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좌석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뒷좌석.jpg|썸네일|300픽셀|'''뒷좌석''']]
 
[[파일:뒷좌석.jpg|썸네일|300픽셀|'''뒷좌석''']]
  
'''[[뒷좌석]]'''은 자동차 뒷자리에 있는 좌석을 가리킨다. '''백시트'''<!--백 시트-->(backseat) 또는 '''리어시트'''<!--리어 시트-->(rear seat)라고도 한다.
+
'''[[뒷좌석]]'''은 자동차에서 뒷자리에 있는 좌석을 가리키며 '''백시트'''(backseat) 또는 '''리어시트'''(Rear seat)라고도 한다.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2867&cid=50322&categoryId=50322 뒷좌석]〉, 《네이버 지식백과》</ref>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2867&cid=50322&categoryId=50322 뒷좌석]〉, 《네이버 지식백과》</ref>
{{:자동차 배너|부품}}
 
  
 
==개요==
 
==개요==
11번째 줄: 10번째 줄:
  
 
==구조==
 
==구조==
* '''[[벤치시트]]'''(bench seat) : 앉기 위한 수평 부분으로 3개의 공간으로 되어있다.
+
* '''[[암레스트]]'''(armrest) : 뒷좌석 중간에 있는 접이식 지지대이며 팔을 얹을 수 있다.
* '''[[암레스트]]'''(armrest) : 뒷좌석 중간에 있는 [[접이식 지지대]]이다. [[팔]]을 얹을 수 있다.
+
* '''버클'''(buckle) : 탑승자가 매는 안전띠를 고정시키는 고리로 손가락으로 눌러서 푼다.
* '''[[버클]]'''(buckle) : 탑승자가 매는 [[안전띠]]를 고정시키는 [[고리]]이다. [[손가락]]으로 눌러서 푼다.
+
* '''벤치 시트'''(bench seat) : 앉기 위한 수평 부분으로 3개의 공간으로 되어있다.
  
 
==후석 승객 알림==
 
==후석 승객 알림==
[[파일:후석 승객 알림 계기판 경고문.jpg|썸네일|300픽셀|'''후석 승객 알림 계기판 경고문''']]
 
[[파일:레이더 센서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jpg|썸네일|300픽셀|'''레이더 센서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
 
[[현대자동차그룹]]은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2018년 현대자동차의 4세대 싼타페에 적용했다. 뒷좌석 승객 알림은 운전자가 차에서 내릴 때 영유아나 어린이가 하차하지 않고 뒷좌석에 남아 있다고 인지하면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해 방치 사고를 예방하는 기술이다.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의 효과는 매우 확실하다. 세계 각국에서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을 자동차에 의무적으로 적용하도록 하는 법과 규정을 만들고 있을 정도다. 우리나라에서는 2017년 7월 통학버스 뒷좌석 탑승 감지 경보 시스템 설치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자동차 관리법 개정 법률안이 발의됐다. 그리고 지난 2018년 통학버스에 어린이가 머무는 것을 예방하는 '잠자는 아이 확인 장치'의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했다. 현대차그룹은 2018년 싼타페에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을 적용한 이후 현대차 [[아반떼]], [[쏘나타]], [[팰리세이드]], 기아차 [[쏘렌토]], [[쏘울]], 그리고 [[제네시스]] GV80, G80를 중심으로 해당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초음파 센서 후석 승객 알림===
 
초음파 센서를 활용하는 기존의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은 뒷문의 개폐로 뒷좌석 승객 탑승 여부를 인지한다. 이후 주행을 마친 운전자가 시동을 끄고 하차하기 위해 문을 열면 계기판에 뒷좌석을 확인하라는 경고문을 띄운다.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제 역할을 하는 건, 운전자가 문을 닫고 잠근 이후부터다. 뒷좌석 천장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를 통해 방치된 탑승자가 있나 감지하기 시작한다. 초음파 센서는 24시간 동안 작동하며, 뒷좌석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면 경적음과 함께 비상 경고등을 25초 동안 작동시켜 주위에 문제 상황을 알린다. 블루링크 가입자에게는 문자도 발송한다. 초음파 센서에 움직임이 계속해서 감지될 경우 알림은 최대 8번까지 반복된다. 하지만 현재 사용 중인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이 완벽한 것만은 아니다. 가령 초음파는 도달 거리가 길수록 정확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어린이 통학버스에 해당 시스템이 탑재되었을 경우 제 기능을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온도 변화나 음향 간섭에 의한 영향도 받는다. 때문에 영유아가 잠들어 움직임이 거의 없거나, 담요 등으로 덮여 있을 때는 탐지가 불가능하다. 기류나 온도 변화가 심할 때 역시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
 
