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클러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개요==
 
==개요==
듀얼클러치는 2개의 수동변속기가 1개의 하우징에 들어 있는 구조로 변속기 기어의 변속과 클러치 조작을 변속기 제어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 TCU)이 자동변속기와 유사하게 추진하여 자동 기어 변속이 가능한 변속기 종류이다. 수동변속기와 자동변속기의 장점이 결합되었다.
 
 
듀얼클러치는 자동변속기와 달리 엔진 동력의 손실이 없이 구동되기 때문에 주행 성능이나 연비가 수동변속기와 같은 수준이다. 듀얼클러치의 종류에는 건식과 습식이 있으며, 건식의 경우에는 클러치에 오일이 없는 건조한 상태에서 동작하며 습식의 경우에는 클러치에 오일이 젖은 상태에서 동작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2003년에 독일의 폭스바겐에서 골프 R32 모델에 양산 적용을 시작하였으며 개발 취지는 국제 석유파동 이후 변속기 경쟁 상황에 비추어 레이싱카에 탑재되던 듀얼클러치를 승용차에 도입함으로서 따라오는 연비 강화의 효과를 경쟁력으로 하자는데 있었다.
 
 
폭스바겐에 이어 2005년에 부가티, 2007년에 닛산, 2008년에 페라리, 2009년에 포르쉐 등 제조사들이 DCT를 적용하였으며 그 뒤로 혼다, 미쓰비시, 포드, 지리 등 제조사들이 DCT를 적용하였다.
 
  
 
듀얼클러치 제조사들로는 미국의 보그워너(BorgWarner), 독일의 게트락(Getrag)(후에 마그나(Magna)로 상호변경), 독일의 LuK, 영국의 리카르도(Ricardo), 독일의 ZF 프리드리히하펜(ZF Friedrichshafen) 등이 있다.
 
듀얼클러치 제조사들로는 미국의 보그워너(BorgWarner), 독일의 게트락(Getrag)(후에 마그나(Magna)로 상호변경), 독일의 LuK, 영국의 리카르도(Ricardo), 독일의 ZF 프리드리히하펜(ZF Friedrichshafen) 등이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