 18㎞와 대모산 둘레길 27㎞ 등을 탐방할 수 있다.특히 봉은사와 선정릉역이 포함된 '도심길'은 '도심 청정길-탄천 뚝방길-청담 나들길-건강 시그널길-건강 드림길' 코스로 강남의 문화와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양재천, 물굽이공원이 있는 '둘레길'은 '명품·생태 하천길-정상·둘레 숲길'코스로 하천과 숲, 공원 등을 소개하며, '힐링길'은 '대모산 치유 숲길과 맨발 치유길-도곡 치유 숲길' 코스로 안내한다. 아울러 강남구 걷기 여행은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출발지와 도착지를 지하철역으로 구성됐으며, '더강남', '워크온(Walk on)'앱을 기반으로 운영돼 걷기 활동을 공유하면 건강정보를 제공받고, 기부참여도 가능하다.
도심길·둘레길·힐링길 3가지 코스로 걸을 수 있다. 강남구 곳곳의 역사·문화를 느끼고 힐링할 수 있는 양재천 18㎞와 대모산 둘레길 27㎞ 등을 탐방할 수 있다.특히 봉은사와 선정릉역이 포함된 '도심길'은 '도심 청정길-탄천 뚝방길-청담 나들길-건강 시그널길-건강 드림길' 코스로 강남의 문화와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양재천, 물굽이공원이 있는 '둘레길'은 '명품·생태 하천길-정상·둘레 숲길'코스로 하천과 숲, 공원 등을 소개하며, '힐링길'은 '대모산 치유 숲길과 맨발 치유길-도곡 치유 숲길' 코스로 안내한다. 아울러 강남구 걷기 여행은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출발지와 도착지를 지하철역으로 구성됐으며, '더강남', '워크온(Walk on)'앱을 기반으로 운영돼 걷기 활동을 공유하면 건강정보를 제공받고, 기부참여도 가능하다.
 
  
 
====  경기도 ====
 
====  경기도 ====
82번째 줄: 73번째 줄:
  
 
==== 제주특별자치도 ====
 
==== 제주특별자치도 ====
* '''제주 올레길'''
+
* 제주 올레길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둘레길. 제주도의 걷기 좋은 길을 선정하여 2007년 9월 8일 제1코스(시흥초등학교~수마포 해안)를 시작으로 각 코스가 차례로 개장되었으며, 2012년 11월 24일 제주해녀박물관~종달바당을 잇는 21코스의 개장으로 제주도를 한 바퀴 연결하는 올레코스가 완전히 연결되었다. 총연장 약 420km의 긴 코스를 모두 완주하려면 부지런히 걷기만 했을 때 보통 3주 정도 걸리며 말 그대로 '놀멍 쉬멍 걸으명'하면 얼마나 걸릴지는 알 수 없다.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둘레길. 제주도의 걷기 좋은 길을 선정하여 2007년 9월 8일 제1코스(시흥초등학교~수마포 해안)를 시작으로 각 코스가 차례로 개장되었으며, 2012년 11월 24일 제주해녀박물관~종달바당을 잇는 21코스의 개장으로 제주도를 한 바퀴 연결하는 올레코스가 완전히 연결되었다. 총연장 약 420km의 긴 코스를 모두 완주하려면 부지런히 걷기만 했을 때 보통 3주 정도 걸리며 말 그대로 '놀멍 쉬멍 걸으명'하면 얼마나 걸릴지는 알 수 없다.
  
110번째 줄: 101번째 줄:
  
 
{{도로|검토 필요}}
 
{{도로|검토 필요}}
{{관광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