===레이더 센서 후석 승객 알림===
 
현대모비스가 공개한 새로운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은 초음파 센서가 아닌 레이더 센서를 기반으로 한다. 초음파 센서의 단점을 해결하고, 보다 다양한 안전 기술로의 확장까지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레이더 센서는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 부품이다. 자율주행차는 자동차 스스로 도로 위 모든 상황과 변수를 감지해야 한다. 따라서 매우 정밀한 센서가 필요한데, 현 시점에서 이 기준에 가장 부합하는 게 바로 레이더 센서다. 기본적으로 레이더는 투과성이 좋다. 탑승자의 옷이나 담요 등을 투과해 탑승객의 흉부, 혈류의 미세한 움직임 같은 다양한 생체 신호를 파악할 수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레이더 센서는 초음파 센서로는 불가능했던 잠든 영유아나 담요 속 어린이의 탑승 유무를 탐지할 수 있다. 또한 기류나 온도 변화에 대한 영향도 초음파 센서에 비해 적다. 센서의 정밀도 역시 뛰어나 뒷좌석 탑승자가 성인이나 영유아인지, 아님 반려동물인지도 구분할 수 있다. 새로운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은 이와 같은 고정밀 레이더 센서를 바탕으로 승객의 미세한 움직임을 구분하는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설계를 반영해 완성됐다.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석 시트 쪽 천장 내부에 장착되는 레이더 센서 모듈과 탑승객 유무 정보와 자동차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CAN 네트워크, 계기판과 경적음 및 비상경고등 같이 자동차의 여러 부분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IBU(Integrated Body-control Unit)로 이뤄진다.<ref>〈[https://news.hmgjournal.com/Tech/%EC%B2%A8%EB%8B%A8-%EB%A0%88%EC%9D%B4%EB%8D%94-%EA%B8%B0%EC%88%A0%EB%A1%9C-%EB%92%B7%EC%A2%8C%EC%84%9D-%ED%83%91%EC%8A%B9-%EC%96%B4%EB%A6%B0%EC%9D%B4%EC%9D%98-%EC%95%88%EC%A0%84%EC%9D%84-%EC%B1%85%EC%9E%84%EC%A7%80%EB%8A%94-%EC%83%88%EB%A1%9C%EC%9A%B4-%ED%9B%84%EC%84%9D%EC%8A%B9%EA%B0%9D%EC%95%8C%EB%A6%BC-%EC%8B%9C%EC%8A%A4%ED%85%9C 첨단 레이더 기술로 뒷좌석 탑승 어린이의 안전을 책임지는 새로운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 《HMG 저널》, 2020-05-29</ref>
 
  
 
{{각주}}
 
{{각주}}
28번째 줄: 20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2867&cid=50322&categoryId=50322 뒷좌석]〉,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52867&cid=50322&categoryId=50322 뒷좌석]〉, 《네이버 지식백과》
* 김범규, 〈[https://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633 가장 안전한 좌석은 ‘가운데 뒷좌석’…추석길 안전운전 3계명]〉, 《CCTV뉴스》, 2020-09-29
 
* 주애진,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30722/56581517/1 카시트 없는 뒷좌석 어린이, 사고때 중상률 50배 높아]〉, 《동아일보》, 2014-07-22
 
* 〈[https://news.hmgjournal.com/Tech/%EC%B2%A8%EB%8B%A8-%EB%A0%88%EC%9D%B4%EB%8D%94-%EA%B8%B0%EC%88%A0%EB%A1%9C-%EB%92%B7%EC%A2%8C%EC%84%9D-%ED%83%91%EC%8A%B9-%EC%96%B4%EB%A6%B0%EC%9D%B4%EC%9D%98-%EC%95%88%EC%A0%84%EC%9D%84-%EC%B1%85%EC%9E%84%EC%A7%80%EB%8A%94-%EC%83%88%EB%A1%9C%EC%9A%B4-%ED%9B%84%EC%84%9D%EC%8A%B9%EA%B0%9D%EC%95%8C%EB%A6%BC-%EC%8B%9C%EC%8A%A4%ED%85%9C 첨단 레이더 기술로 뒷좌석 탑승 어린이의 안전을 책임지는 새로운 ‘후석 승객 알림’ 시스템]〉, 《HMG 저널》, 2020-05-29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좌석]]
 
* [[시트 (자동차)|시트]]
 
 
* [[운전석]]
 
* [[운전석]]
 
* [[조수석]]
 
* [[조수석]]
* [[에어백]]
 
* [[안전벨트]]
 
* [[암레스트]]
 
  
{{자동차 내장|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